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소도시여행 - 싸꼰나컨 Sakon Nakhon - 2. 왓 탐파댄 방문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여행기

2017소도시여행 - 싸꼰나컨 Sakon Nakhon - 2. 왓 탐파댄 방문

망고찰밥 12 708

소도시여행 - 싸꼰나컨 Sakon Nakhon - 2. 왓 탐파댄 방문
 
=================
2017. 03. 09 목요일 - 왓 탐파댄 Wat Tham Pha Daen 방문
 
간밤에 비내리는 소리가 오랫동안 들렸습니다.
무슨 한국 장마도 아니고 이렇게 자꾸 내리는건지 원...
오늘은 웬일로 좀 일찍 일어났지만 비가 그치지 않으니 뭘 할 수가 없습니다.
 
원래 계획은 모터바이크를 빌려서 왓탐파댄 가보려고 했으나 이렇게 비가 자꾸 내려서는 갈 수가 없습니다. 아니, 그보다 자전거 빌릴곳도 없던데 모터바이크는 대체 어디서 빌릴 수 있을까요. 혹시 빌린다해도 비가 내리는데 미끄러져 사고나기 딱 좋습니다.
왓탐파댄 사원은 산위에 있어 대중교통이 없을거라고 봅니다. 

왓탐파댄: https://goo.gl/maps/QdMaU36XPZPgdz827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8_4.jpg

택시를 타면 갈 수는 있겠지만 그 사원하나 보자고 택시빌리는게 너무 과한 지출같기도 하고 망설여지고 있습니다. 콩찌암에서 뚝뚝탔던 일이 생각납니다.
어떻게든 갔다해도 비맞으며 구경하기도 그렇네요. 우산까지 사야될 판입니다.
 
이래가지고 왓탐파댄은 고사하고 저녁에 시내 호수나 갈 수 있기나 한건지....
이러다가는 며칠 남지 않은 여행날짜에 다른도시 일정까지 차질이 생기겠습니다.
 
어디 밥먹으러 나가지도 못하고 방에 있다가 어제 저녁 야시장에서 사온 바나나를 먹다가 비가 좀 그치나 해서 나가려니 또 비가 옵니다. 또다시 바나나만 계속 먹고 있네요.
 
제 방에서는 전화신호도 3g만 잡힙니다. 방 주변에 다른 빌딩들이 감싸고 있어 그렇습니다.
로비 밖으로 나가면 4g 신호가 잡힙니다.
 
오전 10:45 드디어 비가 그쳤습니다.
비는 그쳤지만 당장 할게 없으니 일단 시장이라도 구경해보기로 합니다.
 
호텔입구부터 장사꾼들이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8_61.JPG

도로에 제법 차량들이 다니고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8_81.JPG

이 도로 양쪽으로 시장이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9_02.JPG

야시장 방향 시장골목. 좁은 골목 안에 시장이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9_24.JPG

골목을 끝까지 통과하면 MJ Majestic Hotel이 보이고 세븐일레븐도 있습니다.
다시 버스터미널로 왔습니다. 오늘은 할일이 없기때문에 그냥 왔다갔다 하는 것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9_45.JPG

썽태우들이 정차하고 있지만 이 시간에는 손님은 별로 안보이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9_65.JPG

이 터미널 입구의 세븐일레븐에서 밥과 음료를 사서 대충 한끼 때웁니다.
다시 숙소 입구 근처로 왔습니다.
바로 숙소 맞은편에 보이는 이 시장은 몇년전에 왔을때보다 시장상권이 많이 죽은 느낌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089_86.JPG

예전에는 저 앞에서 노점상들이 활발했었고 건물 안에서 밥도 사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숙소 입구에 있던 식당. 장사가 안되는지 제가 지나가니까 들어오라고 부르네요. 비싼곳은 아니지만 제가 지금 푼돈을 아껴야 되는 처지라서 세븐일레븐 밥을 한참 먹어야될 상황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0_62.JPG

왜 푼돈까지 아껴야 되냐하면 지금 하늘을 보니 구름이 많이 옅어졌습니다. 일시적인게 아니고 정말 하늘이 완전히 개일것 같은 예감입니다. 그래서 지금 왓탐파댄 가는 택시를 알아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요금이 만약 1000밧 이내라면 두손을 부들부들 떨면서 지불할 생각입니다. ^^;
콩찌암에서처럼 뚝뚝을 타는 그런 무모한 짓을 여기서 다시 하지는 않으리라...
 
호텔로 들어가며 로비에 보니 어제 대화가 잘 통하던 그 남자직원이 있습니다.
 
망고찰밥: Can i go to 왓탐파댄? (왓 탐파댄 갈수있어요?)
남자직원: Yes. Taxi.  (택시요)
망고찰밥: Only taxi? (택시뿐이요?)
남자직원: Yes. Do you want check price? (예. 요금 확인할래요?)
망고찰밥: (이친구 알아서 잘하는구만) Yes. Go and wait 1 hour, comback. (가서 한시간 기다렸다 돌아오는거요)
남자직원: (어딘가 전화를 걸더니) Car 800밧. 모터바이크 500밧.
 
