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딘이라는 절을 찾아서....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베트남
여행기

바이딘이라는 절을 찾아서....

虛堂 2 3280

닌빈에서 짱안을 오던 길은 이제 확장과 포장공사가 진행중이다.

계속 큰 길을 가면 터널이 나온다.

터널을 지나 그 길에서 왼편을 보면 베트남 4대 사찰의 하나라는 바이딘 절(Chua Bai Dinh)이 보인다. 

절의 크기가 대단히 크다.

베트남 사람들은 자신들이 사는 집은 기묘한 형태로 작게 만들어 살고 있지만 이곳에는 부처님이 계시는

사찰이라 어마어마하게 크게 만들어 놓았다.

죽은 호치민 영묘의 크기도 만만치 않지만.... 

183D7D0949F1BBB80FA8EA

 

주차장에 들어서면 오토바이 군단의 공격을 받는다.

그 이유는 주차장에서 바라보면 사찰은 언덕 위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딱히 오토바이를 타고 갈 필요는 없다.

나즈막한 야산이고 경사도 그리 심하지 않다.

발목을 다친 사람 빼고는 그냥 천천히 걸어서 올라가면 된다.

 

지금 공사가 진행중에 있는 사찰이다.

원래 이곳에 있던 절은 아니었는데 이전 신장개업을 준비중인 거대한 절이다.

193E870949F1BAE00DD68F

 

주차장에서 천천히 구경하며 걸어서 올라가자.

아마도 회랑으로 사용될 건물인 듯 싶다. 

1422E71D49ED6D7AC9E50C

 

여기에는 모두 모습이 다른 아라한들이 모여있다.

이 아라한 상들은 이곳 회랑에 모셔진다는 데 모두 500개의 아라한 상이란다.

그러니 500 나한상이 된다.

우리 모두가 노력하면 부처가 될 수 없을지라도 아라한은 될 수 있다.

세상에 모두 아라한처럼 살 수 있다면 세상은 법이 필요 없을 것이다.

진정 가섭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 옆에는 오토바이 군단이 주차장에서 부터 계속 따라 온다.

이 친구들은 마치 우리가 걸어 올라가다 발병이라도 나길 바라는 모습이다.

그런 마음으로는 절대로 아라한이 될 수 없을텐데..... 

이 친구들은 주윤발이 나오는 영화를 너무 많이 보았나 보다.

날도 더운데 외투까지 걸치고....

145B940A49F1BB0F9C4635

 

아라한의 표정은 우리와는 사뭇 다르게 재미있게 놀고 계신다.

아마 이게 다 완성이 되면 이곳 또한 유명한 볼거리가 되지 않을까? 

우리도 선한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나중에 공양만 받고 지내는 아라한이 되지 않을까?

15531103493D2D9628D5C5

 

오토바이 군단은 우리의 아리랑을 부른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

佳人 귀에는 그리 들린다.... 이말이다. 

183D3B0949F1BED5F465BB

 

그냥 외면하고 올라가자 그들은 사라진다.

그러나 정상에서 기다리다가 우리가 올라가서 내려올 때 다시 따라 붙는다. 

그래도 "됐네~~ 이 사람들아~"하며 방긋 웃어주면 된다. 

195B0A0A49F1BB3ED794C1

 

이곳에서 바라보는 아래의 모습은 사진이 시원치 못해 표현을 못하겠다. 

전망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193E3D0949F1BB5F14E86C

 

어느게 대웅전인가? 

위? 아래?.....

145BD103493D2DC038CEF8

 

일단 제일 위에 있는 건물부터 들어간다.  

155BD103493D2DC23A22EB

 

부처님도 용을 좋아하시나 보다.  

13171A01493D2F36539A74

 

안에 들어가면 청동으로 만든 어마어마하게 커다란 부처상이 셋이나 있다.   

하나의 무게가 50톤이다.  

비쉬누신의 9번째 화신이라는 부처.

부처가 깨닳음을 얻기위해 보리수 나무 밑에서 정진을 하실 때 폭우가 쏟아졌단다.

그때 머리가 7개 달린 나가라는 뱀이 머리를 활짝 펴서 부처를 폭우로부터 보호해 주었단다.

그래서 힌두교에서는 부처의 머리 위로 나가라는 머리가 7개가 달린 뱀의 형상으로 표현을 했는데

중국이나 베트남, 그리고 우리나라는 후광으로 표현을 했다.

12171A01493D2F3A569BB3

 

부처님 앞에는 베트남의 4대 성스러운 동물로 여기는 거북이가 학을 업고 있다.

학이 거북이를 깔고 뭉게고 있는게 아니란다. 

세분의 부처의 손 모습은 모두 다르다.

오른쪽에 계신 부처는 왼손을 들고 가운데는 그냥 무릅에 올려 놓으시고 왼편은 오른손을 들고 계신다.

세 분중 어느 부처가 더 파워가 강하실까?

