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뇽이의 태국-라오스 여행기(2)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여행기

주뇽이의 태국-라오스 여행기(2)

하로동선 16 888

- 쌈쎈 거리 -

 

2018년 1월16일(화). 아까 새벽 4시쯤 돼서 잠자리에 들었는데도 눈을 떠 보니 6시였다. 오늘은 여행의 첫날인데 첫날부터 게으름피우기는 싫어서 그냥 일어났다. 그리고 나는 일단 쌈쎈으로 방향을 잡았다. 아직은 해도 뜨지 않은 시각이라 주위는 어둡고, 아직 현지에 적응을 못해서 그런지 찻길 건너는 건 여간 고역이 아니었다. 횡단보도에서 파란불에 사람이 건너는데도 차가 그냥 달려온다. 내가 왜 이런 데를 그토록 오고 싶어 했을까... 그리고 이러려면 신호등과 횡단보도는 왜 설치했는지 모르겠다. (다행히도 며칠 지나니까 금방 적응이 된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1_02.jpg

 

말로만 듣던 방람푸 운하를 건너는데 물 색깔을 보니 말이 안 나왔다. 사진을 찍으려다 그만뒀다. 저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나... 그러나 쌈쎈의 작은 골목들을 보면 아기자기한 면도 있었다. 멀리 칠랙스 리조트(Chillax Resort)가 보이는 2번 골목(Soi 2)만 해도 밖에서 들여다보니 그림이 꽤 괜찮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1_15.jpg

 

쌈쎈 거리를 따라 아래로 더 내려가니 왓 이암워라눗(Wat Iamworanut)이 나온다. 여행책자에도 수록된 내용이 전혀 없는 곳이지만 그래도 발걸음을 옮겨 봤다. 사실 이 시간에는 마땅히 갈 곳도 없었고, 이번 여행에서는 유명하지 않은 사원에도 들어가보고 싶었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1_37.jpg

 

대법전은 시간이 일러서 아직 개장을 안 했고, 대법전 뒤편의 좀 더 작은 건물에서는 좌상과 입상을 모두 만들어놓은, 그래서 의미가 있으리라 짐작되는 인물을 볼 수 있었다. 다만 그가 누구인지를 알 수 없음이 아쉬울 뿐이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1_69.jpg

 

아침시간에 사원에 앉아서 조용히 쉬고 있으면 공기도 시원하고 마음도 상쾌해져서 참 좋다. 다시 발길을 돌려 쌈쎈거리를 걷는데 아침 7시반쯤 되자 노점이 활기를 뛴다. 나도 저렇게 앉아서 아침을 먹고 싶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1_9.jpg

 

쪽 포차나(Jok Phochana)를 찾아봤다. 사람에 따라 好와 不好가 아주 확실하게 나뉘는 식당. 식사를 하려는 것은 아니고 유명한 사장님의 얼굴을 보고 싶어서였다. 내가 알기로는 이렇게 이른 시간에 장사를 하지는 않는다. 마침내 쪽 포차나가 눈에 들어온다. 과연 사장님이 계실까?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2_09.jpg

 

사장님은 인터넷에서 많이 본 포즈를 취해 주었다. 똑같은 포즈에 식상한 사람들은 이런 모습을 가식적이라고 느끼는 것 같다. 하지만 난 이런 모습에서 사장님의 노력하는 모습을 본다. 그리고 그런 이유로 어쨌든 남들보다는 번창하고 있지 않은가?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2_32.jpg

 

나하고 사진도 함께 찍어줬다. 그리고 그 와중에도 아침식사를 자기는 제공하지 않지만 내가 가면 좋을 곳을 소개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내가 기억이 정확하다고 확신할 수는 없으나 저 사장님은 2011년 1월에 타논 람부뜨리에서 펜타이 식당(Pen Thai Restaurant)을 하고 있었다. 그 시절에는 한국말을 하고 있진 않았으나 말은 지금처럼 많이 했다. 음식맛을 볼 기회가 없었던 것이 아쉽다. 내 생각에는 어쨌든 자신의 일을 저렇게 열심히 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방람푸 시장의 아침은 활기가 넘쳐 난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2_52.jpg

