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의 아침 탁발 풍경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여행기

방콕의 아침 탁발 풍경

佳人1 42 3674

121387194BC595761000A3

 

 

11월 19일 / 여행 23일 째

 

인생을 살아가며 아침에 우리를 벌떡 깨울 수 있는 일이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아침에 잠자리에서 쉽게 벌떡 일어나십니까?

왜 있잖아요. 우리가 어렸을 때 소풍 가던 날 새벽에 누가 깨우지 않아도 알아서 일어났잖아요.

 

126776254BC5C748790C25

 

그렇지 못하다면 살아가는 일이 피곤한 것이라고 합니다.

여행 중에도 우리의 아침을 깨워 벌떡 일어날 수 있어야 그 여행이 즐거운 것입니다.

그런데 있잖아요... 나이가 들면 평소에도 왜 아침잠이 없어지는지 모르겠습니다. 

 

190E81264BC5A4A35D54A0

 

아침에 어두컴컴한 길을 나서 과일이나 아침 먹을 것도 사고 새벽의 모습을 보기 위해 여행자 거리로 나갑니다.

11월 방콕의 밤은 제법 서늘합니다.

창문을 열고 밖을 바라보니 서서히 날이 밝아옵니다.

새벽 동이 틀 무렵의 하늘의 오묘한 색깔은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191291254BC594DF18DE50

 

길거리에 아침 탁발을 나오신 스님이 앞에서 걸어가기에 따라나섭니다.

탁발이란 승려가 마을을 돌아다니며 음식을 걸식하는 일을 일컫는다지요?

 

1833E60E4BC5BCE425429B

 

그러나 탁발은 시주하는 사람이 공덕을 쌓게 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일이지요.

공덕을 앃게되면 다음 세상에 좋은 곳으로 간다고 하지요.

 

18633C0D4BC5BD083365DA

 

착의지발(着衣持鉢)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니 사원 밖으로 나갈 때는 반드시 큰 가사를 두르고 탁발을 위하여는 발우를 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가사란 원래 죽은 사람의 옷이나 다른 사람이 버린 옷을 주워 108번뇌를 의미한 108조각으로 꿰매 입는다는 데

요즈음에는 그런 옷을 입은 수도자는 정말 없는 듯합니다.

 

그리고 과거에 발우는 아마도 나무로 만들지 않았을까요?

그러나 지금 동남아시아에서는 스테인레스 그릇 등 다양한 발우를 사용하더군요. 

 

114B77114BC5BE8C2D6DE0

 

그럼 발우가 준비되지 않으면 굶어야 합니까?

아니지요? 비닐봉지를 들고 갑니다.

이때는 비닐봉지가 발우로 변신을 하지요.

비닐봉지를 발우라고 하면 발우입니다.

세상 일이란 우리가 생각하고 이름을 그리 붙이면 그렇게 됩니다.

 

190DC10F4BC5BD9302C79C

 

그런데 요즈음 이렇게 개인 비서를 두고 카트 발우(?)를 들고 뒤를 따르게 합니다.

아! 이 수행자는 뒤를 따르는 게 아니고 앞에서 걸어가는군요?

행자님~ 이러시면 정말 곤란합니다.

 

173D240E4BC5BD564C6873

 

무척 힘이 들어 하시는 노스님....

뒤로는 탁발한 음식을 들고 따르는 수행자가 있습니다.

스님도 나이가 들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수행자란 모름지기 이렇게 뒤를 따라야 합니다.

행여 그림자라도 밟을까 노심초사 하면서 말입니다.

 

144E8C214BC5C0F940745A

 

그리고 탁발을 시작하는 곳에서 차례로 일곱 집을 거치는 동안 탁발을 끝내야 한다고 부처님이 가르쳤습니다.

더 오래 다니며 민폐 끼치지 말라는 말이고 한 끼 먹을 양식이면 더는 욕심내지 말라는 의미겠지요.

