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리지앙으로...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중국대만
여행기

다시 리지앙으로...

佳人1 12 3308

 

싫어하는 것은 좋아하는 마음 때문이고, 미워하는 마음은 사랑하기 때문에 생깁니다.

싫어하는 마음이든 미워하는 마음이든 그것은 한 곳에 머물며 집착하기 때문입니다.

 

세상일이 물처럼 바람처럼 구름처럼 한 곳에 오랫동안 머물지 않고 흐른다면 고민을 남기지 않습니다.

여행도 이렇게 구름이 흘러가듯 바람처럼 머물지 않고 다녀야 하겠지요?

하바쉐산의 만년설이 참 아름답습니다.

 

151F3A264B3207F199A2B4

 

샹그릴라를 11시 5분에 출발하여 우리는 리지앙으로 향한다.

佳人의 눈에는 황량하게 느껴지는 고원의 모습.

그것은 佳人이 샹그릴라에 대한 기대감을 너무 크게 가졌기 때문이리라.

 

1551C4214B31EE0D5EE339

 

잠시 고원지대를 달리던 버스는 멋진 하바쉐산이 보이는 곳에 이르면 이제 급격히 언덕길을 내려간다.

파란 하늘과 대비되어 푸른 숲과 하얀 설산이 마치 그림처럼 보인다. 

 

1751C4214B31EE0E5F9A06

 

12시 50분에 치아오터우 통과하고 잠시 후 1시에 휴게소에 잠시 정차하고 또 기름을 넣는다.

정말 중국은 왜 승객을 태우고 기름을 넣을까?

이곳에서 잠시 휴식을 하고 다시 리지앙으로 출발한다.

 

124045254B320906920F1F

 

2시 50분 리지앙 버스터미널에 도착하자 우선 내일 밤에 쿤밍으로 가는 버스표를 미리 예매한다.

우리가 이곳을 다시 온 이유는 마오 아찌가 닷새 후에 오라고 손을 들어 손가락으로 표시 한 것도 있지만,

수허마을을 보기 위함이고 높은 고도 때문에 샹그릴라는 너무 힘이 들었기 때문이다. 

 

12413E254B32118A85AF7A

 

내일 쿤밍으로 가는 표를 예매하기 위해 매표소 창구에 서 있는데 역시 삐끼가 옆에 달라붙는다.

먼저 붙은 삐끼에게 우선권이 주어지는 듯 다른 아줌마는 우리를 계속 쳐다본다. 

 

13413E254B32118A86C78A

 

터미널에서 만난 삐끼를 따라 성운객잔이라는 곳으로 간다.

그곳은 버스 터미널에서 별로 멀지 않은 곳으로 내일 쿤밍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편하다고 생각을

했으나 꾸청에서는 약간 거리가 있다.

 

15413E254B32118B87FA2B

 

40위안에 1박 하기로 했으나 전기장판이 없어 무료로 깔아달라고 요구하고 그냥 추가요금 없이 묵기로 했다.

이 주변의 숙소는 대부분 40위안 정도이나 미리 띠엔러탄이라고 하는 전기장판 유무를 확인하고 묵어야 한다.

밤에 전기장판을 달라고 하면 별도의 돈을 내야되는 불행한 일이 생길 수도 있다.

 

17413E254B32118C8853B7

 

꾸청을 걷다가 본 초상집의 풍경.

나시족의 상복인 모양이다. 흰 천으로 앞치마와 머리에 모자를 쓴 모습이.....

 

19413E254B32118D898EF6

 

이곳의 수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집의 방 구들 아래로도 흐른다.

방 구들 아래에서 흘러나온 물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곳이다.

 

18413E254B32118E8A53B2

 

늦은 오후라 말들도 많이 피곤한 모양이다.

그냥 위허광장에 실례를 무릅쓰고 흥건히 일을 보았다.

 

19413E254B3211908B83C9

 

민주로에서 본 보도 모습.

전봇대도 중요하고 공중전화도 중요하지만, 사람이 통행하는 길 가운데 통행에 방해를 주며....

 

11413E254B3211918C6F13

 

다시 시장으로 간다.

사과와 귤과 바나나를 산다.

 

176CF1164B32168524B661

 

우리는 사라져가는 귀중한 옛 모습을 발견했다.

