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와트+평양랭면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캄보디아
여행기

앙코르와트+평양랭면

겨누 4 5269
 
141058424F2E3DB636966F
 
<앙코르와트 전경>
앙코르톰의 남쪽 약 1.5km에 있으며, 12세기 초에 건립되었다. 앙코르는 왕도()를 뜻하고 와트는 사원을 뜻한다. 당시 크메르족은 왕과 유명한 왕족이 죽으면 그가 믿던 신()과 합일()한다는 신앙을 가졌기 때문에 왕은 자기와 합일하게 될 신의 사원을 건립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유적은 앙코르왕조의 전성기를 이룬 수리아바르만 2세바라문교() 주신()의 하나인 비슈누와 합일하기 위하여 건립한 바라문교 사원이다.

그러나 후세에 이르러 불교도가 바라문교의 신상()을 파괴하고 불상을 모시게 됨에 따라 불교사원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건물·장식·부조() 등 모든 면에서 바라문교 사원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바깥벽은 동서 1,500m 남북 1,300m의 직사각형으로 웅장한 규모이며 정면은 서쪽을 향한다. 바깥벽 안쪽에서 육교로 너비 190m의 해자()를 건너면 3기()의 탑()과 함께 길다란 익랑()이 있고 여기서 돌을 깔아놓은 참배로()를 따라 475 m쯤 가면 중앙사원에 다다른다.

사원의 주요 건축물은 웅대한 방추형 중앙사당탑()과 탑의 동서남북에 십자형으로 뻗은 익랑, 그것을 둘러싼 3중의 회랑과 회랑의 네 모서리에 우뚝 솟은 거대한 탑으로 이루어졌는데, 구성은 입체적이고 중앙은 약간 높다. 회랑의 높이는 제1회랑(215×187m)이 4m, 제2회랑(115×100m)이 12m, 제3회랑(60×60m)이 25m이다. 세계의 중심이며 신들의 자리를 뜻하는 수미산()은 돌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쌓아놓았으며, 높이 59m의 중앙사당탑의 탑 끝에서 3중으로 둘러싼 회랑의 사각탑 끝은 선으로 연결해보면 사각추()의 피라미드 모양이 된다.

이 사원의 뛰어난 미술적 건축양식은 인도의 영향도 받아들이기는 하였지만 건물의 형태나 석조장식() 등 모든 면에서 앙코르왕조의 독자적인 양식을 지니고 있다. 특히 전장() 760m에 이르는 제1회랑벽()의 부조, 제2회랑 안의 돌로 조형한 샘물[], 제3회랑 내부의 화려한 십자형 주랑()과 탑 등은 뛰어난 구조물이다. 조형에서는 하늘의 무희() 아프사라스, 여러 개의 머리를 마치 부채처럼 치켜든 커다란 뱀, 창문·기둥의 장식조각 등이 돋보인다. 앙코르왕조는 13세기 말부터 쇠망하기 시작하여 15세기경에는 완전히 멸망함에 따라 앙코르와트도 정글 속에 묻혀버렸다.

1861년 표본채집을 위해 정글에 들른 프랑스 박물학자가 이곳을 발견, 그때부터 다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지역은 1972년부터 외부인에게 폐쇄된 이후 낮이면 베트남군이, 밤에는 크메르루지의 게릴라가 번갈아 장악하면서 전화()와 약탈로 훼손되어 수많은 불상이 조각난 채 나뒹굴고 대부분이 외국으로 유출되어, 완전한 복구는 어려운 상태이다. 1982년 집계를 보면 앙코르와트의 중요 유물 30점 이상이 없어졌고, 전체 유적의 70%가 복원불능의 상태로 파괴되었으며, 사원 근처 왕궁의 유물 약 1,000점이 도난·파괴되었다. 유네스코에서는 1983년 이 유적지의 복원을 위해 조사단의 파견을 캄보디아 당국에 통보한 바 있다.