(다시 비가 안내릴지 확신도 못하지만 비가 안내려도 비가내린 후 산길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거리가 20km가 넘습니다.)
 
망고찰밥: (1000밧 안되는구나!) OK! Car taxi! (차량택시요!)
남자직원: OK. You want call taxi now? (예. 택시 지금 부를까요?)
망고찰밥: Yes.
남자직원: pay 800밧 now. If the taxi come here, then I will call you, by interphone.
(800밧 지금 지불하고요. 택시오면 인터폰으로 부를께요)
망고찰밥: I will comeback here after 10 minutes. (그냥 10분후에 제가 여기 나올께요)
남자직원: 10 minutes? OK.
 
방에서 잠시 양치를 하고 다시 로비로 나왔습니다.
기사가 대기하고 있습니다. 차량은 태국 길거리에서 매우 흔한 픽업승용차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0_83.JPG

호텔 로비에서 제 전화번호를 알려달라고 합니다. 만약 무슨 일이라도 생기면 필요하다고요.
저도 차량 번호판 사진을 찍어둡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1_03.JPG

묵다한에서처럼 뒤에 짐짝처럼 실려가지 않아도 되는구나. 역시 돈내니까 좋군요 ^^;
 
12:08 임페리얼호텔 출발.
도로따라 가다가 시골 들판을 지납니다. 구름이 차츰 더 옅어지고 젖었던 도로가 마르고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1_23.JPG

어떤 동네로 들어갑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1_43.JPG

간간히 이정표가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1_64.JPG

산길을 올라갑니다. 완만한 산길입니다. 하늘이 거의 개이고 있습니다. 다행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1_85.JPG

사원 입구입니다. 여기는 산위에 있어 대중교통으로 올 수 있는 곳은 전혀 아닙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2_05.JPG

12:45 주차장 도착. 약 35분 걸렸습니다.
사원안 주차장입니다. 주변에 고목들이 많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2_25.JPG

고목이기는 한데 어디선가 가져와서 새로 심은거네요. 받침목들이 세워져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02_45.JPG

전부 최근에 새로 심은 고목들 뿐입니다. 여기서 자라서 고목이 된 것이 아닙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6_69.JPG

저 위쪽에 바위와 탑이 보입니다. 여기서 보기에는 미얀마의 짜익티요 분위기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6_91.JPG

조금은 이상한 느낌도 드네요. 빨리크는 나무를 심어도 될텐데 왜 전부 고목들을 옮겨와서 심었을까...
나무를 옮겨심을 때는 뿌리와 흙을 최대한 많이 붙여서 옮기면 좋지만 부피와 무게때문에 뿌리를 조금만 남기고 운반합니다. 뿌리가 얼마 없기 때문에 뿌리에서 흡수하는 물과 양분은 매우 적습니다. 그 상태로 많은 잎에서 증산작용을 활발히 하면 체내의 수분과 양분이 고갈되어 나무가 죽습니다. 그래서 가지도 거의 다 자르고 잎도 거의 없애서 뿌리와 균형을 맞춥니다.
이렇게 심으면 조금씩 뿌리와 잎과 가지가 새로 나면서 차츰 다시 크는거지요.
그런데 동물도 늙을수록 상처가 잘 안낫듯이 나무도 마찬가지로 고목을 잘라서 옮겨심으면 뿌리가 내리고 완전히 정착하는데 오래걸립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7_12.JPG

고목을 옮겨심으면 문제가 많은걸 모르지는 않을테고 그냥 이 사원의 컨셉이 고목으로 장식된 사원, 뭐 그런거 같습니다.
주차장에서 길따라 올라가봅니다. 왼쪽에 건물이 하나 보이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7_34.JPG

신발을 벗고 계단을 올라 들어가봅니다.
건물안은 저한테는 딱히 인상적인 것은 없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7_56.JPG

이 건물 옆에 어떤 석상이 있고 뭔가 글씨를 적은 잎사귀가 달린 나무모양이 있습니다. 소원을 적었거나 가족이름을 적었거나 그런거겠죠.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7_77.JPG

코끼리 머리 뒤쪽에 보이는 저 공룡머리같은 것은 뭐지?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7_99.JPG

신발을 신기위해 다시 이건물 입구로 돌아와 계단을 내려오니 이제서야 이런 나무장식이 눈에 뜨이는군요. 울퉁불퉁한 나무로 꾸몄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8_2.JPG

저 울퉁불퉁한 부분은 오래된 나무에 생기는 일종의 식물종양 같은 것이겠지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8_4.JPG

길가에 계속되는 고목들. 전부 심은지 얼마 안되어 받침목이 설치되어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18_63.JPG

아직도 계속 심고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2_05.JPG

저 앞 바위 위에 탑이 보이네요. 저쪽으로 가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2_25.JPG

바위 오른쪽으로 들어가는 사람이 있네요. 저도 따라가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2_46.JPG

바위 뒤편에 계단이 있습니다. 따라가봅니다. 계단앞 우산아래서 뭔가 파는걸까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2_67.JPG

