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점짜리 인생도 채워가며...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여행기

70점짜리 인생도 채워가며...

佳人1 16 2164

1952B9204BEC002F441370

 

 

사원 내부를 이곳저곳 돌아봅니다

볕이 무척 따갑습니다.

사원의 모습이 아름답기 보다는 무척 화려합니다.

아.... 중생의 삶이란 무엇입니까?

눈물로만 채우는 일입니까?

 

1878FA234BEC015C3D24F1

 

스님~

사진만 찍지 마시고 제게 가르침을 주시지요.

마치 합장을 하는 듯 하지만 햇볕을 손으로 가리며 휴대전화에 달린 카메라로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그 앞의 그늘진 곳에 스님이 "김치~"하시고 계십니다.

스님~ 깨달음이란 무엇이니까?

 

1178FA234BEC015E3E132A

 

깨달음?

그걸 알면 벌써 큰 스님이 되셨다구요?

 

깨달음이란 멀리 있고 대단한 경지에 오르는 게 아니라 바로 내 안에 잠자는 나 자신을 깨우는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일이라굽쇼?

정말 알아야 할 것은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1278FA234BEC01603F5CCE

 

이곳에는 부처상이 많습니다.

워낙 오랫동안 유리창 안에 계시니까 무척 답답하고 지루하신 모양입니다.

둘러보고 있는 데, 위의 사진 중 제일 왼편에 계시는 부처상이 佳人에  대뜸 "왼손 올려"라고 합니다.

저요? 얼떨결에 왼손 올렸습니다.

 

1278FA234BEC01614008B9

 

조금 안으로 들어옵니다. 위의 계신 부처상은 저보고 "佳人아~ 오른손 올려"라고 합니다.

그런데 약간 복부비만처럼 보입니다.

저요? 복부라면 저도 만만한 놈이 아닙니다.

어쩝니까 오른손을 올렸지요.

 

1478FA234BEC016241C043

 

이번에 계신 부처상은 큰소리로 "두 손 올려~"라고 합니다.

깜짝 놀랐습니다. 물론 두 손을 다 올렸지요.

 

1778FA234BEC016442A4D7

 

그리고 그곳을 지나쳐 다른 부처가 계신 곳으로 오니 이번에는  다시 "왼손 내려!"라고 하는군요,

더운 곳에 오래 돌아다니다 보면 이렇게 제 머리도 혼란스러워 "손 올려 내려" 게임을 하게 됩니다.

부처님도 심심하던 차에 게임을 이해하는 중생을 만나셨으니 얼마나 반가우셨겠습니까.

부처님이 달을 가르키면 佳人은 아직도 손가락 끝을 쳐다봅니다. 

 

그런데 '왼손 올려'와 '오른손 내려'의 차이는 무엇이니까?

그것을 알면 우리의 삶을 눈물로 채우지 않아도 되니까?

佳人의 우매한 눈으로 보았을 때는 같은 자세입니다.

부처상 찌찌의 표현이 너무 리얼합니다.

 

1978FA234BEC0165430D5A

 

지금 우리 사회가 안고있는 가장 큰 갈등문제가 바로 '오른손 올려'와 '왼손 내려'와 같은 일이 아닐까요?

모두가 추구하는 생각은 같으나 방법의 차이.....

0.5와 1/2처럼 근본은 같음과 표기의 차이를 두고 서로 자기의 표기가 옳다고 사생결단하는 모습.

상대의 생각에 대한 배려나 이해는 하지 않고 나만의 생각만 강요하는 일. 

 

그냥 혼자만의 생각입니다.

날도 더운데 잠시나마 웃자고 한 이야기입니다.

웃자고 한 이야기를 죽자고 덤비시면 곤란합니다.

 

197F12174C044DE39612DB

 

대자대비하신 부처님께서는 오늘도 말이 없으십니다.

그 이유는 스스로 깨우치시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많은 수행자와 신도는 자기만의 이야기가 옳다고 얼굴을 붉히면서 핏대를 세우지요?

자신이 생각하는 세상 모든 것이 각자의 손바닥 안에 있습니다.

 

佳人같은 못난 사람이 자기 손바닥만 바라보고 그게 세상의 전부인냥 떠들고 있습니다.

부처님은 오늘도 열반에 드셔서 말씀이 없으십니다.

내 삶의 전부를 눈물로 채워도 답이 없으십니다. 