탁발하러 다닐 때는 반드시 맨발이어야 하며 공양 후에 발을 씻는 세족을 합니다.

한국에서 탁발이 없어진 이유도 맨발로 해야 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부처님~ 한국에서 겨울에 맨발은 너무 고행이잖아요. 

 

111820104BC5BEB09802EE

 

탁발의 풍습은 대단히 오래된 것으로서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부터 존재하던 것이라고 합니다.

즉 인도의 출가 수행자들은 일체의 생산활동에 종사하지 않는 대신 탁발을 통해서 식생활을 해결했는데,

불교 교단에서도 그 방식을 그대로 수용하여 스님들의 생활 방편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힌두교에서는 비쉬누신의 9번째 화신이 부처라고 합니다.

그러니 원조논쟁은 무의미하다는 말이죠. 

 

201048204BC5C11FA028D5


그러나 이것은 걸인들의 구걸 행위와는 엄연히 다른 것으로, 오직 수행을 위해 목숨을 보전하는 수단이었던 만큼

거기에는 엄격한 규칙들이 정해져 있었습니다.

 

16552C214BC5C13C233986

 

예를 들면 하루에 한 번 오전 중의 정해진 시간에만 한다거나  민폐를 줄이기 위해 하루에 일곱 집씩을 방문하여

조금씩 얻어서 모은다거나 가난한 집과 부유한 집을 차별하지 않고 차례대로 방문한다거나 탁발을 유도하는

어떠한 언행이나 태도도 내비치지 않는다거나 하는 것이 그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일부 종교인은 공양을 유도하는 말을 하곤 하지요.

그것도 크게 시주를 하면 크게 돌려준다고요.

받는 사람은 누구이고 돌려주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비닐봉지가 참 좋습니다.

부처님의 탁발행위까지 바꾸었지요. 

 

125E0A214BC5C159167C64

 

또 가르침이나 그 밖의 것을 베푼 대가로 공양을 받아서도 안 되고 먹다 남은 것을 보관해 두는 것도 금지되어

있었습니다.

 

124505214BC5C0D0563994


다른 의미에서 탁발은 그 자체가 수행자 자신의 교만한 마음을 잠재우는 수행의 하나였을 뿐 아니라 시주하는

사람에게는 출가자에게 음식을 공양하는 것이 상당한 공덕이었으므로 신자들의 복덕을 빌어주는 일은 스님의

의무이기도 했습니다. 

 

1862FF234BC5C0B01BE445


그러나 사찰이 어느 정도 정착되어 사찰 안에서 직접 음식을 만들게 된 이후에도 탁발은 일부 수행으로

일부 스님들 간에 꾸준히 행해져 왔고, 그것이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오늘날에까지 이어져 오는 것입니다. 

 

1662FF234BC5C1941DC54F


다만, 현재 우리나라 조계종에서는 종헌 종법으로 탁발을 금지하고 있는데 그것은 현대 사회 속에서 성직자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겨울에 맨발 탁발은 우리나라에는 맞지 않는 일이지요.

 

117495234BC5C08B01510B

 

공양에는 음식만 하는 게 아닙니다.

부처님에게 바칠 꽃도 공양합니다.

 

15453E264BC5C2367F5309

 

이렇게 위생적으로 포장하여 준비하여 팔기도 합니다.

미처 집에서 준비하지 못한 사람을 위해 1인용씩 포장하여 놓았습니다.

탁발도 나중에는 탁발용 전용자판기가 있어 그곳에 카드를 긁고 뽑아가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요?

 

133B68214BC5C44274B53B

 

스님~ 그리하시면 아니 되옵니다.

지금 차도를 무단으로 횡단하시려고 좌우를 살피시며 그리로 건너가십니까?

건너편에는 POLICE라고 쓴 차도 서 있습니다.

경찰이 두렵지도 않습니까?

 

11146A244BC5C2694F7EA9

 

무단 횡단은 위험한 일이고 중생들이나 아이들에게 전혀 교육적이지 못하옵니다.

