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먼턴에서 치앙마이까지 그 머나 먼 길을 날아가면서 (비행기 이야기)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여행기

에드먼턴에서 치앙마이까지 그 머나 먼 길을 날아가면서 (비행기 이야기)

sarnia 14 4410

참고: 인천-방콕 타이항공 656 비즈니스 클라스는 코쿤시트이긴 했는데 3 단 시트가 아닌 2 단 시트였다.  2 단 시트는 좌석이 170 도까지 펼쳐지지 않는다. 내가 탄 비행기만 그런가?

.........................................................................................................................

장거리 비행처럼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일도 드물 것이다
. 밴쿠버에서 인천국제공항까지 걸리는 시간은 이륙 후 11 시간 4 분이다. 밴쿠버로 돌아올 때 걸리는 시간은 약 두 시간이 짧다. 그러나 밤 비행기이기 때문에 피곤한 건 더하다.


항로는 태평양 망망대해를 가로질러 가는 게 아니라 대부분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다
. 밴쿠버를 출발한 비행기는 캐나다 서부 해안선을 따라 알래스카 내륙까지 올라간 뒤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육지(비상 착륙할 수 있는 공항)간 최단거리 코스를 찾아 북극해의 베링 해협을 건너간다. 러시아 영내로 들어간 비행기는 사이베리아 상공을 한참 비행하다가 캄챠카 반도 부근에서 방향을 틀어 남진하기 시작한다. 사할린을 거쳐 일본 열도 서해안을 따라 내려오다가 울릉도 강릉 원주 상공을 지나 인천에 도착하게 된다. 

13289A134AF217013763E2

나는 이날 졸지에 밴쿠버 국제공항에서 유명인사가 됐다. 느닷없이 나를 페이지하는 구내방송이 쩌렁쩌렁하게 울려퍼진 것이다. "대한항공 072 편으로 인천으로 출발하시는 00 손님께서는 지금 곧 64 번 탑승구로 와 주시기 바랍니다" 좀 황당한 기분으로 탑승구로 가 보니 누군가에게 전화가 와 있었다. 셀을 꺼놓고 다시 켜는 걸 깜빡한 사이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고국을 방문하는 북미교포들이라면 이 지겨운 장거리 비행의 피로를 조금이라도 모면하기 위해 상위클래스를 이용해 보고 싶다는 바람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 상위 클래스 티켓을 확보해 보려고 여러모로 해골을 굴리기 시작하지만 돈 들이지 않고 그 티켓을 확보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일반석 할인요금보다 무려 세 배에서 여덟 배가 비싼 요금을 자기 돈으로 지불하고 상위클래스를 타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다
. 공무출장 같은 것으로 누가 대신 항공권을 사 준 경우 아니면, 마일리지로 승급한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미노선의 경우
6 만 마일을 공제하면 일반석에서 비즈니스석으로 승급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까다로운 조건이 따라붙는다. 우선 당신이 가지고 있는 일반석 티켓이 어떤 등급인지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일반석이라고 다 같은 일반석이 아니다. 일반석 티켓에는 Y, B, H, L, N, Q, V, X, G, S-SEE3M 등 열 가지 등급이 있다. 마일리지를 공제하고 차상위 클래스로 올라갈 수 있는 일반석 등급은 Y 클래스뿐이다.


12188C104AF2178D50ACDB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에서 내려서 여기 저기 기웃거리는데 이런 것이 눈에 띠었다. 홍콩에서 캐나다 토론토로 가는 비행기 탑승구 안내문이다. 직항으로 약 16 시간 정도를 날아가야 하는 머나먼 거리다. 마음이 짠 해진다. 불쌍한 승객들......


만일 당신이 사용기간이나 출발일 변경 등에 제약 조건이 따라붙어 있는 할인 티켓을 가지고 있다면 마일리지 공제 외에도 수 백 불 이상의 차액을 별도로 지불해야 차상위 클래스로의 승급이 가능하다
. 그것도 우선순위인 Y 클래스의 승급희망자가 모두 승급하고 좌석이 남아 있어야 당신 차례가 돌아온다. 게다가 승급희망자가 줄을 서 있고 쟁쟁한 마일리지 고수 역시 많기로 유명한 북미노선에서 할인티켓을 가지고 승급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다른 교통수단에서는 별로 부각되지 않는 일반석과 상위 클래스의 차이가 왜 유독 비행기에서는 크게 드러나고 승객들은 좀 무리를 해서라도 상위 클래스를 타고 가려고 애를 쓰는 걸까
?