 

지나는 길에 빠똥꼬가 있어서 맛을 봤다. 이게 도너츠랑 비슷하기는 한데 결정적으로 단맛은 없다. 하필이면 [남떠후]란 이름이 생각이 나지 않아 빠똥꼬와 함께 먹질 못했다. 그런데 저런 음식들은 식사로 하기에는 너무 부실할 것 같다. 많이 먹으면 괜찮을까?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2_71.jpg

  

- 왓 아룬 -

 

원래는 아침식사를 해야 할 상황이지만 내친 김에 구경을 더 하기로 했다. 목적지는 왓 아룬(Wat Arun). 여기는 16년 전에 가 봤는데 지금은 기억조차 가물가물하다. 선착장에서 본 안내판. 85와 관련해서 저게 무슨 뜻일까?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22_87.jpg

 

여기서 르아두언을 타고 타 티안 선착장을 향했다. 그러나 아까부터 타 티안과 타 프라아팃을 분간하지 못하고 헛갈리던 나는 타 창에서 내리고 말았다. 이런 젠장... 한 정거장을 미리 내렸다는 것을 깨달은 것은 선착장을 나와서였다. 다시 들어가서 배를 타는 것도 그렇고, 한 정거장이므로 그냥 걷기로 했다.

 

드디어 타 티안 도착. 4B를 내고 강을 건너야 하는데 그게 생각처럼 쉽지가 않았다. 일단 선착장에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진을 치고 있어 매우 혼잡하다. 선착장에 안내해주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들은 한결같이 값이 비싼 투어리스트 보트로 유도했다. 게다가 언어의 장벽까지... 그러니까 나는 강만 건너겠다는데 그게 생각처럼 쉽지가 않은 것이다. 게다가 르아두언이나 르아캄팍 같은 배들은 자주 다니지도 않았다.

 

결국 한참을 기다린 끝에 강을 건넜다. 눈앞에 모습을 드러내는 왓 아룬의 위용.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1_03.jpg

 

새벽사원으로 불리는 너무도 유명한 사원. 이름을 생각하며 여기와서 일출을 보기도 하는 모양이다. 사실 [새벽]의 의미는 [일출]이 아니라 미얀마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돌아온 딱씬 장군이 이곳에 도착했을 때가 새벽이라서 그렇게 원래의 이름(왓 마꼭)이 바뀐 것이다. 입구를 지나 경내로 들어섰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1_24.jpg

 

위한(Viharn)내의 불상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1_56.jpg

 

이날은 특별히 스님의 강론이 있는 날인지 신도들이 책을 펴 놓고 공부에 여념이 없었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1_75.jpg

 

처음 들어왔을 때부터 탑에만 정신이 팔려 우보솟(Ubosot)에 있는 불상은 보지도 않고 바로 중앙탑(Phra Prang)으로 향했다. 높이가 82m에 이르는 중앙탑은 불교의 우주관에서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거대한 산(수미산)을 의미한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1_97.jpg

 

또한 주변에 있는 4개의 작은 탑은 인간이 살고 있는 4대주을 의미한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2_11.jpg

 

중앙탑은 중간 부분까지 오를 수 있는데, 멀리 왕궁의 멋진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2_25.jpg

 

사족

 

1) 사망한 푸미폰 국왕, 그의 아내 시리킷 왕비, 현 국왕 와치라롱껀의 모습. 현 국왕은 왕과 왕비 사이의 유일한 아들이다. 공주는 3명.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2_41.jpg

 

2) 왓 아룬에 관해서라면 딱씬(Phraya Taksin)이 부각되는 것이 옳다. 그는 아유타야 왕국을 정복한 미얀마를 상대로 전쟁을 벌여 일시적으로나마 타이인의 나라 아유타야를 복원한다. 다만 일시적인 승리에 부담을 느껴 수도를 짜오프라야강 서쪽의 톤부리로 옮겼는데, 이 때 새벽사원이 등장한다. 하지만 새로 톤부리 왕조를 건립한 딱씬은 부하 장수였던 짜끄리 장군(훗날의 라마1세)에 의해 살해되면서 그의 왕조는 불과 15년 만에 막을 내린다.