 
 
아침의 난리통을 끝내고 숙소에 오니 툭툭기사가  말썽을 부린다.
오늘이 중국설이라 낮까지 밖에 운행을 못한단다..그래서 12시까지만 운전해 주고 14달러를 달란다.
(날 호갱님으로 아나..ㅡㅡ)
어제는 분명 3일내내 해주겠다.자기가 3일간 책임지겠노라며 고양이눈을 하며 바라보던 짜식이...
혹 내가 다른 사람을 쓰면 이사람은 3일간 벌이가 없겠구나 하여 악간의 ㅇㅕㄴ민으로 지목 했더니만..이러 황당한,뒤통수 맞는 경우가..
(웬만하면 1~2불 더 주더라도 숙소에서 지정된 툭툭을 이용하기바란다..걔들은 이런 식으로 나올 수 없으니..)
 
"당신은  거짓말장이야~!!"하고 보내 버렸다
 
일단 문제는 없지만 오늘의 일정이 꼬이는게 제일 큰 걱정!!!
 
그러나 구세주들이 등장...
그제 같이 똔레샆 호수갔던 여자분들 3분이 마침 아침일정이 앙코르 왓으로 겹친단다..거기 1/n해서 동승하기로 결정!
역시 혼자 왕처럼 투툭을 타기보다 1/n하니  엄청싸다^^
 
나도 좋다 흐흐
외롭진 않고 어린 여성분들과 반나절 함께 하는것도 ^^
 
 
16269E414F2E3C9F1E2E72
 
앙코르 왓으로 들어가는 해자
 
새벽 표검사할때 2달러를 잃어버렸는데 바닥을 찾아봐도 없다..
당연히 없겠지.
(배고픈 어린 아이들이 득템했기를 바라며....)
 
 
171AA5414F2E3CB329425D
 
유명한 앙코르와트 외부회랑 앞의 난다상
 
182805414F2E3CBC1D36DD
 
 
11252D414F2E3CC51F9985
회랑의 가운데를 지키고 있는 큰
비쉬누 상
입장하는 사람들을 고압적(?)으로 내려다 보고 있다.. 
 
171CD3414F2E3CCD2805F8
 
132E03414F2E3CD61560A5
 
131F07414F2E3CE025A544
 
113D5E464F2E3CEA2F6B34
 
바깥 회랑
엄청남 벽화가 세겨져 있다.
정말 책에 나오는 부조화들이 모두있다.
*부조가 상달히 어려운데 모두 다른크기와 다른 얼굴로 조각을 해놓은 걸보니 옛 사람들의 종교의 힘을 대단하고 불가는을 가능케 하는 것이업ㅆ나보다.
-부조상의 표정이 다 다른것은 아마 한사람이했기 보다는 깍는 사람들이 다 달라서 그럴거야.....^^
 
*부조의 까맣고 맨질맨질 해진 부분은 손때가아니라 탁본 시 생긴 흔적이라고...
참....이런 중요한 탁본을 기름으로 하는 학자들이 어딨나..ㅡㅡ
 
15659B464F2E3CF3026B4F
 
134796464F2E3CFC24BD64
 
<우유바다 젓기 벽화>
 
사무드라 만탄 (데바나가리 문자: समुद्र मंथन), 즉 우유 바다 휘젓기힌두교의 창제신화이다.
태초부터 신과 아수라, 즉 악마는 서로 싸움을 벌였다. 그러나 아수라들이 더 강했고, 신들은 몰살당할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러자 신들이 모여서 방법을 논의했는데, 유일한 방법은 불멸을 얻는 것이었다. 신들은 비슈누에게 가서 영생의 약 '암리타'를 얻기 위한 우유 바다 휘젓기를 하게 해 달라고 요청했고, 비슈누는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제시했다.
  • 아수라의 도움이 필요하니 암리타를 나눠 주겠다고 속이고 동참시킨다.
  • 만다라 산을 뽑아 와서 회전축으로 삼는다.
  • 거대한 바수키로 만다라 산을 휘감는다.
그런 다음 비슈누는 거대한 거북인 쿠르마로 변해서 만다라 산이 가라앉지 않게 떠받쳤다. 이렇게 해서 천 년 동안 우유 바다를 휘젓게 된다.
처음의 물결 속에서 불순물이 응축된 푸른 독약이 형성되었고, 이어 흰 암소, 흰 , 라크슈미 여신, 압사라가 나오고 신들의 의사 단반타리암리타가 든 호리병을 들고 태어났다. 암리타를 신들이 먹을 때 아수라들도 변장해서 먹었고, 그 결과 오늘날까지 신과 아수라가 싸우게 되었다.
 