162695124AF218B94AA54E

비즈니스 클라스 Cocoon Seat. 캐나다 교포들 이런 좌석에 앉아 한국가고 싶다고? 5 천 불 내!


내가 보기에 비행기처럼 중세기적 신분제도가 철저하게 유지되고 있는 곳도 드물다
. 우선 비즈니스 클래스와 퍼스트 클래스 승객들은 수속과 탑승과정에서 줄을 설 일이 별로 없다. 그들은 수속도 별도로 하고 탑승진행순서에도 구애 받지 않는다. 그들은 열외다. 아무 때나 탑승했다가 내릴 때는 가장 먼저 내린다. 그들만의 전용 카운터와 전용 보딩브리지가 따로 준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위 클래스의 탑승객들은 대개 출발 직전까지 항공사별로 공항에 따로 마련된 전용 라운지에서 시간을 보내다가 출발 시간이 임박해서야 하나 둘 씩 탑승구에 모습을 나타난다. 라운지에는 인터넷, 마사지, 샤워시설은 물론이고 뷔페와 수면실까지 마련돼 있다.


1206180D4AF224055A6B9B

 대한항공의 일등석 코즈모 슬리퍼. 이 사진은 내가 찍은 게 아니라 대한항공에서 가져왔다. 이 좌석의 북미노선 왕복은 만 불이 넘는다. 뭐셔? 비행기 표가 만 불? 지금 장난하냐.


역시 상위 클래스의 가장 매력적인 포인트는 드넓은 좌석이다
. 현재 밴쿠버 인천구간은 대한항공 에어캐나다 모두 신기재 장착 항공기를 운용한다. Cocoon Seat 란 모든 좌석이 번데기 안에 들어있는 애벌레처럼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Cocoon Seat 의 장점은 앞 좌석과 뒷좌석의 구애를 받을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옆 사람이 보기 싫다면 스크린을 꺼내 가리면 된다. 좌석은 170 도까지 펼쳐진다. 이 정도라면 침대나 다름없다. 침대에 누워서 이불(담요가 아니다)을 뒤집어 쓰고 22 인치 모니터로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가던지 한 숨 푹 자던지 하면 목적지에 도착한다.


16792D114AF2192875CE69

 타이항공 인천 방콕 노선 비즈니스석의 전채요리는 참깨를 둘러 싼 알래스카 산 스모크 새먼. 네 가지 중 하나를 고르는 메인요리 중 내가 선택한 것은 양고기 스테이크.


두 번째 매력 포인트는 기내식이다
. 일반석의 기내식은 보통 두 가지 중에 하나를 고르도록 되어 있지만 상위 클래스에서는 비행기가 이륙하기도 전에 메뉴판이 제공되고 승무원들이 주문을 받기 시작한다. 식사시간이 되면 에이프런이 제공됨과 동시에 식탁보가 깔리고 전채요리 메인요리 디저트 순으로 서브가 진행된다. 도자기나 크리스탈 잔 등 제대로 구색을 갖춘 식기가 사용된다.


일반석의 경우 아침식사 시간이 되면 일제히 기내의 불이 켜지며 승객들의 기상을 유도한다
. 그러나 비즈니스 클래스에서는 소등상태에서 승무원들이 돌아다니며 일일이 승객들에게 아침식사 여부를 타진한다. 방콕에서 인천으로 가는 타이항공 656 편에서는 불과 20 명 정도가 탑승하고 있는 비즈니스 클래스에 무려 네 명의 전용 승무원이 쉴새 없이 돌아다니며 승객들을 살피고 있었다. 


174558144AF21AB7305A48

 태국 치앙마이 국제공항의 국제선 출발 대합실. 공항이라기 보다는 시외버스 터미널 같은 분위기다.


