쁘레아 비헤르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캄보디아
여행기

쁘레아 비헤르

죽림산방 6 3759
어느 책을 보면...
절대적 권력을 소유한 왕들도 감히 넘어서지 못한 수도원. 당랙산맥 중간의 신비로운 곳에 위치하여 구름도 위로 감히 넘지 못하는 사원  
그곳이 바로 쁘레아 비헤르 이다.....라고 적어 두었다
 
역시..역시 였다.
 
사원은 893년 야소바르만1세시절의 산상 사원으로 지어졋다
(프놈바켕, 프놈북 등)
그러다가 후세왕들에 의해 꾸준이 증 개축 되었다
기록에는 수리야 바르만 1세와 2세때도 증축하였다고 한다
 
1904년 프랑스와 태국은 협정을 통해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을 당렉산맥으로 결정하였으며 당랙산맥의 대부분은 해발 300미터 정도이나 이 사원이 위치한곳은 해발 525미터로 높아 멀리 100키로 떨어진 프놈꿀렌까지 관찰되는 지형에 있다
 
국경협정이후 이 사원으로 인해 태국과 캄보디아는 국경 분재을 격고 있다.
1962년 국제사법제판소가 캄보디아의 손을 들어 주었으나  2011년에도 여러차례 폭격을 주고 받았던 곳이다
지금은 태국의 정권이 바뀌고 나서 전쟁의 기미는 없으나 양쪽다 군대를 배치해 놓은 곳이다.
 
이전에는 길이 험난하여 접근이 어려워 태국을 통해 사원으로 들어 갔으나 지금은 포장상태가 아주 좋아져 있다 시엠립에서 바로 가면 약 4-5시간이면 갈수 있는 곳이다.
 
이번 여정은 부산외대의 동남아학을 연구하는 연구진과 학생들 그리고 몇몇 지인들과 함께 하였다.
간단한 시간표는....
08:15  시엠립 출발
09:45  벙멜리아 도착. 관람
10:40  출발
11:30 꼬께 도착
14:00 출발
15:40 쁘레아 비헤르 방문자 신고장도착
16:20 사원 도착
 
다음날
07:40 출발
09:00 따목 사무실 도착
09:20 출발
09:40 폴폿 화장터 도착
09:50 출발
11:20 프놈꿀렌 매표소 도착
14:10 폭포 입구 출발
15:50 시엠립 도착
 
 
2070740074_F6aD4zTO_IMG_4662.JPG
2070740074_E1VGpYPo_IMG_4675.JPG
저 산 꼭대기에서 사원을 만날수 있다
프랑스가 물러난 후 태국은 이 사원을 점령 했었다
그러나 국세 사법 재판소의 판결로 태국이 물러났고 1963년 1월에 영토 수복식을 하였다
그때 당시 국왕인 노로돔 시학누빌도 절벽에 한시간을 매달려서 올라 갔다고 한다
 
2070740074_paoNFs3E_IMG_5664.JPG
 
 
2070740074_mTjZMESA_IMG_5588.JPG
방문자 신고서류를 작성하는 곳이다
이름,여권번호,국가 를 적는다
별도의 입장료는 없다
2070740074_dmS4EYsT_IMG_4389.JPG
사륜구동만이 올라갈수 있다
그래서 다른 차량으로 온 사람들은 오토바이 뒤에 매다려 가야 한다. 1인당 5불
 
 
2070740074_6ZsDIu8h_IMG_4390.JPG
2070740074_n1u7w5kE_IMG_4392.JPG
그리고 그 옆에는 군인과 경찰 등이 혼재해서 서 있다.
이곳에는 일반경찰과, 국경수비대, 사원경찰, 특수부대 등 많은 군인과 경찰이 배치되어 있다
2070740074_kuMZpJFa_IMG_4397.JPG
멀리서 보이는 길...
저 s자 길을 올라가서 다시 험로를 넘어야 한다
2070740074_kDL6JxnN_IMG_5589.JPG
사원입구 주차장의 판
크메르 사람들은 이 사원으로 긍지를 가진다2070740074_zdVptAQh_IMG_5592.JPG
일행이 군인에게 카메라를 내미니 바로 포즈를 취해 준다. 익숙해져 있나?
 