여기서 지폐를 동전으로 바꾸어주고 있군요. 여기서 동전으로 바꾼다음 계단위에서 뭘하는걸까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2_88.JPG

계단을 올라왔더니 인조잔디가 깔려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3_08.JPG

넙적한 바위에 발자국 문양이 4겹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그 안에 그릇이 몇개있고 동전을 들고 온 사람들이 던져서 넣고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3_28.JPG

이거 꽤 인기있는듯, 저만 빼고 여기온 사람들 다 던지고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3_48.JPG

이곳에서 내려다본 주차장 모습. 주변에 온통 새로 가져온 고목들을 심고 있습니다. 이제 겨우 가지가 조금씩 나고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3_71.JPG

나무의 크기에 비해 상당히 빽빽하게 심어져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자란다면 불과 몇년만에 금방 비좁을텐데요. 아마도 나무를 심어서 키우는게 목적이 아닌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만 뿌리가 정착하고나면 더 못자라게 억제시켜서 그냥 장식만 하는게 목적이 아닐까...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33_92.JPG


( 참고: 나무 성장 억제사례:
열대나무들은 빨리 자라지요. 뿌리가 위에서 치렁치렁 내려오는 보리수 나무도 빨리 자라는데요.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들중 나무들이 유적의 돌담을 휘감거나 파고든 곳이 있지요.
유명한 따프롬입니다. 뿌리가 벽돌을 파고들고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49_87.JPG

이런곳은 어째서 10년이 지나서 다시 가봐도 나무들이 더 안자라고 있는걸까요?
제가 듣기로는,
나무가 더 자라게 되면 뿌리가 파고들어 유적이 더 망가지거나 더 무거워진 나무때문에 유적이 무너지게 됩니다. 만약 나무가 죽어서 썩어도 역시 차츰 무너지게 됩니다. 관광가치도 적어질테고요.
그래서 나무가 더 자라지 못하게 억제제를 쓴다고 들었습니다. 아마도 칼륨을 많이 투입하지 않았을까...
그래서 10년전이나 지금이나 거의 자라지 않는거지요. 억제처리된 나무는 쉽게 구분됩니다. 하늘을 올려다 보세요. 나무는 엄청 큰데도 조그마한 잎사귀 몇개만 달려있는 나무들이 있습니다. 그게 성장 억제된 나무입니다.
 
관광가치도 없으면서 유적만 망가뜨리고 있는 나무는 그냥 싹둑.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0_1.JPG

이렇게 설명하니 마치 제가 이 방법을 비난하는 것같군요. ^^;
저는 이 방법이 좋지 않다거나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 그냥 설명하는것 뿐입니다.
인터넷에서는 이런 말많은 사람을 설명충이라고 하더군요....
농사를 지을때도 저렇게 양분을 조절하는 방법을 씁니다. 칼륨이 해로운 성분이 아니고 식물의 3대 필수영양소입니다. 사람들이 식이요법하는거랑 비슷합니다.
)

 

 

이 큰 발자국 있는 바위 옆에는 이 바위가 쪼개진 것이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0_33.JPG

위에 뭔가 조각했네요. 태국다운 섬세한 조각입니다.
예술에 무식하여 이런걸 봐도 그냥 와~ 크다~ 와~ 섬세하게 신경썼네~ 이런것 뿐입니다. -_-;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0_51.JPG

저쪽에 큰 목조건물과 전망보는 마당같은 곳이 있습니다. 저기까지가 이 사원의 전부인것 같습니다. 계단을 내려가서 저쪽으로 가봐야겠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0_73.JPG

동전던지러 오는 사람들이 끊이질 않는군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0_93.JPG

동전이 많이도 모였다... 한가운데 가장 작은 발자국에서 동전을 건져서 건조시키는건가?
이건 마치 도랑에서 물고기를 잡아서 햇빛에 말리는것 같군. -_-;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1_14.JPG

이보게. 그것도 못넣나? 동전을 발로 던지나?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1_34.JPG

(아니, 그릇이 발속에 있으니 동전을 발로 던지는게 맞잖아? 뭐가 문젠데?)
쿨럭.
 
발바닥 바위에서 내려왔습니다.
사진 가운데 이나무는 뿌리내리는데 실패하고 죽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1_55.JPG

조금전 봤던 큰 목조건물로 왔습니다. 입구부터 심상치 않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51_76.JPG

여러 고목들로 기둥을 세웠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4_68.JPG

여기도 울퉁~불퉁~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4_89.JPG

저기도 울퉁~불퉁~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5_09.JPG

나무에 여드름이 많이 났군요. 이런거 징그러워서 못보는 사람도 있을 듯 하군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5_3.JPG

표면이 흘러내린것 같은 나무. 거신병의 최후가 떠오르는군. (에라이~ 오타쿠.) 쿨럭.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5_51.JPG

저 많은 고목들은 다 어디서 구했을까? 그게 신기하군요. 어디 큰 산이라도 하나 깎은건가?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5_71.JPG

속이 빈 나무. 아마 속이 썩어들어가는 나무 표면을 감은 보리수겠지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5_91.JPG

이런 나무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하나하나 살펴보는 재미가 있을것 같네요.
 