그러나 조심하기 바란다
. 한 번 상위클래스를 이용해 본 다음부터는 일반석으로 여행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해외여행의 소중한 기쁨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매번 태평양을 건너 갈 때마다 비행기 티켓 값으로 5 천 불 가량을 지불할 요량이 아니라면 이 마약과 같은 승급 기회를 함부로 남용해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121861104AF21A2E554710

 아침식사시간. 우리 비행기는 지금 제주도 상공을 날고 있단다. 끝없이 펼쳐진 운평선 위로 아침해가 떠 오르고 있다.


차라리 상위클래스 부럽지 않은 일반석 좌석 찾는 방법을 공부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 www.seatguru.com 에 들어가 직접 좌석을 분석하고 고르는 방법도 있고, 만석이 아니라면 옆자리가 비어있는 좌석을 확보하는 노력을 해 보는 것도 좋다. 옆자리가 비게 될 확률이 가장 높은 좌석은 중간열의 복도 쪽 좌석이다. 나의 경우 이런 노력이 실패한 경험이 별로 없다.  


아니면 좀 일찍 공항에 도착해 카운터에서 이렇게 이야기 해보자
. “나는 영어와 한국어 2 개 국어에 능통하고 CPR First Aid 도 할 줄 알며 비상시에는 승객뿐 아니라 기장님을 제외한 승무원 전원을 먼저 대피시킨 후 내가 탈출할 각오가 되어 있으니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을 부탁합니다그러면 카운터 직원은 미소를 지으며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을 줄지도 모른다. 비상구 복도 쪽 좌석은 일반석 중 유일하게 두 다리를 쭉 뻗고 지낼 수 있는 자리다.         


 

이민살이를 하면 장거리 비행기타기는 싫어도 숙명이다. 피할 수 없다면 차라리 즐기자. 

 

 


14 Comments
곰돌이 2009.11.11 11:14  
와~~~

sarnia  님~~

엄청난 정보를 담고 있는 여행기입니다 ^^*
20대 2009.11.11 12:43  
13시간비행은 지옥이죠..

옆에뚱뚱한 흑인군인이 앉으면 불지옥..
qqqqq 2009.11.11 18:43  
200% 공감합니다.  서울에서 방콕행 비행기는 이코너미석도 탈만하지만 북미에서 서울 또는 방콕행은 탈때마다 정말 힘들더군요.  금방 위에 있는 seatguru에 가보았는데 유익한 정보 상당히 많네요.  감사드립니다. ^^
어라연 2009.11.11 20:21  
글이 참 차분하면서도 설득력 있으시네요..혹시 블로그가 있으신가요?..다른 글들도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마르코말리 2009.11.12 10:47  
와~~글을 읽는내내 입을 다물지 못하고 읽었네요_ㅎ 멋지십니다!
sarnia 2009.11.12 14:22  
별 것도 아닌 기행문인데 읽어 주시고 댓글까지 달아주시니 감사합니다. 태사랑 정보에 거의 100 % 의지해서 태국여행 잘 하고 돌아왔습니다.

블로그는 있지만 주로 보관용으로 모아 놓는 곳이라 소개할 만한 것은 못 됩니다. 이 글은 다른 곳에 ‘타기 싫은 장거리 비행기 피할 수 없다면 차라리 즐겨라’라는 제목으로 며칠 전 올린 건데 태사랑에는 성격이 맞지 않는 것 같아 안 올리고 있다가 어제야 다른 글과 같이 올리게 됐습니다. 

제 여행 취향의 특색을 하나 발견했는데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즐거움을 느낀다는 것 입니다. 그런데 비행기를 일단 타고 나면 생각이 달라지는 거죠. 보통은 밥 먹고 나서 지루해 지기 시작하는데, 저는 탈 것에서 책을 읽는 타입이 아니라 주로 운동 도 할 겸 비행기 맨 뒤에 있는 비상구 근처에 가서 역시 그 근처에서 배회하고 있는 다른 탑승객들과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시간을 보냅니다. 옛날엔 거기가 담배 피우는 장소였었죠.

