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로 부터의 이탈 - 53. 마지막 왕조의 향기 in 후에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베트남
여행기

좌표로 부터의 이탈 - 53. 마지막 왕조의 향기 in 후에

역류 4 471

 

-후에 황궁Hue Imperial city : 1804년~1945년 동안 응우옌Nguyen왕조의 황궁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333_67.jpg
 응우옌Nguyen왕조는 베트남 전역을 통일한 첫 왕조이자 마지막 왕조국가였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366_85.jpg
시암Siam왕국에서 망명중이던 응우엔아인Nguyen Anhi이 시암과 프랑스 선교사의 힘을 빌어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431_45.jpg
떠이선TaySon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에 후에Hue에서 왕조를 열었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455_91.jpg
 왕조는 1945년 베트남민주공화국이 개국되기 전까지 143년동안 존속 되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816_27.jpg
후에황궁Hue Imperial city은 1804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837_65.jpg
왕조의 마지막 운명까지 함께 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862_64.jpg
13명의 모든 황제는 이 곳에서 머무르며 왕국을 통치하였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882_93.jpg
황궁의 가치와 통치의 유적을 인정받아 1993년 유네스코로 부터 인류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909_68.jpg
오랜 중국계 국가의 지배와 복속의 영향으로 인해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930_21.jpg
 궁 외부의 해자 토목양식이나 내부 건물의 건축양식, 조경양식이 중국의 것과 아주 유사하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955_1.jpg
자체 문자가 없었던 탓에 모든 통치자료는 한자로 기록되어 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49977_87.jpg
베트남 전쟁 시기에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던 탓에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001_49.jpg
지금도 복원 사업이 진행중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027_62.jpg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역사 유적지여서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098_3.jpg
 40도를 넘는 더위에도 수 많은 관광객이 향기를 찾아온다. 

 

 

-민망MinhMang 황제 : 왕조의 2번째 황제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293_16.jpg
민망황제는 개조인 지아롱GiaLong황제의 4째 아들로 1791년에 태어나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315_55.jpg
1820년에 황제에 등극해서 21년 동안 통치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338_87.jpg
 재위기간 황제는 많은 개혁적 통치를 했다고 하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362_32.jpg
군사기지 재편, 지방행정구역 정리, 고위관료의 세재 강화등과 같은 통치 개혁과 함께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387_11.jpg
국민을 위해 도량형 통일, 구휼소 설치, 국립 교육기관 설립, 도로망 개선등의 정책도 폈다고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406_96.jpg
속국이었던 참파Champa국을 완전히 병합하여 베트남 전역을 최초로 통일하였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430_34.jpg
 주변국에게 패권을 행사하고 서방제국주의에 맞서고 기독교를 탄압 할 만큼 자신감이 충분 했었던 것 같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456_28.jpg
 황제는 1841년에 78남 64녀를 두고 사망했다. 

 

 

-뜨득TuDuc 황제 : 왕조의 4번째 황제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527_01.jpg
황제는 1847년 부터 1883년 까지 36년을 통치한 왕조의 최장수 황제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550_38.jpg
그의 황릉은 후에황궁에서 남쪽으로 7km 떨어진 곳에 왕비인 티엔안스ThienAhhs의 능과 함께 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599_85.jpg
재위 기간 동안 기독교를 탄압하고 수만명의 기독교인을 처형하였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631_05.jpg
이것이 빌미가 되어 1858년 프랑스 제국주의와의 전쟁을 시작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652_47.jpg
개전후 4년 뒤, 1862년에 항복을 선언하고 불평등 조약을 맺게 되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695_2.jpg
남부 3개주 할양, 전쟁 배상금 지불, 프랑스 전함의 메콩강 자유 항행, 기독교 포교 자유는 물론이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714_79.jpg
베트남의 외교권 행사시에 프랑스 황제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치욕적인 조항도 있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735_14.jpg
결국 프랑스는 1867년에 남부 베트남과 사이공을 식민지화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769_09.jpg
황제는 생전에 이 곳을 휴식처로 삼았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791_78.jpg
황제를 위한 극장을 비롯해서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844_62.jpg
 많은 부속건물은 물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870_09.jpg
대규모의 정원까지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909_31.jpg
격동하는 역사의 흐름속에 던져진 황제의 휴식을 위해 이 만큼이 필요했을 것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933_98.jpg
서구 열강의 무력을 앞세운 침략에 그가 선택할 수 있는 폭은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976_69.jpg
그러한 그의 고뇌가 그가 남긴 기록물에 나타난다고 하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0996_54.jpg
 실제 왕조의 기록물 중에 절반 이상이 그의 재위기간에 편찬되어졌다고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031_72.jpg
그는 경제, 정치, 군사. 문화, 관습, 국제관계에 대한 많은 기록들을 남겼다고 하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054_76.jpg
 그런 이유로 그는 매우 부지런하고 명석한 황제였다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126_14.jpg
황제는 자식이 없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147_46.jpg
그래서 1883년의 황제의 승하 이후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181_33.jpg
황족간의 황위를 차지하기 위한 혼란이 시작되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201_83.jpg
그 혼란은 프랑스 제국주의가 더 깊이 베트남 땅으로 파고드는 계기가 된다. 