이 건물 앞 전망보는 마당.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6_12.JPG

이 목조건물 옆에는 아직 심어지지 않고 대기하고 있는 고목들이 많습니다. 이 자리에 심을건가 보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6_32.JPG

고목은 구했지만 큰 바위는 구하지 못했는지 시멘트로 바위모양을 만들고 있습니다. ^_^;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66_54.JPG

아까 다른데서 쳐다보던것과는 달리 이곳에서 탁트인 느낌이 좋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8_31.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8_52.JPG

저 탑 있는 바위아래가 조금전 동전을 발로 던지는(?) 곳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8_72.JPG

다른곳 안나오게 신경써서 찍어봅시다.... 음 그럴듯 하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8_93.JPG

음 그럴듯 하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9_35.JPG

그러나 관광지 사진들이 다 그렇듯이 조금만 비켜나서 찍으면... 분위기 깨는 주차장입니다. ㅎㅎ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9_56.JPG

그래도 이 전망보는 마당은 잘 만든것 같습니다. 주차장 옆이라더라도 마음에 듭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79_96.JPG

그리 높은 산은 아니라서 멀리 내다보는 전망은 별거 없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80_17.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80_34.JPG

저 주차장 아래쪽에 또 나무를 많이 심고 있네요. 고목들이지만 다 최근에 심어진걸로 봐서 아마 최근에 크게 공사를 벌린것 같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80_51.JPG

이 마당은 멀리보이는 전망을 위한것이라기 보다는 아마도 저 탑을 보기 위한 전망대가 아닐까 싶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4_27.JPG

전망대? 한쪽에 가게가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4_48.JPG

가게도 온통 울툴불퉁한 나무로 만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사원의 컨셉은 울퉁불퉁 고목컨셉인 모양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4_7.JPG

이곳 테이블에 앉아서 탑을 바라보는 것도 좋군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4_9.JPG

물한병도 안사면서 가게 테이블에 앉아서 구경만.... ^^; 오늘 택시비를 지출해서 먹는 지출은 좀 자제를 해야....
 
저 건물 뒤쪽으로 계단이 있고 그 위에 건물이 있습니다. 저기도 가볼까?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5_12.JPG

뭐라고 써놨는데 어째 아무도 안가는 분위기군요. 이런데서 너무 설치지 말고 가만히 있어야겠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5_34.JPG

이제 그만 돌아갈 시간입니다. 주차장으로 가기위해 바위탑 뒤쪽으로 왔습니다. 여기에도 바위벽에 와불상이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5_55.JPG

주차장에 왔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5_75.JPG


이 사원에서 한시간 조금 넘게 있었네요.
13:55 택시를 타고 출발합니다.
고목을 또 싣고 들어오던 트레일러 차량이 길가에 있습니다. 어디서 저렇게 많이 가져오는건지 신기하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196_16.JPG

내려가는 길. 산길치고는 제법 넓은편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5_71.JPG

14:30 호텔에 도착했습니다. 35분 걸렸네요.
방에서 잠시 휴식을 합니다.
   
카메라도 다시 충전하고 쉬다보니 어느덧 오후 4시가 넘었습니다.
오늘 날씨도 괜찮으니 호수공원에 가야겠습니다.
16:15 방을 나섭니다.
로비에 가서 자전거 필요하다고 하니 1시간에 10밧이랍니다.
어? 어제 저녁에는 무료였는데? 아니면 어제 돈받는걸 깜빡한건가?
돈은 나중에 돌아와서 내면 된답니다.
직원이 자전거를 꺼내고 자물쇠를 주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5_91.JPG

16:20 호텔 출발.
이 자전거는 돈내고 타는건데 어제 저녁 공짜로 탔던 자전거보다 좀 뻑뻑하고 힘들군요.
야시장터 앞을 지나갑니다. 왜냐하면 호텔에서 도로를 안건너고 차량방향대로 그냥  달리면 야시장쪽이기 때문입니다.
야시장을 지나 핸드폰 많이 팔던 상가를 지납니다. 그리고 빅씨앞을 지납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6_11.JPG

빅씨앞 사거리에서 도로를 건너려고 기다리는데 3번썽태우가 보입니다. 아~ 이 도시에도 노선썽태우가 있단 말인가? 그렇다면 혹시 버스터미널2 가는 썽태우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6_32.JPG

호수근처 사원앞에 도착했습니다. Wat Phra That Choeng Chum Worawihan 이라고 합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6_52.JPG

이 사원에는 딱히 흥미가는 곳이 없어 그냥 안으로 들어갑니다. 저 건물 뒤쪽이 호수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6_72.JPG

사원 안에 호수쪽으로 나가는 길이 있습니다. 꼭 이길로 오지 않아도 되고 지도를 보면 호수에 가는 다른 길도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6_93.JPG