아무리 탁발하시는 시간이라도 이 길은 큰길이라 차가 많이 다닙니다.

헉! 그러나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처럼 이미 건너가셨네~~

 

123D04274BC5BF2F9830C9

 

어리석은 佳人아~

네 눈에는 내가 무단횡단하는 것으로 보이느냐?

내 한 몸 중생에게 하지 말아야 할 모범을 보일 수만 있다면 나는 무단횡단도 마다하지 않으리라.

모든 사람이 안전하게 건너다니는 건널목은 고행의 길이 아니니라.

 

이런 것도 수행의 일환이고 중생에게 위험을 알리기 위해  내 육신을 던지는 살신성인의 일이다.

또한 경찰이 두려웠다면 나는 애초에 수도자의 길을 걷지 않았으리라.

佳人아~ 그래서 언제 깨달음을 얻어 해탈하겠느냐~

더 공부하고 정진하여 성불하거라~~

 

스님! 저도 스님따라 건너 가오리까?

스님~ 전깃줄에 앉았던 비둘기도 간담이 서늘해 요동을 칩니다.

 

1839991F4BC5C0281DE6F0

 

우리가 태국에 가서 겪는 제일 어려운 일 중 하나가 길을 건너는 일이다.

우리와는 차량 통행이 달라 좌우를 살피는 일이 자꾸 반대로 바라본다.

습관이라는 것.... 정말 무서운 것이다.

 

학교에 등교하는 이슬람 학생들...

다양성이 태국의 모습이 아니겠는가?

 

1961D5224BC5C670AC96D0

 

이렇게 방콕의 아침은 탁발로 시작되고 우리 부부는 1일 투어로 시작한다.

 

글쓴이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 내가 만일 내 인생을 사랑한다면,

                         인생 또한 내게 사랑을 되돌려 줄 것입니다.

                         마음을 편안하게 먹고 내 인생을 사랑한다면 지루함이 없습니다. 

          

 

42 Comments
윈디걸 2010.05.14 09:36  
우와..좋은 사진과 함께..탁발이라는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된 계기 였습니다..^^
좋은 여행되셨겠어요 ^^
佳人1 2010.05.14 12:12  
네...
좋은 여행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날자보더™ 2010.05.14 10:35  
정말 좋은 여행기에요.
Naresuan 2010.05.14 10:59  
님도 좋은 여행기 쓰셨어요...

거의 한달째 랭킹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는 분은 님이 처음인듯...

촉디크랍~
佳人1 2010.05.14 12:13  
Naresuan님은 늘 좋은 정보로 볼거리를 제공하시잖아요.
佳人1 2010.05.14 12:12  
그냥 혼자만의 생각으로 다닙니다.
명서아빠 2010.05.14 10:36  
입가에 미소를 머금게 하는 좋은 사진들입니다.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佳人1 2010.05.14 12:15  
명서아빠님께서 미소를 머금고 보시니까 좋게 보이실겁니다.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관운장 2010.05.14 10:45  
역시 연세가 있으셔서 저걸 찍으셨군요
젊은사람들은 무척이나 힘들어 하더라구요
왜 나이들면 새벽잠이 없어지는 걸까요
아침에 절에가니 탁발해온것을 나눠먹을려고 대웅전에 죽~늘어놨는데 오만가지 음식이......과일 .켄.밥 과자
높으신 스님들은 한쪽옆에 빨간 보를 덮은 단을 마련하여 그위에 좌불하여 식사를 하시더군요
2등 이었는데 글쓰다보니 4등이 되었읍니다 이게 인생 이지요
佳人1 2010.05.14 12:22  
네... 여행 중에는 늘 새벽에 일어납니다.
같은 곳이라도 새벽의 모습이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니까요.
관운장님께서는 직접 사찰 안으로 들어가 보셨군요?
화옹과의 1합을 겨루는 시간에 순위가 밀리셨군요?
그래도 늘 감사드립니다.
ykm 2010.05.14 12:29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佳人1 2010.05.14 14:25  
네 감사합니다.
아켐 2010.05.14 12:29  
감사합니다...잘 보았습니다..
태국가면 아침에 나도 한번 시주(태국도 시주라고 하나요?) 해볼까 하면서도
부끄러워 옆에서 조용히 구경만 하다 돌아온답니다..
이번엔 꼭 해봐야 겠습니다...
佳人1 2010.05.14 14:26  
한 번 도전해 보세요.
우리나라에서는 할 수 없는 경험입니다.
愚夫 2010.05.14 12:32  
아는만큼 보인다고 제 꼴이 딱 그러하군요.
동남아에서 탁발하는것 수없이 봐왔으면서도 그 의미나 기원에 대해선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으니 이런 엉터리 여행자라니...가인님글을 보고 깊이 반성해 봅니다.
佳人1 2010.05.14 14:27  
과찬이십니다.
제가 못 본 것을 愚夫님께서 보신 것도 많으실 겁니다.
누구나 자기 취향에 따라 보이는 게 아닐까 합니다.
곰돌이 2010.05.14 13:02  
전 아직....

