태국에서 IT 관련업 종사하시는 분 계신지요?

홈 > 소모임 > 태국진출
태국진출

태국에서 IT 관련업 종사하시는 분 계신지요?

간큰초짜 9 3801
안녕하세요? 간큰초짜입니다.

저는 한국에서 IT업계에 몸담고 있구요, 개인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태국에 진출할려고 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저는 통신업계에 있습니다.

통신서비스용 서버를 GSM 용으로 수정해서 개발을 완료했고,
중국에서는 테스트를 마쳤습니다.

이번에 태국에서 시범서비스를 해볼려고 하는데,

안정적인 회선속도와 항온/항습 및 Static IP가 5개 정도 필요해서
한국과 같은 데이타센터를 찾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대개 IDC 라고 하죠(Internet Data Center)

상면공간은 Half Rack 정도면 될것 같지만, Full Rack을 써야할 수도 있구요.
속도는 태국 국내용으로 50MB~100MB 정도의 회선이면 딱 좋을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이 정도면 1년 약정 기준으로 월 100만원~120만원 정도합니다.
하지만, 중국은 이보다 비쌌습니다. 아마 태국도 한국보다 가격이 낮진 않을겁니다.

혹, IT 업계에 종사하는 분이 계신다면,

IDC의 위치, 가격, 회사명 같은 정보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요?
(컨택포인트까지 알려주시면 더 감사하구요~)

CAT에서 한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하지만 컨택포인트도 없고, 위치도 모르고
웹사이트라도 알면 문의라도 할텐데...

한국도 그렇지만, 사이트에 나와있는 가격은 엄청 비싸지만, 영업담당자와 협의하면
가격을 절반 이상 다운시킬수가 있어서...태국도 큰 차이는 없을줄로 압니다.

정보를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간큰초짜 올림.
9 Comments
쨍2 2010.02.21 13:49  
태국이란 나라 외국인이 사업하기 힘든 나라라 생각 합니다. 인맥을 넓이고 천천이 님이 원하시는닐 성공 하시기 하랍니다. 아이티나,통신쪽은 잘 몰라서 도움이 안되겠네요.
쨍2 2010.02.21 14:36  
태국 3세대 통신 개시로 네트워크장비 수요 급증 예상

- 2009년 하반기에 3세대 통신 사업자 선정 –

- 네트워크 장비 중 리피터(Repeater)가 국내업체 진출에 유망 -

 

 

 

1. 시장동향

 

 ㅇ 태국의 통신 감독기관인 국가통신위원회(The National Telecommunication Commission)는 금년 하반기에 2.1GHz 주파수의 3세대 이동통신 운영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을 실시할 예정으로서 태국에도 2010년에는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시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음.

 

 ㅇ 태국은 3세대 이동통신을 준비하면서 이에 수반되는 각종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수요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리피터(Repeater)가 한국의 네트워크 장비업체들의 진출에 유망한 품목으로 예상됨.

 

 ㅇ 태국에는 현재 5300만에 이르는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가 있으며, 가입자 수는 연간 30% 이상씩 꾸준히 증가했음.

 

태국의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

회사명
 시장점유율
 
AIS
 48%
 
DTAC
 30%
 
True Move
 19%
 
CAT (Hutch)
 2.5%
 
TOT (Thai Mobile) 및 기타
 0.5%
 


자료원 : Siam Turakij

 

 ㅇ Advance Info Services(AIS)

  - 태국 최초 최대 이동통신 서비스업체로 탁신 전 수상 소유 Shin Corp의 자회사임.

  - 현재 1만 개 이상의 기지국과 1900만 명의 서비스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

 

 ㅇ DTAC

  - 태국 제2의 이동통신 운영업체

  - 현재 7000개 이상의 기지국과 1100만 명의 서비스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음.

 

 ㅇ True Move

  - CP그룹 소유회사로서 2003년 프랑스 Orange가 투자를 철회함에 따라 Bell Atlantic사와 연합해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 현재 700만 명의 서비스 가입자가 있음.

 

 ㅇ Thai Mobile

  - 태국 최대의 유선통신업체인 TOT의 무선통신 운영자

 

 ㅇ HUTCH

  - 태국 CAT(45%)와 홍콩 Hutchison Wampao(65%)의 합작회사로서 CAT는 네트워크 운영을 담당하고 Hutchison은 마케팅과 서비스를 담당

  - HUTCH는 태국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사업에 가장 최근에 진입한 업체임.

 

2. 수요 및 수입 동향

 

 ㅇ 태국 정부는 원칙적으로 3세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290억 바트(8억3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음.

 

 ㅇ 올 하반기에 3세대 서비스가 개시될 때 전국적으로 5220개의 기지국이 세워지며 전체 프로젝트는 2012년에 마무리 될 예정임. 또한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개시 후 5년 내에 적어도 400만 명이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태국국가통신위원회(NTC)에서 금년 하반기에 3세대 통신사업에 대해 허가할 경우 3세대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와 콘텐츠에 막대한 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ㅇ 특히 이동통신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가능한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요구하게 될 것이며, 이는 방해전파를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 리피터에 대한 수요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ㅇ 리피터는 태국 시장에 최근에 소개가 됐기 때문에 그만큼 성장 가능성도 많은 제품임. 태국에서 리피터의 주요 수입국은 한국, 중국, 유럽, 인도 등이며 한국에서도 5-6개사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음.