호수 공원의 이름은 쑤언쏨뎃 Suan Somdet Phrasinakarin입니다.
호수 옆에 왔지만 이 문은 자전거 출입은 못합니다. 여기서 안들어가고 그냥 오른쪽으로 갑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7_12.JPG

약간 가면 모터바이크들이 많이 세워져 있는 곳이 있습니다. 앞에는 노점상들도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7_33.JPG

16:50 이곳이 출입구입니다.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07_56.JPG

쑤언쏨뎃 입구 (화장실):  https://goo.gl/maps/YYfRdSqCYLJqV7hb7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19_28.JPG

호수가에서 분위기 잡는 사람들 ^^;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19_5.JPG

이 호수는 사람들이 달리는 구역인 큰 호수와 산책하는 구역인 작은호수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운동하는 사람들이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19_7.JPG

달리기 방향이 표시되어 있네요. 저도 자전거로 달려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19_91.JPG

그런데 이상하네.... 왜 자전거 탄 사람이 아무도 없지? 자전거 들어오면 안된다는 표시도 없는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0_13.JPG

뭔가 잘못들어온건 아닌가 신경쓰여서 빨리 달리지도 못하고 걷는 사람들 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천천히 달립니다.
바닥에 달린 거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0_33.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0_54.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0_75.JPG

1200미터 지점.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0_96.JPG

오른쪽에 뭔가 눈에 띄는 나무가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21_18.JPG

나무가지에서 내려온 뿌리같은 것이 기괴합니다. 어디서 본적이 있는것 같은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1_76.JPG

혹시... '천공의 성 라퓨타' 마지막에 나오던 그 나무?
(오타쿠 티내지마 좀!)
쿨럭.
 
그런데 저쪽 다른 호수에 보이는 저건? 오리보트가 있군요.
으흐흐.... 오늘은 기필코 우아한 백조보트를... ^^; (오늘은 타지마! 시간없다구!)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1_97.JPG

에휴~
여기서 오리보트 타다가는 시간이 어떻게 될지 몰라서 아쉬움을 뒤로하고 계속 자전거를 몰고 갑니다.
1288미터. 한바퀴 돌았습니다. .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2_17.JPG

근처 벤치에 앉아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저쪽은 다른 호수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2_38.JPG

여기는 구글지도에는 잘못나와있지만 근처의 거대한 호수의 일부분입니다. 저 건너편에 큰 호수 가운데로 들어가는 길이 있네요. 몇년전 왔을때는 걸어와서 힘들어 저곳에 가지 못했습니다만 오늘은 자전거로 갈 수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2_57.JPG

다시 이 공원 들어왔던 입구로 나갑니다. 입구에 있던 이 화장실에 잠시 들렀다 갑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2_79.JPG

쑤언쏨뎃(?) 입구로 나와서 왼쪽으로 갑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2_99.JPG

호수 가운데로 쭉 뻗어있는 저 길. 뭔가 좋은 느낌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3_2.JPG

호수 가운데로 가는 길. 입구로 왔습니다. 어떤 차도 한대 들어가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3_4.JPG

보도블럭이 깔려있네요. 이 길은 현재 구글지도에는 제대로 안나오고 있습니다. 지도에서 위성사진으로 보면 나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33_61.JPG

좀 더 들어가니 비포장길입니다. 오늘 아침까지도 비가 내려서 땅이 좀 안좋지만 그래도 갈만합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6_35.JPG

길 상황이 점점 안좋지만 차바퀴가 다져놓은 길따라 아직은 갈만합니다.
위치: https://goo.gl/maps/nHWsR9FPpZdhmhw78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6_57.JPG

비포장길이지만 가운데 나무를 심어 중앙분리대가 되었습니다. ^^; 오른쪽에 낚시하는 사람도 있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6_78.JPG

여기가 끝입니다. 위치: https://goo.gl/maps/F6ge6shiTYSw3y7R6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6_99.JPG

실제로는 1km정도의 길지 않은 거리이지만 해질무렵 호수옆 비포장길로 달리니까 마치 큰 호수옆 인적없는 들판을 오래 달리는것 같은 아련한 기분이 납니다. ^^;
 
잠시 자전거를 세워놓고 구경해봅니다.
작은 배가 있네요. 여기서 저걸타고 고기잡이하는걸까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7_19.JPG

저 수평선 보이는 쪽이 넓은 호수입니다. 지도를 보니 긴쪽은 10km가 넘는 큰 호수군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7_37.JPG

인적없는 호수의 아련한 분위기를 내기 위해서 자전거사진 한컷. 호수가를 달리는 분위기 납니다. 지금까지는 사진에 속지 맙시다라고 말해왔지만 이 사진은 실제 제가 느낀 것에 가까운것 같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7_57.JPG

다시 입구로 나갑니다.
입구 바로 앞에 이런 간판이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7_77.JPG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자전거 타는 공원인 모양입니다.
자전거 공원 : https://goo.gl/maps/eNHdb957ooq3yvZ19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7_98.JPG

들어갑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58_18.JPG

자동차나 모터바이크는 못들어가게 막아두었고 걸어서 들어가네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1_57.JPG