 
134192464F2E3D072A88D7
 
183E5F464F2E3D152B8A7C
 
 
부서진 유적들위로 돌탑을 쌓아 놨다..
한국사람드이 한 것일까?
아님 세계적으로 이렇 돌을 쌓는 풍습이 있는걸까?
 
1645AA464F2E3D2028B3C5
 
중아성소로 가는 계단에서 바라 본 바깥회랑
 
133686464F2E3D2A377FF7
 
중앙성소
지금은 옆으로 돌아 나무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있다.
*예전 몇번의 사고들이 있었기에 돌계단으로는 출입이 금지.
 
123246434F2E3D354AF959
 
전통 복장을하고 사진을 찍어주는 아이들..
 
1230D1434F2E3D3F323336
 
1957C2434F2E3D4A076B1F
 
183017434F2E3D5635DDF6
 
가파른 계단을 오른 뒤 밑을 보니 
 남녀노소 할것없는 다국적의 여행객 들이 주르륵 앉아서 쉬고있다.
 
114064434F2E3D5F207617
 
183104434F2E3D6B35FE75
 
1734D7434F2E3D772C7BC4
 
한국의 불상은 광배(후광)을 하고있지만 나가상으로 광배를 대신하고 있다.
불교가 극돌아시아로 전파되면서 나가상 모양의 광배에서 후광모양의 광배로 변화했다고.
 
163E16424F2E3D820B9FFB
 
143462424F2E3D8C1415EE
 
133780424F2E3D97117758
 
1742F8424F2E3DA1063B32
 
붓다갤러리.
 
113C59424F2E3DAE0D7521
 
 
 
203C66424F2E3DC00D7182
 
<마른 호수에서 본 앙코르 와트 >
12439B404F2E3DCD2FB7F7
 
184CBD404F2E3DD5255B6A
 

<평양랭면>
 
내가 혼자 다녓으면 이런 냉면집을 오기라도 했을까?
그냥 로컬식당서 먹고 말았겠지만 일행들이 점심은 냉면으로 하자고 한다..
대찬성이었고 탁월한 선택이었다,^^
언제 평양식랭면을 그것도 외국에서 먹어본단 말인가....
 
맛도 맛이지만 때마침 점심때라 공연까지~
 
공연사진 찍어대는라 냉면사진은 커녕 간판도 못 찍고..
더 웃긴건 찍은 사람도 이 사람 밖에....
내심 나도 모르게 마음ㅇ 들었나 보다...^^
 
174D19404F2E3DDD264654
 
1756C9404F2E3DE31B1D11
 
1949EB404F2E3DEB2E0AF4
 
19524A404F2E3DF12146EA
4 Comments
바람난고양이 2012.02.12 22:40  
사진 너무 좋습니다^^
겨누 2012.02.13 16:34  
감사합니다~~~!!^^
다동 2012.02.16 21:33  
아, 백광숙 동무.
김일성 원수와 혁명을 함께 완성한 백학림 차수의 일가친척이시자,
그 오빠는 단지 공부를 잘 한다고 해서 갈 수 있는 대학이 아닌 김일성 종합대학의 학생이며,
그 아버지는 단지 공부를 잘 한다고 해서 갈 수 있는 대학이 아닌 김일성 종합대학의 교수라는(게다가 물리학부라던가),

"백광숙 동무는 집안도 좋으시고 학벌도 좋으시고 게다가 이렇게 예쁘시니,
김일성 종합대학에 다니는 잘 생긴 청년하고 결혼하시겠습니다?"

예의수순이라 여기는 겸허의 대답이 아닌, 말 없이 끄덕이는 그 뺨이 붉더군요. 하하하.
다동 2012.02.16 21:34  
평양랭면관 간판에는 명실상부 평양랭면관의 간판스타인 김은아 동무가 자리하고 있지요.
오, 김은아 동무.

할 애기가 지천이니, 다음에 제가 글로. 하하하.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