나시족 할머니가 소나무 관솔을 다듬는 모습이다.

이 관솔은 예전에 전기가 없었을 때 이렇게 작게 잘라 집안 가운데 돌로 만든 접시 모양의 그릇 위에 놓고

불을 피워 등불 대신 밤에 방을 밝혔다.

이 할머니네 집은 아직도 관솔을 이용해 밤을 밝힌단 말인가?

 

1544EF1D4B51D37312EE12

 

길을 걷다가 나시족 결혼식장이 있어 들려본다.

 

150CC8274B320E426E56E2

 

입구에서 직원에게 들어가 구경을 해도 좋으냐고 물어본다.

칸칸(看看)해도 되느냐고....

 

170CC8274B320E436F944B

 

그랬더니 꾸냥은 흔쾌히 들어오라고 하며 유창한 영어로 설명까지 해준다.

이번 중국 여행 중 샹그릴라 시내버스에서 만난 남자와 이곳에서 만난 꾸냥이 영어를 가장 잘하는 사람이다.

  

180CC8274B320E4570E8F4

 

이곳은 전통결혼식장이라기보다는 외국인을 상대로 이벤트를 하는 곳으로 보인다.

주로 서양인이 이곳에서 나시족의 옷을 입고 찍은 결혼사진들이 즐비하다.

 

200CC8274B320E4671B4F6

 

저녁도 먹을 겸 지난번 몇 번 이용한 충칭식당을 들리니 그곳 아가씨가 매우 반가워 한다.

그래서 저녁때까지 내내 그곳의 아가씨와 이야기를 나눈다. 

그곳을 나오려는데 아가씨가 우리에게 내일 일정을 물어보고 자신의 휴대전화에 문자를 찍어 보여주며 

내일 오후 4시에 식당이 한가한 시간에 꼭 다시 식당에 들려달라고 부탁한다.

 

111F42224B32245B3060BF

 

중국의 쌀국수인 미시엔에도 이야기가 있단다.

"다리 건넌 미시엔"이라는 궈치아오 미시엔(과교미선:過橋米線)이 바로 그 쌀국수이다.

 

여기에 얽힌 사연은 이렇단다.

옛날 과거시험을 준비하던 왕차이라는 씨우차이(秀才:지역 합격자)가 있었는데 그는 늘 호수 안에 있는 섬의

정자에서 공부하였는데 그의 부인은 매일 호수 안에 섬으로 연결된 다리를 건너 점심을 배달하였단다.

 

117F4F274B320C0C6A64C5

 

그러나 그곳까지 음식을 가져가는 동안에 식거나 책을 읽다 보면 종종 식사시간을 놓쳐 늘 찬 음식만 먹게

되어 그의 부인이 고심하던 중 닭을 폭 고아 옹기그릇에 담아 왕차이에게 가져다주고 남편이 숟가락으로

국물을 뜨는 것을 보고 집으로 돌아왔다가 나중에 다시 가보니 남편은 아직 그대로 책만 읽고 있었다.

 

부인은 다시 국을 데우려고 그릇을 드는 순간 아직 뜨거운 열기가 남아 있었단다.

닭의 기름이 위에 떠있어 보온 역할을 하고 옹기그릇이 음식을 식지 않게 하였기 때문이다.

 

122B01184B3220B3491617

 

부인은 그 음식을 다시 집으로 가져와 야채며 고기며 쌀국수를 넣어 다시 끓여내니 맛이 처음보다 더 좋아

그 후부터는 이렇게 음식을 만들어 남편에게 대접했고 동네 사람들이 보고 그대로 따라 하니 다리를 건너

쌀국수를 가져갔다고 해 "다리 건너 쌀국수"라는 궈치아오 미시엔이 만들어지게 되었단다.

 

글쓴이 : 佳人

 

오늘의 佳人 생각 : 중국사람들은 말 만들기를 정말 좋아합니다.

                        처음 궈치아오 미시엔이라는 글을 보고 대단한 음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닭고기 칼국수 정도 밖에는 되지 않습니다.

                        옹기그릇과 닭국물이 잘 식지 않는다는 것을 그때까지도 몰랐답니까? 