2070740074_KeIWOMJ1_IMG_5594.JPG
일행이 갑자기 산으로 뛰어 간다.
 
2070740074_ShcNoqHr_IMG_5596.JPG
뛰어가던 그가 자리 잡은곳.
유네스코 깃발.
2070740074_CjqZ3MKb_IMG_4430.JPG
2070740074_xp5oU1Iz_IMG_4432.JPG
 
이 사원은 2008년 7월8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되었다
2070740074_KOSYvQC3_IMG_4428.JPG
2070740074_84t19HNh_IMG_4476.JPG
 
건너편 태국땅
태국으로 접근하면 경사로가 완만하며 제일 밑에서터 사원을 모두 볼수 있다
캄보디아에서 1일 무료 비자를 발급해 준다
그러나 태국인은 이곳으로 들어 올수 없다
2070740074_w4ylCk6q_IMG_4433.JPG
저 밑에 국경이 보인다.
 
 
2070740074_ZtMPJk24_IMG_4437.JPG
2070740074_oJhBFmng_IMG_4440.JPG
2070740074_koYcERf4_IMG_4442.JPG
거대한 크기의 나가.
내가본 나가중에 제일 크게 만들어져 있다
빠콩, 쁘라삿톰 이후의 나가로 추정 된다
나가의 후광은 없으니 초기 나가이며 땅바닥에 올라와 있다.
 
2070740074_XzJg7OC1_IMG_4444.JPG
고푸라......1000년이 지났는데도..
2070740074_np0fbR1X_IMG_4447.JPG
2070740074_UFx6qoAI_IMG_4454.JPG
약간 다른 형태의 칼라
2070740074_Sp5Ri4eB_IMG_4463.JPG
2070740074_VP6NeFRZ_IMG_4465.JPG
3번째 참배로
어떤부분은 바닥의 돌을 깍아서..어떤부분은 돌을 놓아서 길을 만들었다
길 옆에는 석등이 있어 경건한 분위기를 더 한다
 
2070740074_rug51KI0_IMG_4491.JPG
곳곳에서 만날수 있는 연못
산 정상이라 해자를 만들수 없어서 이럿게 조성하기도 했고 빗물을 보관하기도 했으리라
2070740074_ALpcGsZR_IMG_4493.JPG
2070740074_Rfmosrkg_IMG_4496.JPG
중간에 만난 사자
중기 유적으로 추정 된다
특이한것은 뒷다리를 벌리고 있다
이런건 여기서 처음 만나 본다
 
2070740074_UQS32tAX_IMG_4510.JPG
2070740074_XFkpTRb3_IMG_4511.JPG
자리를 찾지 못하는 사자상
2070740074_HifdTQvg_IMG_4519.JPG
안면이 많은 부조를 만났다
그럿다
젓의 바다젓기 부조다
그런데 다른곳과는 다르다
왜?
2070740074_Ws3KfDka_IMG_4527.JPG
일단 왓 등에서는 왼쪽에 뱀의 대가리가 있는데 여긴 오른쪽에 대가리가 있다
 
2070740074_QExwrYe7_IMG_4530.JPG
그리고 쿠루마를 타고 있는 저 여인네는 누구를 표현한 것일까?
2070740074_kCZAJncq_IMG_4531.JPG
가루다가 나온다...
2070740074_ZMnX3ujc_IMG_4536.JPG
그러고 만다라 산에 매달린 사람들은 누구란 말인가?
2070740074_XmoZeVy4_IMG_4533.JPG
다른곳에는 없는 코끼리도 나온다
왓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왓보다 먼져 조각을 한것인데....
아이고 머리야
2070740074_7xXiKkYL_IMG_4545.JPG
사원을 짓는데 땅이 모자라니 이럿게 라테라이트를 쌋아 땅을 확보했다
2070740074_2JqxcSz3_IMG_4563.JPG
사원 바로 옆에 참호가 있다
89-99까지 주둔했던 베트남군이 만든 참호라고 한다
사원에서 좀 떨어져 짓지...문디.
 
