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로 부터의 이탈 - 60. 몰라도 되는 실존하는 것들 between 폰사완 and 므앙캄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라오스
여행기

좌표로 부터의 이탈 - 60. 몰라도 되는 실존하는 것들 between 폰사완 and 므앙캄

역류 7 609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804_94.jpg
폰사완에서 7번 도로의 서쪽으로 52km가면 므앙캄MuangKham이 나온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835_35.jpg
그 사이에는 희미하지만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몇 가지가 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855_97.jpg
2017년에 문을 연 폰사완에서 12km 정도 떨어진 곳의 깊은 산속에 위치한 반타이BanTai혁명기념 동굴도 그것이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879_78.jpg
1960년대, 누학품사반NouhakPhoumsavan을 비롯한 대미 항전 지도자들과 전사들은 이곳을 지휘부로 삼았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901_56.jpg
당대에는 남북의 호치민트레일을 지킨 군사 요충지였으며 지금은 승리의 역사를 가르치는 교육장이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932_35.jpg
폰사완 기점 28km 지점에는 나깜펭Nakhampheng마을이 있다. 마을에서 급경사의 남쪽 사면을 따라 2km정도 내려가면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957_62.jpg
원시상태의 카폭포TadKa가 모습을 드러낸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6986_73.jpg
화려하지도 웅장하지도 접근이 수월하지도 않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011_8.jpg
그덕에 인간의 보호없이도 모든 것이 스스로 태어나고 스스로 죽는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052_39.jpg
7번 도로 변에는 다양한 소수민족의 많은 마을들이 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105_53.jpg
이 주변에는 특히 몽족과 타이담족 마을이 많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136_1.jpg
나깜펭마을은 몽족의 영역인데,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160_7.jpg
치열한 전장의 용감한 전사였던 만큼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187_4.jpg
마을안에는 전통가옥을 배경으로 폭탄껍데기가 담으로 장식된 기념가옥이 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209_47.jpg
그러나 몽족은 패배하고 역사의 변방으로 내몰렸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238_7.jpg
그럼에도 마을 제사는 예전처럼 모셔진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265_53.jpg
무당이 소머리가 올려진 제단 앞에서 징을 두드리며 주문을 외우고 대나무 신목에 걸린 종이를 태우고 나면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293_83.jpg
모든 제관들은 함께 음복을 한다. 객에게도 음복의 기회가 주어진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320_86.jpg
폰사완에서 50km 지점, 므앙캄 도착전 2km 지점의 씨앙키아오Xiangkiao 마을에는 타이담족의 문화관이 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341_17.jpg
타이족의 일부이지만 여성의 치미가 검은색이어서 '담(검은)'이란 형용사를 붙여 타이담이라고 한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362_95.jpg
베트남전쟁에서 타이담족의 일부는 몽족과 마찬가지로 미군의 편에서 비밀전쟁을 수행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393_85.jpg
그러나 패전과 함께 잊혀질지 모를 공포에 밀려 미국 아이오와Iowa주로 대규모 이주를 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420_3.jpg
그래서 지금은 아이오와주의 타이담족이 그외 지역의 타이담족보다 많다고 한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456_02.jpg
므앙캄에서 푸라오방향 6km 지점에는 374명의 마을 사람들이 베트남 전쟁을 피해 숨어 지냈던 피우동굴ThapPiew에 있다. 

그리고 동굴 입구에는 1968년 미군의 미사일 공격에 희생된 무고한 마을사람을 기념하는 '분노의 동상'이 있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487_28.jpg
남은 두어시간동안 고원의 찬비에 젖은 몸을 므앙캄 서쪽 4km지점에 있는 반상마을의 온천 BanXang Hot spring에서 달랜다. 

 

9f735cdb90f1aac36c6e44620b542367_1611817516_55.jpg
 몰라도 되는 그곳에, 몰라도 되는 사람이 살고 있고, 몰라도 되는 이야기가 들리고, 몰라도 되는 자연이 살아있다.  

 

  

7 Comments
미미소 2019.07.15 10:07  
2~3이면  폰사반을 돌아볼것 같았는데.....,폰사반 주변 마을은 별도로 계획을 세워서...  집중적으로 다녀야 겠습니다.
역류 2019.07.15 11:21  
여행 목적에 반드시 부합할 것 입니다. 그래서 2-3일로 모자랄지도^^
미미소 2019.07.15 20:12  
다른곳 생략하고 폰사반만 따로 여행계획을 잡아서 가야 될것 같습니다.
탑스파이 2019.07.16 14:38  
부럽습니다. 시원하고 쾌청한 곳 이군요. 코알라님은 빠이 심향게하 바지사장으로 7월 20일 부터 한달간 잡혀 있을거라는 소문이 돕니다. 빠이에서 피아노 불법 교습소를 차리는게 어떨지 충고 드리려 합니다. 여행 중 3일 정도 머무시면 엘리제를 위하여 (루트비히 판 베토벤, Bagatelle in a minor WoO 59 “Für Elise”) 정도는 마스터 할 듯 합니다. 역류님이 베트남 사파에 계시는 줄 알고 코알라님께 하노이 있을 때(현재) 붙잡아서 같이 가시라 말씀드렸는데, 벌써 폰사완 이시군요. 쩝.
가자는 분과 오라는 분과 있자는 분들... 잠시 한발 물러서 둘러보는 시점입니다.
한국은 바람이 아직 선선합니다. 그리고, 또 하루가 갑니다.
밥은 잘 챙겨 드시지요? 식탐이 과한 시절 입 짧은 그대에게 물어 봅니다.
'늙나?' 주절주절 되는군요. ㅋㅎ
역류 2019.07.17 13:02  
순둥이 코알라씨는 바지사장이나 불법교습 강사가 어울리지 않은데...그것이 공익에 부합하고 공의에 맞다면...지지합니다!
입 짧은 그대는 최적의 메뉴 너댓가지를 발굴했답니다.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카오삐약,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카우쩌우와 반찬,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유럽식 구운 빵들,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콩물과 밀가루 튀김,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불닭볶음면, 그리고 고구마~~~아, 팍치가 들어가지 않은 신닷도 있군요. 이 정도면 충분하고 남습니다만 한 번씩 맵고 칼칼한 찌개맛이 그리울 때가 있답니다.
아톰달래 2019.07.30 23:56  
라오스 갔다온게 벌써 5년이 넘었네요. T-T
다시 꼭 한번 가보고 싶은 곳입니다.
폰사반도 다음에 꼭 가봐야겠네요.
역류 2019.08.01 11:36  
라오스도 꼭 다시 보고싶어 한다고 하네요^^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