 

140B5C124C0520990F5E5D

 

인생을 100점짜리로만 사실려고 하지 마세요. 그건 무척 힘이 드는 일입니다.

어디 세상에 만점짜리 완벽한 인생만 살아가나요?

100점짜리 인생은 더 채울 게 없지만, 그저 조금 부족한 듯한 70점짜리 인생도 채워가며 살아가면 그것도

세상사는 밋이 쏠쏠하게 좋은 겁니다.

세상을 사는 맛이 바로 채워가며 사는 맛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100점짜리 인생이 자신의 현실에 더 채우려고 하면 그게 바로 탐욕입니다.

 

佳人 같은 우매한 사람은 채워가는 즐거움이 있어 오히려 70점짜리 인생이 더 즐거울 때가 있습니다.

틀렸다구요? 佳人은 40점 밖에 되지 않는다구요?

매일 해만 쨍쨍 비치는 좋은 날만 계속된다면, 세상은 이미 사막으로 변했을 겁니다.

비도 내리고 날 궂은 날도 있어야 아름다운 무지개도 볼 수 있잖아요.

때로는 눈물로 채우고 살아도 나중에 웃는 즐거움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잖아요. 

 

1178FA234BEC016644EF83

 

왓포는 무척 많은 탑을 품고 있습니다.

마치 부도처럼 말입니다.

공간마다 많은 탑이 있는 절입니다.

인간의 삶이란 아주 단순한 일입니다.

생로병사....

 

1478FA234BEC016845A292

 

그러나 그 단순한 시간 속에 우리가 스스로 아주 복잡하게 만들고 생각하며 살아가기에 복잡한 것이 아닐까요?

그게 욕심이고 허망한 일이라는 것을 깨닫는 시간은 그리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브라흐마의 겨우 하루인 칼파의 시간 중 우리가 사는 시간은 찰나입니다. 

 

196091144C05205D2F4BC8

 

우리가 사는 세상..

그러기에 세월이 흐르는 게 아니고 우리가 잠시, 아주 잠시 들렸다 가는 겁니다.

그 짧은 시간에 증오는 무엇이고 탐욕은 또 무엇입니까?

왜 우리끼리 서로 비아냥 거리고 미워하며 살아야 합니까?

결국은 내 자식들이고 형제고 우리 부모가 아니겠습니까?

 

1478FA234BEC016A46EFF1

 

이곳은 중국 거상이 크게 시주를 한 모양입니다.

별도의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그 사람 가족을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두었습니다.

그도 결국 갔습니다.

가고 나면 모두가 같아집니다.

 

바람은 숲을 만나도, 구름은 높은 산을 만나도 투덜대지 않고 빙그레 미소지으며 잠시 머물다 지나갑니다.

우리 인간의 삶도 바람이며 구름같은 것이 아닐까요?

사는 도중... 하하 호호 웃으며 정겹고 즐겁게 살다 갑시다. 

 

1678FA234BEC016B4730A2

 

우리나라에서도 기왓장 시주를 하지요?

이곳 태국에서도 기왓장에 소원을 쓰고 시주를 하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어찌 이렇게 관리를 한단 말입니까?

그냥 돈만 받고 내버려 두어 깨져도 누구 하나 관리하지 않는 모양입니다.

이래서야 누가 시주를 하고 싶겠습니까?

 

화장실 갈 때와 갔다 온 후가 다르다고 하지만, 이곳은 경건한 사찰이 아닙니까?

마음의 소원을 빌어 시주를 하였는 데 이렇게 무참하게 소원을 내팽게 치다니요.

깨알같이 적어 놓은 소망이 이제는 깨져버려 글씨마저 보이지도 않습니까?

깨어지지 않았다고 제가 태국어를 알겠습니까? 

 

2078FA234BEC016E4876D3

 

그리고 실제로 지붕에 올리는 기왓장은 별도로 제대로 묶어 관리를 하며 공사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시주받는 기왓장과 실제로 지붕에 올리는 기왓장의 관리는 별개인 모양입니다.

 

아니면 시주를 받고 그냥 내버려두다가 깨어지면 그게 큰 공덕을 쌓게 하는 방법이 태국식인가요?

아... 자연에서 온 흙이라 빨리 깨어져 자연으로 빨리 돌려보내려고 그런 모양입니다.

우매한 佳人은 아직 그런 깊고 큰 뜻을 모르고 오해했습니다.