양 쪽으로 세워놓은 거대한 장식용 도자기 항아리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140BBD04493D3050292F93

 

밧짱 도자기 마을에서 본 장식용 도자기 항아리가 이곳에 있다.

크기가 사람 키를 훌쩍 넘기고도 남는다.

도자기와 부처상의 크기를 짐작해 보자. 

우리를 초대한 베트남 여교수는 어디에 계실까?

마치 숨은 그림 찾기 하는 기분이다.

사진 오른쪽 아래 구석에 서 있다.

150BBD04493D30522B2F4A

 

부처님~ 세분이 한 곳에 계시니 심심하지는 않으시죠?

마치 세분이 오른손 올려~ 왼손 올려~ 손 올리지마~ 하시며 게임을 하시고 계신는 것 처럼 보인다.

앞에 서 봐도 크기가 어마어마하다. 

140BBD04493D30542D241D

 

부처님은 힌두교에서 비쉬누 신의 9번째 화신이라고 했다.

비쉬누 신은 세상이 혼탁해질 때 마다 이렇게 변신을 하여 세상을 구하러 오신단다.

10번째는 아직 오지 않았다.

10번째는 백마탄 초인의 모습으로 칼키라는 이름으로 오신단다.

우리의 이육사님은 이미 광야라는 시에서 백마탄 초인을 예견하신 적이 있다.

오잉~ 그러면 독수리 5형제는 졸지에 백수가 되는디? 

13734301493D332430131D

 

그런데 이건 뭬야?

용인가?

베트남의 옛 건물에 가면 이 용이 꼭 있는데 너무 살이쪄 도저히 하늘로 날아가지 못할 것 같다.

그러면 이무기가 되는데....  

11734301493D332532F2CF

 

제일 위에서 바라본 아래의 모습.....

왜 사찰은 꼭 이런 경치 좋은 곳에만 있는가?  

15734301493D332734AD66

 

바로 아래 있는 건물에 있는 부처상이다.

이곳의 부처상은 아까보다 두배인 100톤의 청동으로 만들었단다. 

혼자 계신다고 무게가 두배로 만들었나?

오른 손에 연꽃을 든 부처님의 뜻을 아시는가?

이곳에는 가섭이 너무 많구나....

염화시중의 미소... 

12734301493D332835F042

 

마당에는 커다란 범종이 어디에다 자리를 잡을려고 하는지.... 

이 종의 무게는 27톤이란다.

우리나라 에밀레 종의 무게가 22톤이라는데.....

그러나 종 모양은 우리와 다르게 일자 형태로 우리 눈에는 영 어설퍼 보인다. 

13031F01493D33545E7A23

 

인경이라는 범종에는 한자로 반야바라밀타심경이 양각되어 있다.

이 종을 치면 삼장법사가 번역한 반야심경을 정말 외우지 않아도 될까? 

삼라만상의 번뇌로 부터 정말 해탈할 수 있을까?

마하유가의 세월중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시간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러나 깨닳음....

그거 말이죠~~

오랜 세월을 고생하며 높은 경지에 오르는 힘든 일이 절대로 아닙니다.

바로 내 마음 속에 잠자고 있는 나의 순수함을 끄집어 내는 아주 쉽고 단순한 일입니다요.

11031F01493D33565F8E77

 

이제 베트남 사람들이 성스로운 동물로 여기는 4가지가 다 나왔다.

유니콘이다.

아까 학을 업고 있는 거북과 용을 보았으니.... 

11031F01493D335760C120

 

이제 주차장으로 내려온다.

아직 공사가 마무리 되려면 5년 이상은 걸릴 것 같다.

하지만 이게 완성되면 이 사찰이 베트남에서는 제일 큰 사찰이 될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부처님에게 소원을 빌지 않을까? 

12031F01493D3357616C96

 

이제 늦은 점심을 먹고 우리는 껭가 수상마을로 간다. 

글쓴이 : 佳人

사진도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 한걸음 물러서면 넓은 세상을 만날 수 있다.

                         그러나 그 속으로 들어가면 넓은 세상은 보이지 않지만 희노애락이 있다.

                         바로 우리들이 살고있는 그런 세상이다.

2 Comments
cheori 2009.05.21 15:01  
정말 빨리 완공되어서 저 아름답고 웅장한 모습들을 보고싶네요.
그리고 절 주변으로 심어놓은 저 나무들도 커다랗게 자라 있겠죠?

그런데 수상마을이라구요?
어딜지 무척 궁금하네요.
빨리 보고싶어집니다. ㅎㅎ
虛堂 2009.05.22 01:28  
아마도 세월이 지나면 이곳도 고찰이 되겠지요....
그러나 아직은 황량하게만 느껴졌습니다.
베트남은 수목들이 자라기에는 우리나라보다 더 조건이 좋아 금방 숲이 우거질꺼예요...

이제 제 여행기도 마지막 수상마을만 남겨놓았네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