올해 한국을 가고 올 때는 대한항공인데도 이거 한국 비행기 맞나 싶은 정도로 외국인들이 많았습니다. 주로 홍콩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로 가는 사람들이었지요. 요새는 사람들이 대화를 하는 걸 싫어하기 때문에 대화 상대를 잘 선택해야 하는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대는 어린 아이의 부모들 같습니다. 아이에게 웃어주고 말을 걸고 하다 보면 자연스레 아이들 부모와도 이야기가 통하게 되지요.

거기도 오래있진 못하고 터뷸런스에 들어가면 자리에 가서 죽치고 앉아 있어야 되는데, 요즘은 전 좌석에 AVOD가 있으니까 옛날보다는 그래도 시간보내기가 좋아진 편이긴 합니다. 아무튼 11 시간...... 매년 다니다 보니까 약간씩 지루해지기 시작합니다.

태국은 내년 한국 나갈 때 또 가게 될 것 같습니다. 일단 방콕에서부터 쿠알라룸프르를 거쳐 싱가포르까지 내려가는 국제열차를 타 볼까도 계획 중인데…… 잘 부탁 드릴께요.
james_bond 2009.11.14 13:27  
대한항공의 코스모 슬리퍼는 좌석쿠션이 옛날 슬리퍼 씨트모다 얇아서 무지 불편합니다.. 
거의 마루바닥에 이불한장수준...
그래서 새로나온게 코스모 슬리퍼 스윗트.. 아직 타보지 않아서 모르겠는데 더 넓어지고 푹신해 보이던대요..
블루파라다이스 2009.11.25 04:07  
저 음악.. 가슴을 설레게 만드는 음악이지요..ㅎㅎ

캐나다에서 인천올때 대한항공은 비행기 기종이 큰가요?

에어캐나다는 B-767이어서 조금 불편한듯 하던데요..

갑자기... 여행 가고싶어집니다... 좁은 좌석도 상관없이요..ㅎㅎ

잘 읽었습니다.
sarnia 2009.11.25 06:46  
대한항공은 747-400 을 운영합니다. 2 년 전 까지는 777-200 이었구요, 두 항공사 모두 신기재 장착 항공기입니다.

에어캐나다는 기종 문제 보다도 일부 교포 출신 승무원들의 근무자세가 지적된 적이 있습니다. 제가 마지막으로 에어캐나다를 탄 게 2007 년 3 월 인데 그동안 많이 개선됐겠지요.
sarnia 2009.11.25 08:09  
참, 그리고 이 음악 아주 옛날에 (한 30 년 전 쯤) 대한항공 광고 음악이었다는 거...... 아시죠?
블루파라다이스 2009.11.29 02:02  
네~! 대한항공 광고음악으로 이노래를 처음 접했답니다..

그 이후론 이 노래만 들으면 대한항공이 떠오르고..

여행을 마구마구 떠나고 싶어지네요~!!

대한항공은 B747-400을 운영하는군요..

개인적으로는 B747이 제일 편한듯 해서 가장 선호하는 항공기인데..

요즘은 대한항공에서 B777이나 A330으로 대체를 많이 하는듯 해서

개인적으로는 조금 아쉽습니다...
앤디훅 2009.12.04 13:17  
소중한 여행기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펀글은펀글 2010.08.10 08:44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좋은 글임에는 분명한데..,
현지에 다녀오신 분이 직접 쓰신 글이 맞나요? 궁금해서 이글을 남깁니다.
sarnia 2010.08.11 12:35  
ㅎㅎ 무슨 의도로 뒤늦게 이런 댓글을 남기셨는지가 더 궁금합니다. 질문에서보다는 닉네임에서부터 그 의도가 보여서요. 이 글은 작년 10 월 한국-태국 방문 후 세 개의 사이트(아, 제 블로그와 동문회 사이트 합치면 다섯 개네요)에 거의 동시에 올린 글 입니다. 속보이는 더티플레이하지 맙시다.

뭐 점잖게 "네 제가 직접 쓴 글 입니다" 라고만 대답하기에는 지금 제 기분과 님이 이 글을 올린 시기간의 궁합이 별로 좋지 않네요.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