 

태국의 리피터를 포함하는 HS Code 8517 품목군 국별 수입현황

      (단위 : 백만 바트, %)

순위
 국가
 2006
 2007
 2008
 점유율
 
1
 중국
 14,586.6
 31,304.6
 34,731.1
 55.45
 
2
 한국
 157.4
 4,417.6
 6,713.0
 10.72
 
3
 인도
 11.8
 4,804.2
 6,240.4
 9.96
 
4
 대만
 975.2
 5,269.7
 1,935.1
 3.09
 
5
 홍콩
 145.7
 398.0
 1,747.9
 2.79
 
6
 말레이시아
 954.6
 1,134.7
 1,716.2
 2.74
 
7
 미국
 2,013.1
 1,172.9
 1,452.9
 2.32
 
8
 핀란드
 1,209.0
 1,174.4
 1,438.6
 2.30
 
9
 독일
 648.2
 1,076.6
 1,274.1
 2.03
 
10
 일본
 995.9
 414.1
 1,221.0
 1.95
 
 
 전체
 26,744.2
 54,525.7
 62,640.2
 100.00
 


자료원 : 태국 관세청

환율 : US$1 = 35 바트(2009년 3월 기준)

 

3. 진출방안

 

 ㅇ 한국산 3세대 리피터의 태국에서의 시장성은 매우 좋은 편임. 태국의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한국산 제품의 품질이 높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음.

 

 ㅇ 규모가 작은 기업으로 태국에 지사를 설립하지 않고 진출을 희망할 경우 현지의 판매 및 고객 서비스를 대행할 업체를 발굴할 필요성이 있음.

 

 ㅇ 또한 한국기업이 태국에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ITU Telecom Asia와 같은 주요 통신박람회 참여가 바람직함. 이러한 전시회에 참가함으로써 국내업체는 현지의 수입상, 판매상을 만날 수 있으며 현지 시장에 대한 정보를 얻고 태국 바이어들에게 한국 제품과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됨.

 

 ㅇ 한국산 CDMA/WCDMA 리피터(HS Code 8517)을 태국으로 수출시 관세는 40%이며, 부가세는 7%임.
쨍2 2010.02.21 14:59  
www.pnpthai.com 이곳도 친절히 잘 알려주는듯 하네요
싸이트 공사중일수 있어요
간큰초짜 2010.02.22 10:39  
방대하고 상세한 정보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내 해당 장비 및 해당업무쪽에 관련있는 분께 전달해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빠콩 2010.02.24 12:33  
태국에도 IDC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국내 KIDC라던가 KT-IDC 이런 수준의 서비스를
기대하시면 조금 수준 미달입니다.
한국 KIDC와 합작한 곳이 TRUE internet 이구요, IDC가 라차다 트루 빌딩과 돈무앙 근처인
국제 전시장쪽에 있습니다. www.truecorp.co.th 여기 영문 페이지를 보시면
컨택이 가능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제가 태국에서 CSLoxInfo, ADC, CAT, True 이렇게 네군데 IDC를 써봤는데 게중 True가 제일
낫습니다. 물론 제일 비싸구요.
태국서 IDC 쓰실때 유의하실 점은 국내망 시장 점유율이 True가 아주 높고,
모든 IDC에서 국제망 속도는 절망적이라는 점입니다.
아빠콩 2010.02.24 12:35  
아, 가격은 기억이 좀 가물가물 한데요, True에서 1/4랙 100M shared가 1만밧 가까이
했던 것 같습니다. 이건 견적을 다시 받아보셔야 할듯 하네요.
국제망 속도에 분통이 터져서 1M 국제망 dedicated로 썼는데 역시 월 1만밧 가량인걸로
기억납니다.
stevek 2010.03.02 20:41  
cat을 추천합니다 하프렉에 18,000밧정도이구요 타협이 가능합니다.
true 는 더 비싸구요....  태국내에서 서비스라면 cat 을 이용하는것이 저렴하고 융통성이
있습니다.
ip 5개 쓰시려면 하프렉이상 계약해야합니다.
별도의 회선은 계약하지 마세요.
그놈들이 계약하라고 이야기 하지만 계약하나 안하나 속도는 거의 동일합니다.
초기에 게이트에서 장난질을 좀 칩니다. 몇번 항의하시면 항상 일정 속도를 유지해 줍니다.
밥한번 사면 더욱 좋구요.
국제망은  모든라인이  cat망을 이용합니다.true도 cat  망을 이용합니다.
ping test 하시면 태국망은 별도의 라인을 쓰지않아도 훌륭합니다.
한국으로서비스는 데이콤 게이트이서 80 k 로 설정되어있어서 태국에서 용빼는 재주로도
속도를 올릴 방법이 없습니다.
태국에서 서버를 두고 인도네시아에서 사용하는 데 한국에 서버를 둔거보다 좋습니다.
아니면 서버 호스팅하시면 현지업체에서 2대 사용에 6천밧을 받습니다.
구글에서 검색해 보세요....
아빠콩 2010.03.03 12:08  
2009년 초반까지 태국 국제망이 개판이다가 하반기에 극적으로 개선되고 있네요. ㅎㅎ
http://internet.nectec.or.th/webstats/bandwidth.iir?Sec=bandwidth

그리고 국제망 게이트웨이 구성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internet.nectec.or.th/webstats/internetmap.current.iir?Sec=internetmap_current

KT가 CAT이랑 155메가, TT&T랑 1.2기가 연결되었구요, 데이콤이 True랑 1.3기가, 45메가
연결이 되었네요.
간큰초짜 2010.03.03 14:24  
감사합니다. 지난 몇주간 받은 도움 가운데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