 

 

-까이딘Khai Dinh 황제 : 왕조의 12번째 황제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261_33.jpg
황제는 1885년에 태어나 1916년에 왕좌에 올랐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282_74.jpg
그리고 1925년에 승하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323_68.jpg
황제의 능은 생전인 1920년 부터 사후 1930년 까지 10년 동안 축조되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342_29.jpg
 건물이나 조형물의 양식이 이전과는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363_08.jpg
유럽의 고딕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385_78.jpg
건축 소재 또한 이전과는 다르게 석재가 대부분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444_56.jpg
유약했던 황제의 성품과는 달리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466_59.jpg
황릉은 강한 기개가 느껴지는 양식이고 소재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485_93.jpg
황제는 생전에 평화로운 안식을 즐겼다고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508_58.jpg
다른 선택이 없었을 것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530_57.jpg
이미 왕조의 모든 권력은 프랑스 제국주의에게 넘어갔기 때문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552_55.jpg
황좌에서 그가 할 수 있는 통치 행위는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573_33.jpg
겨우 국가적 행사나 공연, 고위 공무원 임명이나 파면에 대한 결재 뿐 이었다고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596_88.jpg
황제는 13세의 아들, 바오다이BaiDai에게 이름뿐인 권좌를 남기고 승하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624_95.jpg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는 즉위 후 다시 프랑스로 유학을 간다. 황제가 왕국에 없어도 되는 시절이었다. 

 

 

이상 후에궁, 민망 황릉, 뜨득 황릉, 카이딘 황릉에서 응우옌 왕조의 사라져감을 밟아 보았다.

 

이 외에도 후에에는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681_98.jpg
많은 응우옌 왕조의 흔적들이 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703_97.jpg
티엔무ThienMu사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1808년에 지어진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727_1.jpg
문학사원인 반미우Van Mieu가 있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768_38.jpg
1601년 응우엔 가문의 호앙에 의해 축조된 티엔무TienMu사원도 그러하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796_15.jpg
노파의 예언에 따라 나라와 가문의 번영을 위해 7층 석탑을 지었고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837_63.jpg
그후 몇번의 개축을 하고나서 응우옌 왕조의 신성한 사찰이 되었으며 후에의 상징이 되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861_85.jpg
여튼 그 노파의 예언처럼 200년 후에 응우옌 가문은 이곳에서 왕조를 열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1913_45.jpg
그리고 황궁에서 멀지 않은 곳에 호추옌HoQuyen 원형 경기장이 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024_77.jpg
아쉽게도 보수 공사중이어서 들어가보진 못햇지만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046_93.jpg
미뤄 짐작하건데, 로마의 원형경기장에서 처럼 이 곳에서도 죄수들의 격투가 있었지 않을까 싶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073_54.jpg
 경기장 가까운 곳에는 희생자들을 위한 사찰도 있는 듯 하다만 개인적인 추측이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125_79.jpg
그리고 황제들이 하늘에 제사를 지낸 단남지아오DanNamGiao가 후에성으로 부터 정남향에 있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145_99.jpg
1806년에 축조되었고 매해 봄에 황실에서 제사를 지내다가 1891년 이후 부터는 3년마다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170_2.jpg
 제단의 외곽단은 사각형이고 내곽단은 원형인 것은 중국의 제단 양식을 철저하게 따른 듯 하다.  

 

7241e335f66dc027f91b7c01ea982ff8_1612252194_62.jpg
 후에에는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있었던 왕조의 흥망에 관한 향기가 온 도시에 베여있다. 

이제 활기찬 젊은 베트남의 향기를 이 곳에서 맡아 봐야겠다. 



4 Comments
타이거지 2019.06.19 07:55  
하노이,닌빈,사파 일정을 제외하고..
중부에선..다낭 호이안 후에 일정 중에..
필리핀님이 추천하신 "후에'가..제일로 좋았습니다.
맑고, 시원했던 날씨탓도 있었겠지만..느릿느릿~후에 왕궁 산책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습니다.
왕궁을 빼 놓코.."후에"를 말 할 수 없기에..
"응우엔왕조" 는 압니다 ㅡ.ㅡ'
후에의 젊은 베트남 향기를 맡으시려면..
료칸 목간통 나무 의자에 앉아..커피를 마시며..해바라기씨 좀 까야하는디 ㅡ.ㅡ'
역류 2019.06.19 20:32  
젊은 베트남 향기를 맡으려고 매일 밤 흐엉강(향기나는 강)변으로 갑니다만....더워서...
밤에도 너무 더워서...1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맙니다.
meiyu 2019.06.20 11:32  
작년 12월 다낭에서 후에로 가는 기차를 타고
하염없이 비 나리는 하이번 고개를 넘던,
차창 밖의 풍경과
후에성에 매혹 되었던 시간들,
그리고 민망, 뜨득, 카이딘 왕릉을 보면서
느꼈던 감정들이 생각납니다.
특히 뜨득 왕릉의 정원을 보면서 릉이 아니라 잘 꾸며진
정원을 떠올렸습니다.

날이 더우니 곳곳에 연과 수련이 피어있네요.
후에에서의 4일이 너무 짧게 느껴져 다시 가면 좀 오래
머물러 있고 싶네요.
역류 2019.06.20 19:52  
비내리는 하이번 고개!  꽤 운치있을 것 같습니다.
6월의 후에는 너무 더웠습니다. 그래서 한 낮의 산보는 너무 힘들더군요. 선선한 시절의 후에를 맛보고 싶네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