이렇기에 佳人의 성불은 낙타와 코끼리가 동시에 가족을 데리고 함께 바늘구멍을 통과하여 냉장고에 들어가

조용히 앉아  열반에 드는 일과 같습니다. 

 

1278FA234BEC016F499D97

 

에고에고 너무하오, 이리하면 아니되오

우리자식 공부잘해, 전교에서 일등하고

하는사업 번창하여, 떼돈벌어 부자되고

가족모두 건강하고, 모든일이 만사형통

시주하고 빌고빌며, 정성으로 글을써서

두손모아 경건하게, 소원적어 주었더니

나몰라라 팽게치고, 뒷마당에 버렸다오 

돈낼때만 유효하고, 돌아서면 무효인가

받을때는 언제이고, 받고나면 나몰라라

두손모아 빌었더니, 쓰레기로 변했다네

기왓장이 깨졌다네, 내소원도 깨졌다네

원통하고 애닲아라, 두번다시 안할끼다. 

 

글쓴이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 아름다운 것은 세상 어디에나 있습니다.

                        다만 볼 수 있는 눈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주위에 아름다운 것을 찾아 보세요.

                        지천에 널려 있습니다.                        

        

 

16 Comments
태국여행러브 2010.06.04 19:15  
가인님......
그러게요...짧은인생 다들 왜 그리 불평불만에..서로 미워만 하는지 ....
작은 욕심에 상처에...큰걸 놓치기도 하고..사는게 다들 안타깝습니다...
심란한 금요일....상처받은 맘에..다시한번...무엇이 올은 건지..확인하고 갑니다.

연륜이 느껴지시는 글 볼때마다 좋으네요....^^
佳人1 2010.06.05 08:49  
사회가 점점 경쟁사회가 되어가는 듯합니다.
상처받은 마음... 제가 호~ 하고 불어드릴께요.
힘네서요.
힘든 시기... 이 또한 지나갑니다.
옌과제리 2010.06.04 22:54  
가인님 말씀대로 모든죄악은 탐욕에서 오는듯하네요..
저도 제주위에 아름다운것을 찾아보아야겠습니다..

과연 찾을수있을까하는 의구심도 있답니다..
늘좋은글과 아름다운사진 잘보았습니다..
佳人1 2010.06.05 08:51  
탐욕은 경쟁심리에서 나오지 않나 생각됩니다.
빨리, 더 많이, 그리고 더 좋은 것...
수의에는 주머니도 없다고 하는데....
영군 2010.06.04 23:03  
인생의 여유를 느낄수 있는 참 아름다운 여행기네여
젊으신분들이 쓰는 여행기만 보다가 연륜이 묻어 있는 연륜기를 보면서 참~ 편안함을 느낍니다.
제가 가보지 못한 구석구석까지 보여주시니 남다르네요^^
오늘은 달콤한 음악까지 선상해 주시니...... 깊은 밤 식어가는줄 모르겠습니다.
윙윙 대는 모기도 오늘은 미워하지 않을껍니다~ 이불 뒤집어 쓰고 철두철미로 방어해서 배고파 죽으라고 할껍니다!!
하!!!!!!!!!! 재미있는 하루네요^^ 모든것이 행복해지는 하루입니다~
佳人1 2010.06.05 08:53  
그래요.
제 여행 이야기는 조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정보는 없고 제 느낌만의 이야기로 쓰고 있습니다.

님이 행복해 지셨으면 님 주위에 계신 분도 행복해 집니다.
오늘 불행한 녀석은 모기뿐인가 합니다.
동쪽마녀 2010.06.05 14:07  
옳으십니다.
세상에 아름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내게 그것을 아름다움으로 볼 수 있는 눈이 없기 때문이라는 말씀
정말 백번 옳으세요.

가인님은 읽는 이를 마음 뭉클하고 심각하게 만드셨다가
금새 웃게도 만드십니다.
젊은 사람들은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세월의 힘을 가지신 가인님,
참 멋지세요.^^
佳人1 2010.06.06 10:19  
세상을 사는 일이 심각하기도 하고 가슴 뭉클한 일이 생기기도 하지요.
그러다 즐겁게 웃고 사는 일이 우리의 삶이 아닐런지요?
오늘이 현충일이군요.
오늘도 멋진 날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열혈쵸코 2010.06.05 19:57  
오늘도 좋은 글... 잘 읽고 마음의 위로를 얻고갑니다.
행복하게 살아야지요.
제 문제도 결정을 내렸으니, 시간이 해결해 줄 것 같습니다. ^^
佳人1 2010.06.06 10:21  
무슨 문제가 있었나 봐요.
그래요. 행복하게 살아야지 하면 행복해 지실 거예요.
plantubig 2010.06.06 06:55  
제가  어렸을 때나 젊었을 때에는  사람의 자연적인 또는 생명과학적인 수명과 관계없이 천년 만년  사는 줄 알아읍니다.