어? 그럼 자전거는 대체 어디로 들어가는데?
잠시 기다려보니 다른 사람들이 자전거 타고 들어왔네요.
갑자기 저런 이상한 곳으로 넘어들어가고 있습니다. -_-; 이보시오! 거긴 장애인 주차장 아니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1_77.JPG

장애인 주차장인데....
그런데 분명 자전거가 넘어갈 수 있게 만들어두었고 길은 이곳뿐입니다. -_-; 이런건 따지는게 아니고 그냥 따라해야하는 것입니다. ^^;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1_99.JPG

따라들어가니...
아~ 이곳은 자전거용 공원이군요. 왠지 아까 그 공원에 자전거 타는 사람이 아무도 없더라 했지.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2_2.JPG

길이 꾸불꾸불해서 빨리 달리지는 못합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2_45.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2_66.JPG

자전거용이라고는 하지만 공원이 너무 작아서 쌩쌩 달리는 재미는 없는것 같습니다.
호수방향 끝에 쉽터발견.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2_86.JPG

나름 많이 꾸며서 예쁜 공원입니다. 위치:https://goo.gl/maps/6XDgRPTaFYhvfCA39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3_06.JPG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3_27.JPG

나컨랏차시마의 그 호수 못지않게 예쁜 공원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73_47.JPG

좁은 공원에 옹기종기 길을 내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6_98.JPG

자전거보다는 그냥 걷기나 달리기용 공원으로 더 느낌이 좋고 어울려보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7_19.JPG

입구 근처에 화장실도 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7_39.JPG

화장실 근처 있던 나무. 뭔가 달렸는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7_59.JPG

과일 매니아가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들여다 봅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7_82.JPG

뭐지? 애플망고 닮았는데?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8_03.JPG

그런데 꽃이 일반 망고나무 꽃하고는 다르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8_25.JPG

음... 혹시 아시는분 있으면 가르쳐주세요.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8_46.JPG

제가 보기에는,
이 자전거 공원은 작아서 걷거나 달리기에 가장 적합하게 예쁘게 꾸며져 있습니다. 아까 들렀던 쑤언쏨뎃이 크기가 있어 자전거로 달리기에는 오히려 나은것 같고요. 그런데 사실 여기는 자전거 없이 걸어오는 사람한테는 시내에서 너무 먼것 같습니다. 그래서 자전거용으로 정했는지도 모르지요.
 
공원을 나와서 왔던길로 돌아가지 않고 이번에는 남쪽으로 달려봅니다. 자전거 길이 표시되어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8_67.JPG

18:17 숙소 임페리얼 호텔 돌아왔습니다. 두시간만에 돌아왔네요. 자전거 열쇠 반납하고 20밧 냈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88_86.JPG

음.... 이렇게 일찍 돌아올 줄 알았으면 오리보트 탈걸 그랬나? 이제 다시 갈 시간은 없으니 포기해야죠 뭐. 오리보트는 내년에 어디선가 탈수 있겠지...
 
방에 돌아왔습니다. 그 번데기 껍질들이 아직 그대로 있습니다. 번데기들의 생태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지요 ^^;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98_91.JPG

한시간 쉬었다가 19:20 다시 야시장에 왔습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99_12.JPG

요즘 계속 비슷한 것만 먹어서 최근에 안먹어본 저런걸 한번 먹었으면 싶지만,
요즘 날씨가 많이 더워져서 저렇게 미리 만들어둔 음식은 위생이 좀 걱정되기도 하고 며칠 안남은 여행일정에 차질이 있을까봐 안먹기로 합니다.

7614c9ba7221b9eed275cc379edd817e_1492785299_33.JPG

 

제 방은 에어컨방이라고 했는데 에어컨이 전혀 안되는것 같습니다. 게다가 비온 다음이라 방이 점점 더 눅눅해져서 이젠 영 별로네요. 방안에 어제 널어놓은 빨래가 아직도 전혀 안마르고 있습니다.
그래도 내일은 떠나니까 뭐... 다른데 가서 다시 말리지요 뭐.
 
   
오늘 요약:
임페리얼호텔 대충 만족합니다. 에어컨이 전혀 안되는게 문제입니다.
영어 잘 통하는 남자직원이 있어 왓탐파댄에 수월하게 다녀왔습니다.
택시 차량으로 왓탐파댄까지 왕복 800밧 지불했습니다. 사원에서 한시간 대기하는 조건입니다.
호텔방값도 싸고 자전거가 있어 교통비 별로 안들이고 시내 공원에도 다닐 수 있습니다.
  