나이가 안들어서,  아침잠이 많습니다.



아니 사실은 게을러서,  아침일찍 안 일어납니다.




그래서,  탁발. 공양하는 것을 못봅니다...^^;;


같은 지역을 여행하면서도,  더 많은 것을 보시고

같은 것을 보면서도,  더 많은 것을  느끼시고.

느끼신 것을 나눠 주시는 가인님....  고맙습니다.



佳人1 2010.05.14 14:31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들의 특징이 서로 나눔이 아닐까요?
저도 많은 분들의 글을 읽고 여행을 준비했고 다니고 있습니다.
그곳의 대강의 느낌이나 예상 비용, 그리고 이동경로 등을 먼저 지나가신 분의 나눔이 있기에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그러기에 태사랑 같은 여행 사이트가 여행을 꿈꾸는 사람에게는 오아시스 같은 곳이지요.
라스 2010.05.14 13:16  
이런 느낌의 글들은 가인님께서만 쓰실수 있는듯 합니다.
항상 재미나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佳人1 2010.05.14 14:32  
같은 곳, 같은 시간에 다녀왔어도 사람마다 느낌이 모두 다르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도 제 나름대로의 여행 이야기를 쓰고 있습니다.
격려에 감사드립니다.
기브미머니 2010.05.14 14:34  
여행가면 누가 깨워주지안아도 일찍일어나지는데..참신기해요...여행기 잘보고있어요..담편이 궁금하네요^^
佳人1 2010.05.15 09:08  
감사합니다.
우리는 원래 한국시간에 자동적으로 눈이 떠지니 그곳에 가서는 무척 일찍 일어나는 편이지요.
동쪽마녀 2010.05.14 15:27  
방콕에서도 탁발을 하는군요.
전 대도시에서는 누구나 다 바빠서 탁발을 못하는 줄 알았습니다.
탁발은 그냥 그 동네 전체를 도는 의례 행사 같은 건 줄 알았는데,
그런 의미가 있었구먼요.
민초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 애쓰는 모습들에서
수행자의 참마음을 봅니다.
평온한 에세이 같은 여행기 고맙습니다, 가인님.^^
佳人1 2010.05.15 09:09  
제 마음에 생각나는대로 적어봅니다.
당시에 여행을 하며 계속 생각들을 정리하여 메모를 합니다.
그래서 제 여행기는 무척 주관적입니다.
감사합니다.
날개많은천사 2010.05.14 16:22  
저도 태국에서 탁발 하는 모습은 보지 못했는데--, 가인님 덕분에 좋은 구경 했습니다.
佳人1 2010.05.15 09:10  
아니?
바로 여행자들이 많이 다니는 길에서 탁발을 합니다.
그러나 아침 일찍 가셔야만 보실 수 있습니다.
Keith 2010.05.14 17:23  
태국에 있을 때 아침에 동틀 무렵이 너무나도 좋더군요. 개인적으로 술을 잘 못해서 그런 부분에 한국에서처럼 일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서 눈이 일찍 떠지더군요. 선생님의 글은 중국부터 쭉 보고 있는데 이제서야 처음으로 댓글을 답니다. 태국,중국에서 1년씩 살았었는데 그 때 느끼지 못한 혹은 정리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생각하게 되서 참 좋습니다. 늘 건강하시구요.
佳人1 2010.05.15 09:12  
저도 술은 입에 전혀 대지도 못합니다.
맥주 한 잔을 마셔도 빈맥증상이 일어나 숨을 쉬기 어렵습니다.
제 중국 이야기부터 읽으셨다면 5-9개월이 되셨는데 이제야 댓글을 남기셨군요?