2070740074_IPiWboK7_IMG_4580.JPG
칼라 위의 시바.
그리고 여인들...
2070740074_QwoYHf5k_IMG_4581.JPG
그 부조로 한참을 실강이 했다.
분명이 칼라인데 몸이 있다...
확인하니 몸통을 먹기 전의 칼라라고 한다
2070740074_F3ENoHDp_IMG_5629.JPG
제일 정상부위에 한 연못
작다고만 생각 했는데...
이곳은 왕의 목욕탕이었다고 한다
2070740074_mgQhnH3A_IMG_5630.JPG
2070740074_6ZWvU0ec_IMG_5631.JPG
부서진 이 자리에 본래 사자가 있었고 위의 연못을 통해 사자의 입에서 물이 나왔다고 한다
왕만이 그 물로 목욕을 할수 있었다 한다
2070740074_t5b7mXzQ_IMG_5632.JPG
저 계단을 통해서...
그러나 태국쪽에서 17세기 가져가 버렷다 한다
어느 대궐속에 숨겨져 있을지.
2070740074_rKhqk6xJ_IMG_5618.JPG
정상 회랑
야소바르만때 지은걸로 추정한다
아직도 부서지지 않고 있다
2070740074_hv1H5kcI_IMG_5624.JPG
제일 정상부
2070740074_Ibu7UGM2_IMG_4554.JPG
정상에서 바라본 당렉산맥.
그리고 드넓은 평원들
2070740074_Hv90zEYP_IMG_4660.JPG
 
2070740074_SCJaUMbP_IMG_5634.JPG
국경수비대 마크와 사원경찰의 마크.
드바라 팔마와 나가의 문야
2070740074_pNUvQPaY_IMG_5640.JPG
해질녁의 유네스코깃발
 
쁘레아 비헤르의 하루는 간다
 
돌아와서 다시 눈에 선한곳...
 
쁘레아 비헤르...
6 Comments
리차드권 2012.02.05 10:26  
태클1. 현재 태국쪽에서는 완전히 출입금지되어 있음
    (예전에는, 태국이름인 프라위한국립공원 입장료+팁+캄보디아 입장료를 내고 태국쪽에서
    관람할 수 있었으나, 현재 모두 중단! 캄보디아쪽에서만 진입가능!)
태클2. 사원 내부의 참호에 베트남군인 주둔한 시기는 1980~1989까지!

그냥 참고사항입니다!
깜따이 2012.02.05 16:34  
아 이곳이 그 유명한 태국과 캄보디아의 영토(유적)분쟁지 같군요. 아직은 관광객이 많이 없어 보이네요 ~
죽림산방 2012.02.07 13:49  
네.아직까지는 별로 없죠...

분쟁지지만 이젠 대부분 해결된 곳이랍니다
인텔리강 2012.02.06 21:28  
안녕하십니까
지난 여정을 함께했던 부산외대 태국어과 07학번 강태성입니다.
저희는 무사히 한국에 돌아왔습니다ㅋ
리차드권님과 죽림산방 형님들 덕분에 이렇게 흔하게 갈 수 없는 곳도 가보고
많은것들을 보고 느끼고 즐겁게 일정을 마무리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돌아오니 아쉬움이 가득하네요...
기회를 만들어 캄보디아에 꼭 다시 방문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죽림산방 2012.02.07 13:48  
잘 들어 가셧죠???
다음 여행때 봅시다
다동 2012.02.17 00:21  
아하, 여기가 그 말 많은 태국하고 씨부렁 씨부렁 구시렁 궁시렁 해대던 거기군요. 씨엠립, 적어도 3번 째가 있을 듯 합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