오늘 방문한 왓탐파댄은 가볼만했습니다.
아직 고목들을 새로 가져다 심고있는 상황이어서 제대로 완성되지 않았지만 한번 가볼만한 곳이었습니다. 고목들로 만든 기둥들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오늘 방문한 호수공원은 이번 여행중 다녀본 호수공원중 최고였습니다.
비온뒤라 더 상쾌한 느낌때문일수도 있습니다. 나컨랏차시마의 호수공원도 좋았지만 거기는 한가지 느낌이었지만 이곳은 구역별로 각각 다른 느낌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호수공원은 세군데 구역입니다.
첫번째 방문한 쑤언쏨뎃(?): 달리기와 산책, 오리보트 탈 수 있는곳.
두번째 방문한 비포장길: 호수가 들판끝까지 가보는 기분. 좋은 느낌.
세번째 방문한 자전거 공원: 자전거 산책공원. 좀 짧지만 매우 좋은 느낌.
 
 
 --------------
구글지도를 캡쳐해서 아래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선명한 지도를 보시려면 클릭해보세요. 

 

싸꼰나컨 버스터미널 1 (근처 시골가는 썽태우): https://goo.gl/maps/BNoZ9Y7fAeXEBXb5A

싸꼰나컨 버스터미널 2 (시외버스 터미널): https://goo.gl/maps/a6GtxPNKy8oPkyez6

나컨파놈에서 오는 버스가 버스터미널 2 가기 전에 잠시 정차하는곳: 

https://goo.gl/maps/x1JyueYAReT6y45g7

 

싸꼰나컨 시내

Imperial Hotel : https://goo.gl/maps/J92GJ9v9krtNJ5ya6

시장: https://goo.gl/maps/AXB4hvBn9oY8h1zK7

야시장: https://goo.gl/maps/8WsDgFfvMJ5seNCP9

 

쑤언쏨뎃 입구 (화장실):  https://goo.gl/maps/YYfRdSqCYLJqV7hb7

호수가 자전거 공원 : https://goo.gl/maps/eNHdb957ooq3yvZ19

 

왓탐파댄: https://goo.gl/maps/QdMaU36XPZPgdz827


12 Comments
작은거인 2017.04.22 21:44  
망고찰밥님의 여행기를 모두읽고 저도 병이 전염되어 담달에 또 갑니다,.......ㅋㅋ
항상 좋은 여행기 감사합니다.
망고찰밥 2017.04.22 23:25  
그 전염병 이름이 역마살 아닌가요 ㅋㅋ
5월에 가면 엄청 덥겠네요. 그래도 과일축제 계절이니 과일맛은 절정이 아닐까 싶네요.
작은거인 2017.04.23 14:21  
넵,어려서 부터 있는 역마살이 나가지를 안네요. 가고자 하는곳을 못가며는
병이 아주 크게 납니다. 그래서,
집에 노인들도 포기하시고 병나는것 보다는 났다고 그려러니 하십니다.
한국은 백일간 걸어서 한바퀴를 돌았고, 이번에는 짬나는대로 태국외각을 위주로 함다니려 합니다.
그래서 님의 여행기를 꼼꼼히 보고
경로가 겹치는 곳에는 저의 지도에
표기하였습니다.
담에 좋은정보를 조심스럽게
부탁 드립니다.
역마살은 못고치는병 같아요..!
하여간 조금이라도 건강할때
움직이려고요.
감사 합니다
루나tic 2017.04.24 00:23  
앙코르왓가서도 사원에 엉켜있는 나무보고 특이하다고만 생각했는데 역시 사람은 알아야한다는걸..ㅎㅎ애플망고랑 닮은 과일 궁금하네요.ㅎㅎ
성미나 2017.04.24 19:09  
여행을 다니면서 즐거움을 많이 찾으신 듯 합니다.
다음 여행기도 기대해 봅니다.
건강하셔요.
작은거인 2017.04.25 10:26  
망고찰밥님 혼자 소도시 여행시
여행경비를 어떻게 소지하셨나요?
제가 체크카드는 있으나,
ATM기를 한번도 사용을 안해서 모르고,
그래서 예전엔 은행 청원경찰에게 부탁해서
ATM애서 돈을 찾은적이 있고요.
먼저 달에는 숙소에서 5,000밧을
카드로 5,200밧 체크하고 받은적이 있어요.
고액을 가지고 다녀야 할것간은데,......
요령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은 ATM사용기를 배우고 있어요,.....ㅋㅋㅋㅋ
근대 자신이 안서요.ㅋㅋㅋ
망고찰밥 2017.04.26 09:56  
돈보관은 전액 복대속에 넣고 몸에 차고 다닙니다. 숙소보관은 미덥지 못해서요.
소액은 지갑에 넣고 다니는데 옷 구조가 소매치기가 빠르게 꺼낼수 없는 형태입니다.
 
저는 같은 계좌에서 인출되는 체크카드가 두개입니다.
하나는 지갑에 다른 하나는 복대속에 보관합니다.
 
복대와 여권은 절대 벗어두고 다니지 않으며 잠잘때 외에는 항상 차고 있습니다.
 
 
 
ATM기 사용은 화면에 나오는 단어 몇가지만 숙지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ATM기 화면은 은행마다 조금씩 다른데요, 대충 말하자면,
 
카드를 넣으면 PIN NUMBER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카드 비밀번호를 누르고 ENTER 또는 ACCEPT 누릅니다.
 
화면에 ENGLISH 라고 나오면 누릅니다.
 