살아오면서  조부모님들께서  작고 하시고  또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친지나 친구들도  병을 얻어 평균수명도 못 다 채우고 가기도 하고,,,,

하는 일련의 죽음들을  한두번씩  접하다보니,

인생이 참으로 허망하다는걸 조금씩  알게 되더군요.


혹자는  말합니다.

인생살이 정답 없다고-----

100점짜리 인생도  70점 짜리 인생도  40점짜리 인생도,,,,그 누가  점수를 매길수 있을까요!!

다들 자기가 있는 자리에서  육신의 명이 다 할때까지  치열하게  사는 수 밖에요.


머리카락엔 윤기가 사라지고 대신 흰 서리가  조금씩 내려 앉고,

눈도 침침해져서  Progresive렌즈 안경없이는  종이 쪼가리 하나  읽을수도 없고,

남들이 저를 호칭할때도  여사님이나  사모님 심지어는  어르신,,,,이라는 호칭까지  듣는 나이가 되다보니.....ㅈㅈ

인생이 참으로 짧다는걸  새삼 느끼게 됩니다.


지금까지  먹고살기 바빠서  숨 고를 순간조차도  모르고 살았다면----

그래야,,,,밥 네 끼아닌  남과 똑같이  세끼 먹기를요.

이제부터는  조금씩  느리게  살고 싶군요.

느린 왈츠를 추듯이요.

70점이면 어떻고 40점이면 어떻습니까,,,,

100점같은 70점으로, 100점 같은  40점으로  살아도  그게  인생이라면요.

100점으로 살아도 허망하고 40점으로 살아도 허망한것이 인생 이라면요.


생각하는  시간을  주신  글,  잘 보고 갑니다.
佳人1 2010.06.06 10:24  
100점짜리 인생이란 가상의 점수이겠지요.
우리가 살아가는 일을 어디 점수로 환산할 수 있겠습니까?
다만 현실에 모두 만족할 수 없는 것때문에 추구하는 상상의 점수이겠지요.

맞아요....
느리게 살아가는 일...
여행은 우리에게 느리게 살라고 가르쳐 주기도 합니다.
관운장 2010.06.07 13:41  
학교공부를 접은지 몇십년
작년에 자격증 따겠다고 죽기로 공부를 했읍니다
오늘 10개배웠는데 자고나면 8개는 망각의 저편에 가있읍니다
나이먹어 공부한다는게 쉽지 않더군요
그렇게 2개씩 쌓아올린끝에 100점만점에 95점으로 합격을 했읍니다
그런데 70점도 합격 100점도 합격입니다 100점이라고 자격증 2개주진 않습니다
대충 사는것도 배워야 한다고 느꼈읍니다
완벽하게 살려고 노력하다보니 실수는 남보다 적게하는것 같읍니다만 내자신이 너무 힘듭니다
佳人1 2010.06.08 08:30  
그래서 배움에도 때가 있다고 하나 봅니다.
그래도 목표하신 것을 이루셨으니 얼마나 열심히 하셨는지 느껴집니다.
쩡아엄마 2010.07.04 13:44  
인생이 70점짜리면 정말 좋은점수에 속한다고하네요~~^^ 조금은 비워두며 사는것이 훨 맘이 편하다고들 하잖아요~~아마도 그곳의 스님도~~깨달음을..무소유라고 이야기 하는듯합니다~~여행중에도 줄곧..맘을 비우며 ~그렇게 느끼며 걸으라고 할것같으네요~아마 그래서 무수한 소원들이 내팽겨져 있는건지도 모르겟네요~~^^경건한맘으로 감상하고 갑니다~감사
佳人1 2010.07.06 08:20  
아...
그게 무소유였군요?
비우라... 그리하면 채워지리라.
우리가 세상에 왔을 때 손에 무엇을 쥐고 왔나를 생각합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