  

  오늘 비용 : 미시엔 10, 리장행 버스 104, 바나나 3, 귤 7, 숙박 40, 쿤밍행 버스 304, 야크요구르트 5, 미판 6,

  삼선미시엔 5. 계 484위안.  누계 2.493위안.

12 Comments
분미 2010.03.10 11:48  
궈치아오 미시엔 사진을 보니 먹음직스러운데 맛은 어떤지요?..향이 강한 샹차이가 들어있는지요..
설산이 넘 아름답네요~~
佳人1 2010.03.10 20:11  
분미님~
님이 보내주신 아름다운 노래와 함께 설산을 걸어보세요.
마치 하늘을 걷는 기분입니다.
우리 부부는 향이 강한 채소도 잘 먹습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깻잎도 사실은 외국인에게는 향이 강한 채소지요.
니중에 혹시 쑤저우에 갔으면 좋겠습니다.
분미 2010.03.11 00:19  
노래가 듣기 좋았다니 다행입니다..
설산 정말 가서 걸어보고 싶어요..경험상 고도3000천이상에서는  고산증세가 오더군요..
쑤저우를 오신다면 환영합니다...춘추전국시대의 역사와 손자병법을 지은 손무가 살던곳이지요...
佳人1 2010.03.11 11:11  
저는 샹그릴라에서 고산증을 느꼈습니다.
그곳이 3.200m였거든요.
그런데 울 마눌님은 아무렇지도 않았어요.
쑤저우는 몇 년전 여행사 단체여행을 따라가 잠시 스쳐지나간 적이 있었습니다.
동양의 베니스라고 하더군요.
한산사에서 풍교야박도 읊조렸고 유원도 들려보았습니다.
언젠가 배낭여행을 하려고 합니다.
분미 2010.03.11 11:56  
지금 한산사가 내려다보이는 아파트에서 살고있습니다...조석으로 종소리를 듣고있지요...
佳人1 2010.03.11 18:37  
분미님!
정말 그곳에 사세요?
한산사 종소리를 매일 들으실 수 있겠네요~
한산사 종소리는 인간의 근심걱정을 모두 씻어 준다고 하던데....
분미님께서는 근심걱정이 없으시죠?
용감한아줌마 2010.03.11 13:12  
궈치아오 미시엔에 이렇게 깊은 뜻이 있는줄은 몰랐네요. 
저는 고산증이 없으니 설산을 걸어볼수 있을까요???

쑤저우?  저역시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인데 가인님 가실때 살짝 묻어 갈까봐요 ㅎㅎ
제가 베니스에 다녀온 경험이 있으니 비교분석 확실하게 해드리겠습니다....
佳人1 2010.03.11 18:40  
넵~
중국에서는 닭국물 쌀국수에도 사연을 만들어 생명을 불어넣어 준답니다.
고산증...  저는 괴로웠어요.
우리 한 번 작당하여 사고 한 번 칠까요?
중국도 한 번 다녀와 자신감이 붙었습니다.
무식하면 용감해진다고 하는데... 저 무식합니다. ㅋㅋㅋㅋㅋ
육삿갓 2010.03.13 23:25  
저는 옥룔설산 4680메타 올라을때 고산증 별로.... 사람마다 다른것 같아요
리지앙 가셔으면 옥룔설산도 오르시면 좋아을 텐데요
문표 다음 버스 케이불카그리고 걷기시작하죠 오르면서 호흡은 조금..
구체구 황룡도 고산증 을 느끼는 분들 은 힘들 어 하드군요 미시엔 다시 먹고 십군요..
佳人1 2010.03.14 12:58  
대단하십니다.
저는 고산에 약한 모양입니다.
힘이 없고 몇 발자국만 걸어도 숨이 차고....
구채구도 가보고 싶은데 그곳도 고산이라고 하더군요.
중국 미시엔보다는 베트남 쌀국수가 더 단백하고 제 입맛에는.....
관운장 2010.03.14 14:56  
가인님의 나시족 예식장 출입은 거기있는 꾸냥때문이 아닌가 사료됩니다
예식 사진 찍겠다는 핑계로 당당하게 사모님을 속이고 꾸냥과 대화를 나늘수있는기회
佳人1 2010.03.14 18:11  
아~
 아파요. 많이 아파요...
속내를 들키면 이리도 아픈가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