 

3) 라마2세의 동상은 이토록 화려하지만, 딱씬은 동상이라 표현하기도 민망한 모습이다.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2_57.jpg

f8ab24a0c8c48111b20dc0b7ac995642_1517584162_77.jpg

 

4) 앞으로 진행될 와치라롱껀의 통치는 재미있게 지켜보아야 한다. 잦은 이혼경력(3번. 현재 아내 없음), 온화했던 아버지와 달리 불같은 성격, 공식행사를 싫어하는 개인주의 성향, 낭비벽과 금융스캔들까지. 이래가지고 왕노릇을 제대로 할까? 참고로 푸미폰 국왕은 라마1세, 5세와 더불어 [대왕]소리를 듣는 왕이다.

16 Comments
필리핀 2018.02.03 07:25  
오홍! 아침부터 부지런히 다니셨네요^^

꼼꼼한 여행기 잘 봤어요~~~ㅎㅎ
하로동선 2018.02.03 07:50  
하하..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그렇듯이 이번 여행에서도 "내가 여기를 언제 다시 오겠나?"하는 마음으로 다녔습니다.
칭칭7 2018.02.03 16:57  
오우 라오스 태국 모두 가보고 싶은 곳인데
많이 참고하겠습니다~~~
하로동선 2018.02.04 08:53  
말씀 감사합니다. 칭칭7님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잘 쓰겠습니다.
우유탄쬬리퐁 2018.02.04 14:04  
잘 읽었어요. 덕분에 추억이 새록새록 돋았어요. ㅎㅎㅎ
하로동선 2018.02.04 14:22  
하하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감사합니다. 죠리퐁을 우유에 타면 맛있겠네요.
어랍쇼 2018.02.05 16:55  
와우... 엄청 꼼꼼한 여행기 잘 봤습니다.
게으른 저로써는 마주할 수 없는 방콕의 아침풍경이네요~
족포차나 아저씨는 진짜 존경 스럽네요..
계산은 자주 틀리고 오지랖이 좀 부담스럽긴 하지만ㅋㅋ
저렇게 이른 아침에도 밝은 얼굴을 볼수 있다니..
하로동선 2018.02.05 21:18  
저는 족 포차나 아저씨를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제 여행기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봉 2018.02.05 18:22  
도로 보행자는 무조건 각저 도생 ㅋㅋㅋ 횡단보도의 개념이 없지요 베트남, 캄보디아 등도 마찬가지...그런데 조금 겪다 보면 무질서 해보이는데 다들 묘하게 교통흐름을 맞춰간다는 느낌이 있지요
하로동선 2018.02.05 21:18  
저도 며칠 지나니까 나아지긴 했는데, 그래도 길 건너는게 아직은 많이 무서워요. ㅎㅎ
킽틍타이 2018.02.14 09:50  
다음편이 기대되는 여행후기입니다~~^^
재밌게 잘 일고 있습니다
하로동선 2018.02.14 23:20  
칭찬과 격려의 말씀 감사합니다...
태국연구 2018.02.16 09:16  
"85" 의 내용은  "뽀 랍남낙다이 85콘" 이라고 읽으시고 내용은 이배는 85명까지 탑승이 가능합니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듯합니다.
하로동선 2018.02.18 20:08  
아.. 그렇군요. 대단히 감사합니다...
수박우유 2018.02.27 20:29  
여행기보는게 아니라 가이드 설명보면서 패키지 여행하는기분이네요.
잘 봤습니다.
왓 아룬이 이런뜻인지 처음 알았네요
하로동선 2018.02.28 00:48  
거듭 과찬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