미워요. Keith님 그리고 고마워요.
수요일 2010.05.14 18:35  
글 잘 읽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佳人1 2010.05.15 09:13  
정보는 별로 없습니다.
답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열혈쵸코 2010.05.15 00:14  
살인성인 정신의 스님 이야기... 재치가 넘치시는 이야기들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佳人1 2010.05.15 09:15  
제가 장난기가 발동해 그만 스님께 태클을 걸었습니다.
그렇게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영국산흑표범 2010.05.15 01:44  
재작년과 작년에 가인님이 가르쳐 준 가인님 블로그를 통해 하노이 여행을 잘 다녀올 수 있었던 사람입니다.
항상 가인님 글 끝에 나오는 감상은 세상사는 후배로서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도 가인님 처럼 바르게 한살 한살 나이를 더해가면 좋겠습니다...
佳人1 2010.05.15 09:16  
영국산흑표범님...
감사합니다.
님께서 제 나이가 되면 더 멋진 인생을 사실 것입니다.
우리 세대는 세상의 넓이를 모르고 그냥 교과서 속에서만 배우고 살았지요.
DD600 2010.05.15 08:37  
질문요...?    여기에 올리신 스님들은  전적으로 수행만 하시는 분들이신가요? 아님 잠깐 수행 생활을 하시는 분들인가요?
그리고 뜨거운 아스팔트에서  발이 상당히 뜨거우실텐데,  머리가 하얗게 되신게 연세가 있으신가 봅니다.
그리고 태국 스님들도 당연히,  고기는 안 드시겠지요..?
佳人1 2010.05.15 09:19  
DD600님...
너무 어려운 이야기를 제게 하시는군요.
대부분 수행만 하시는 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옛날에는 아스팔트가 없었으나 요즈음에는 ......
그러나 이른 새벽에 탁발을 하시니 별로 뜨겁지는 않으실 겁니다.
고기는 나라에 따라 다릅니다.
호린완 2010.05.15 13:04  
매일아침 기상시간에 운동삼아 또는 아침을 먹기위해 나가던 방람푸시장 참 감회가...
매일 보던 스님께서도 보이시고 고맙습니다..사진 잘 보았습니다.
좋은 시간되시고 좋은추억 마니마니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컵쿤크랍^^5 5
佳人1 2010.05.15 19:38  
호린완님~
님의 주 무대이시군요?
허락도 없이 제가 돌아다녔습니다.
정말 좋은 느낌으로 다녀왔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이킴 2010.06.12 12:48  
또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해요~
佳人1 2010.06.12 14:19  
배우시다니요?
함께 알아가는 것이지요.
감사합니다.
엔진 2010.06.12 14:54  
전에 여자친구 따라 아침에 시주하러 갔었습니다. 신발을 벗고 저흰 절을 했더랬죠. 기억에 오래남은 좋은 추억이 되었습니다. 가인님 덕분에 잊고 있던 기억 떠올리게 됐네요 감사합니다^^
佳人1 2010.06.12 16:01  
엔진님에게 그런 멋진 기억이 있으시군요?
여행은 우리에게 가끔 멋진 기억을 회상하게 하지요.
감사합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