무엇을 할것인지 묻습니다.
WITHDRAW - 인출          - 누릅니다.
INQUIRY - 잔액조회
 
인출 눌렀을 때 이런 선택이 또 나옵니다.
CURRENT ACCOUNT - 현재계좌?
SAVING ACCOUNT - 저축계좌?
두가지가 무슨 차이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그냥 위쪽에 나오는걸로 누릅니다.
 
현금이 나오고 나서 ATM SLIP ? 이라고 나오기도 합니다.
영수증 받으거냐는 건데요, YES 또는 NO를 선택합니다. 그냥 CANCEL 버튼을 눌러도 됩니다.
카드가 현금과 함께 나오는 은행도 있는데 대부분은 현금 빼고나서 마지막에 나오는 것 같습니다. 카드 안빼고 떠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제가 그렇게 잃어버린 경험이 있습니다.
https://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mytravel2&wr_id=131363&sfl=mb_id%2C1&stx=stickyrice&page=3
 
 
 
요즘 EXK 가 수수료가 적다고 추천을 많이 하시던데 저는 EXK 카드를 쓰지 않습니다.
전산오류가 많은걸 봐서요. 그리고 정말 유리한가도 의심스럽고요.
내년에 직접 한번 확인해볼 생각입니다.
소액을 자주 인출할 경우에는 수수료가 적은 EXK카드가 분명 유리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한번에 좀 더 많은 액수를 인출하면 수수료 차이는 줄어듭니다.
저는 끄룽타이 KRUNGTHAI 은행에서 주로 인출합니다. 이번 여행에서 끄룽타이 은행의 환율이 다른은행과 차이가 많다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일반 체크카드로 인출하면 한번 인출할 때 수수료 200밧 정도가 나갑니다.
그런데 EXK 카드로 까시꼰 KASIKORN 은행에서 인출하면 수수료가 매우 적다고 합니다.
그러나 환율이 아주 좋지는 않습니다.
끄룽타이 은행에서 한번에 약 1만밧 정도를 인출하면 수수료는 200밧 정도가 나가지만 환율이 차이가 많아서 돈을 2만원 정도 더 많이 받더군요.
저한테는 그게 더 유리한것 같습니다.
정확한 차이는 내년에 EXK카드 만들어서 한번 확인해볼까 싶습니다.
 
 
 
ATM 사용법:
https://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basic&wr_id=349
 
카드복사 주의:
http://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info_biz&wr_id=3537
작은거인 2017.04.26 14:20  
세밀한 설명 감사합니다.
덩치가 작아 혹시 외지에서 깡폐를 만나면 어떡하나 하는 노파심에 걱정이되서요.
복대를 준비하는것이 말씀대로
좋을것 같은 생각이들어
바로 구입을 해야겠습니다.
정말로 감사합니다.
꾸벅
망고찰밥 2017.04.26 19:39  
복대가 몸밖에 드러나는 제품이아니고 옷속에 완전히 넣는 것입니다. 이런거 비슷하게 생긴겁니다.
http://www.travelmate.co.kr/product/product_detail.asp?product_num=223419
위의 제품은 저한테는 너무 비싸네요.

제건 싼겁니다.
http://item2.gmarket.co.kr/item/detailview/Item.aspx?goodscode=639864650&pos_shop_cd=SH&pos_class_cd=111111111&pos_class_kind=T&keyword_order=%bf%a9%b1%c7%ba%b9%b4%eb&keyword_seqno=11898031705&search_keyword=%bf%a9%b1%c7%ba%b9%b4%eb
이런거요.

허리에 차는게 불편하면 목에 거는것도 있습니다. 다이소몰에서 판매합니다.
http://www.daisomall.co.kr/shop/search.php?search_text=%EC%95%88%EC%A0%84%EB%B3%B5%EB%8C%80&x=20&y=21
작은거인 2017.04.27 11:36  
저도 어제 똑같은것으로 구입하였습니다.
님의 댓글보고 옥션에셔 검색하여 제일 저렴한것으로 구입하고
오늘보니 똑같은거네요.    감사합니다.
안에 땀방출이 쉽게되게 되어있어 고르다가 구입하였습니다.
물건 오며는 사진 올리께요.
진짜로 감사드립니다.
지금은 망고찰밥님하고 여행지가 겹치는 부분을 찾으며
저의 오래된 지도에 체크하고 있습니다,....ㅋㅋㅋ
망고찰밥 2017.04.27 20:14  
복대를 찰 경우 몸에서 나는 땀으로 인하여 복대가 젖기도 합니다. 안에 있던 돈도 젖을 수 있습니다. 저는 지퍼백을 이용합니다.


18cm x 20cm 지퍼백에 돈을 넣고 바람을 빼면 옆으로 두번 접어집니다. 그다음 복대에 넣으면 땀으로 젖지도 않고 물에 빠져도 돈은 젖지 않습니다.
조만간 여행준비물 게시판에 글을 올려야겠습니다.
작은거인 2017.04.28 07:59  
감사합니다.
조언대로 거행하겠습니다.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