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사이에 꽃은 또 얼마나 떨어졌을까?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중국대만
여행기

밤사이에 꽃은 또 얼마나 떨어졌을까?

佳人1 2 3199

 

11월 8일 / 여행 12일 째.

 

밤사이에 비바람 몰아치더니 꽃은 또 얼마나 떨어졌을까?

낯선 나그네는 밤새워 뒤척였는데 이제 겨우 희미한 여명이 밝아오는구나.

 

여행자는 구름에 달 가듯이 가야 하는데....

하늘을 바라본다.

새벽 하늘에는 구름이 하나도 보이지 않고 달만 보이는구나.

하늘이 어쩜 이렇게 티없이 맑을 수 있을까?

 

1620C60D4B29BC41059897

 

하늘을 바라본다.

달이 떴는지 해가 떴는지...

이곳은 "내 마음속의 해와 달"이라는 샹그릴라이니까...

그러나 내 몸과 마음이 모두 아프니 "니 마음대로 해와 달"이 되었다.

 

자리에서 일어나 이른 아침에 꾸청으로 나가본다.

헐~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1435280D4B29AFF490F501

 

어젯밤에는 저녁만 먹고 몸이 아파 그냥 숙소에 들어왔다.

객지에서 아프다는 것... 서럽다.

그러나 내게는 함께 아파하고 위로하는 동행이 있어 아침에 다시 몸을 추슬러 일어난다.

전기장판이 있어 그나마 지난밤에는 푹 잔 것 같다.

이른 아침에는  꾸청 바닥을 청소하는 사람만 보인다. 

 

1635280D4B29AFF5914D2F

 

쓰팡지에를 찾아본다.

여기도 마찬가지...

꾸청 골목뿐 아니라 이곳에도 다니는 사람조차 보이지 않는다.

 

2035280D4B29AFF793F7E8

 

아직 문도 열지 않은 가게.

우리 눈에는 만국기처럼 보이는 타르초.

타르초는 하늘과 땅을 상징하는 파랑과 노랑, 불을 의미하는 빨강,구름의 흰색 그리고 태양을 의미하는

초록색, 모두 다섯 가지 색으로 하고 그곳에 옴 마니 반메 훔 등 경전을 적어 놓은 것이란다.

 

타르초를 이곳에 걸어놓은 이유는 바람을 기다리기 위함일 게야...

비록 일곱 가지 무지개색은 아니더라도 다섯 가지 색의 타르초는 바람을 타고 세상 속으로 날아간다.

그래... 바람아~ 불어라. 타르초가 펄럭이도록.... 

 

1235280D4B29AFF8948076

 

그들은 이렇게 곳곳에 타르초를 걸어놓고 기원을 하고 있다.

무슨 염원을 그리도 하는 걸까?

이곳에 오는 길에서도 무수히 보아왔던 타르초...

 

경문을 적어놓아 바람에 휘날리며 온 세상으로 날아가 모든 중생이 해탈하라는 의미의 타르초....

바람이 많이 불어 더 멀리까지 갈 수 있고 닳아 없어질 때까지 온 세상에 퍼져라!~~

 

1235280D4B29AFFA95B7BD

 

집의 형태조차 중국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보인다.

문성공주가 이곳에 오기 전까지는 티베탄은 대부분 유목생활을 했기에 집을 짓지 않고 천막생활을 했다.

송찬간포는 중원의 아름다운 각시를 맞이하며 호기롭게 "임자! 짐이 그대를 위해 궁궐을 지어 줄까?

아니면 하늘의 별을 따다 줄까?"하고 물었다.

"폐하~ 장안은 황사와 안개로 늘 하늘을 볼 수 없나이다.

그러나 이곳은 매일 밤 아름다운 하늘을 가득 채운 별을 원도 한도 없이 보았나이다. 그러니 궁궐을..."   

 

그러고는 송찬간포는 함흥차사... 문성공주가 묻는다. "폐하! 어이 궁궐을 짓지 않으시나이까?"

"아~ 그거? 사실 궁궐 짓는 법을 모른다오~"

어찌할꼬 어찌할꼬~ 초원을 말달리며 전투라면 자신 있는데 집은 짓지 못한다네.

그래서 문성공주가 함께 온 목수에게 집을 지으라고 말하니 집이 뚝딱 지어진다.

이로써 이곳 토번에는 다시 중원의 주택양식이 자리잡게 된다. 

 

1335280D4B29AFFA9683EC

 

어제 저녁에 보았던 스투파....

이곳에도 타르초가 걸려있다.

 

1535280D4B29AFFB97454B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나 보다.

아무도 없는 길이 호젓하다고는 하나 이런 곳에는 그래도 오가는 사람이 있어야 꾸청의 맛이 나는 데...

 

1735280D4B29AFFC98D1B0

 

역시 사람은 너무 한적해도 다니는 맛이 나지 않는가 보다.

오늘은 꾸청 바로 뒤에 있는 대불사라는 절을 찾아본다.

그곳에는 세상에서 가장 큰 마니차가 있는 곳이다.

 

1935280D4B29AFFD991C88

 

대불사(大佛寺)로 올라가는 계단.

이곳에서 부처님의 말씀이 바람을 타고 말리까지 퍼지기를 기원한다.

 

1835280D4B29AFFE9AA12A

 

언덕 위에 절... 그곳에는 대불사가 있다.

그러나 중국정부에서는 구산공원이라는 현판을 앞에다 먼저 걸어 놓았다.

아직 샹그릴라 시내에는 해도 비치지 않는다.

"내 마음의 해와 달"이 정말 "니 마음대로 해~ 와 달"이다.

그러나 대불사 올라가는 패방 누각 위로 아직 퇴근 전인 달이 보인다.

 

2035280D4B29AFFF9B9876

 

공원의 언덕으로 난 계단을 따라 올라간다.

몇 계단 올라가니 숨이 거칠어진다.

 

1635280D4B29B0009C90C1

 

황금색으로 멋을 낸 문인데 굳게 닫혀 있다.

화려한 문양이다.

 

2035280D4B29B0039D83D1

 

이제 희미하게 여명이 밝아온다.

낮게 드리운 안개가 샹그릴라 시내를 덮고 있다.

 

1235280D4B29B0049E9D08

 

울 마눌님은 잘도 올라간다.

佳人은 어지럽고 숨이 차 빨리 올라갈 수 없었는데....

 

이게 고산증인가 보다.

울 마늘님은 아무렇지도 않다는데.... 왜 나만 그래~~

 

1435280D4B29B0059F2A4E

 

경문을 적어놓은 타르초...

온 세상으로 퍼져 나가길 원하는 그들의 염원은 무엇일까? 

 

1135280D4B29B006A0C83C

 

그래... 바람아 불어라~

가슴에 뭉쳐 있는 응어리를 모두 쓸어버려라.

그래... 바람아 불어라~

세상 끝까지 불어 온 세상으로 날려버려라.

 

1435280D4B29B008A12EAF

 

구산 공원이라고 하는 야트막한 언덕 제일 위에는 대불사라는 절이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세상에서 제일 크다는 마니차가 우뚝 솟아 있다.

 

1635280D4B29B009A2FCE8

 

이제 저 멀리 낮은 산이 가린 곳에는 아침해가 떠오르기 시작한다.

눈이 시리도록 파란 하늘이다.

 

1635280D4B29B00BA35101

 

이곳 대불사 옆에도 스투파가 있고 그곳에는 타르초와 룽다가 함께 있다.

룽다의 의미는 타르초와 같지만 모양이 줄에 메달아 두지 않고 장대에 달린 게 조금 다르다.

룽다란 풍마(風馬)라는 말로 마치 바람에 휘날리는 말 갈퀴와 같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것이라 한다.

마치 달리는 말 갈퀴처럼 나무에 매달려 바람에 휘날리면 영락없는 그 모습이다. 

 

154AEA0B4B29B98920A640

 

글쓴이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 타르초와 룽다....

                        분명히 우리와는 다른 모습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을 모시고 모든 중생이 바른길로 가기를 기원하는 모습은

                        세상 어디에나 모두 같습니다.

                        진정 바른길이란 어디로 가는 길입니까? 

 

 

 

2 Comments
육삿갓 2010.02.25 21:54  
하늘이 기가막희게 좋쵸  가까이보이고 색이죽여주죠
정말공해없는 신선사는 느낌이 일반인이 사는 마을도 좋은데요
저인 대절찝차 기사어머니 사는집 을 방문 다녀왓죠 마침 가는길과같아
감기로 고산증으로 고생하셔군요...다음편기데됍니다
佳人1 2010.02.27 19:06  
정말 파란 하늘색 그대로입니다.
정말 좋은 경험을 하셨군요?
그들 속으로 들어가 같이 호흡을 해보는 게 바로 참된 여행이 아닐까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