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켜쥐면 지옥이요, 내려 놓으면 극락입니까?

홈 > 여행기/사진 > 여행기 > 중국대만
여행기

움켜쥐면 지옥이요, 내려 놓으면 극락입니까?

佳人1 0 1817

180FF8524D37003C2F12A1

클릭하세요. 600년 전으로 여행하십시다.

 

고향이 그리워 눈물짓는 병사도 있었습니다.

왜? 누구를 위해 이곳에 주둔해야 하는지 알 수도 없었습니다.

덜수는 명이 무서워 도망하지도 못하고 고향에 두고 온 엄니가 그리워 밤마다 흘린 눈물이 얼마인지 모릅니다.

성벽 위를 거닐며 보초라도 서는 날은 고향이 더 그립습니다.

눈발이 날리는 야밤에 하늘을 바라보면, 엄니생각에 눈물이 흐릅니다.

 

환장하겠습니다. 왜 중국의 황제는 권력만 잡으면 성만 쌓으라 합니까?

성하고 무슨 철천지원수가 졌기에 그 자리에만 오르면 그러는지 심보를 알지도 못하겠습니다.

어느 날은 잠자리가 뒤숭숭하다고 더 높이 쌓으라고 합니다.

 

기원전부터 만리장성도 쌓았습니다.

남방장성도 쌓았습니다.

여기 둔보에 롱리꾸청도 쌓으랍니다.

젠장! 중국에 태어난다는 것은 성을 쌓기 위해 태어나는 일입니까?

이번에는 미치겠습니다.

다 쌓은 줄 알았더니 먼저 쌓은 곳이 허물어졌다고 보수하라고 합니다.

세상의 민초가 모두 입을 모아 황제를 향해 '천세 천세 천천세~'를 축원해도 부가세인 백세도 살지 못하고 가는 주제에...  

 

1524E83E4D6A6BAC2BAD68

 

엄니가 보고 싶어 북쪽 하늘을 쳐다보며 훌쩍이기도 한 날이 몇 날 며칠인지 모릅니다.

왜 그런날은 꿈에서조차 엄니가 보입니까?

하늘의 별만 바라보아도 눈물이 저절로 흐릅니다.

아지랑이 피어 오르는 계절에는 저 멀리 엄니가 손을 흔드는 것처럼 보입니다.

 

1254C04A4D3AB8AD0A7872

 

때로는, 계급장 떼고 따지고 싶지만,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따지지도 못했습니다.

사오정이 따지다가 불만만 쌓인 녀석이라고 왕따시키랍니다.

그놈의 계급이 먼지 목을 옥죄어 들어왔습니다.

 

141371444D6A6C1D2D530F

 

따지려고 다가 갔다가 얼굴만 보면 그냥 침만 꿀꺽 삼키고 돌아온지 몇 번이나 되는 지 알지도 못합니다.

감기 몸살이라도 들면 왜 그리 서글픈지 모릅니다.

엄니손이 약손이라고 한 번만 이마를 만저주면 벌떡 일어날 것같습니다.

 

1347D14A4D3AB8B32B362A

 

그러다 어느 날 돼지고기 몇 점에 탁배기라도 특식으로 나오는 날은 그나마 해피했습니다.

황제가 후궁이라도 맞이했다고 특식이라도 나오면, 목구멍에 때가 벗겨지도록 꾸역꾸역 밀어 넣었습니다.

황제가 감당도 하지 못할 후궁이지만, 매일 하나씩 들여앉혀 놓았으면 좋겠습니다. 

 

141FE63A4D6A61F11A15F9

 

젠장... 왜 이런 만난 음식 먹을 때 엄니가 더 보고 싶은지 모르겠습니다.

보름 전, 술김에 소대장에게 엉겨붙었다가 그 다음 날 우물 파느라 죽는 줄 알았습니다.

물이 나오지 않는다고 묻어버리고 그 옆을 다시 파라 합니다.

젠장 폼은 황제만 잡으면 됐지 소대장은 왜 자기까지 거들먹거리나 모르겠습니다.

열린 공간인 화장실에서 서로 마주보고 응아할 때... 소대장이 나 보다도 못한데... 칫!

 

1257A94A4D3AB8B907AB20

 

먀오족은 문명인이 아니고 苗蠻이며 짐승처럼 더럽게 살아간다고 교육받았지만,

가끔 먼 발치에서 바라보이는 먀오족 여인의 모습은 선녀의 모습이었습니다.

한 마리 나비인냥 나풀거리며 걷는 모습을 바라보면 숨이 금방 막혀 죽을 것같습니다.

그러다가 그녀를 우두커니 바라보는 일이 유일한 낙이되어 버렸습니다.

그냥 보쌈이라도 하여 곧게 뻗은 신작로라도 내달려 깊은 산속으로 숨어들고 싶습니다.

 

1642083D4D6A6C7B1FC650

 

그녀들이 부르는 노랫소리는 하늘에서나 들리는 천상의 노랫소리였고,

수양버들처럼 낭창한 그녀의 모습은 봄바람에 하늘거리는 한 마리 나비입니다.

그냥 달려가 그 허리를 안아주어야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교육받은 게 모두 거짓이라 생각됩니다.

 

160CC33C4D6A6220348013

 

그래서 가끔 멀리 보이는 먀오족 여인을 바라보는 일을 낙으로 삼고 살았습니다.

그 순간만큼은 근심, 걱정 없었고 행복한 상상의 시간이었습니다.

저푸른 초원위에 그림같은 집을 짓고 그 안방에 침실을 만들어 먀오족 여인과 천 년 만 년 둘이서만 살고 싶습니다.

예쁜 꽃신을 신겨보면 정말 선녀처럼 보일 것도 같습니다.

 

111BE83A4D6A62A6247A1F

 

가까이 다가가 말이라도 몇 마디 주고받으면 목소리는 또 얼마나 고운지 은쟁반에 옥구슬 굴리듯 고왔습니다.

그래서 아들, 딸 구분않고 열 명이라도 낳고 알콩달콩 살아가고 싶습니다.

덜수는 오늘도 눈만 껌뻑거리고 상상의 나래만 펼쳤다 접었다를 반복합니다. 

 

15667B414D6A6D0B122104

  

미개한 야만인이라고 교육받았던 말은 춘삼월 봄눈 녹듯 사라지고 숨이 막히고 가슴은 방망이질치곤 했지요.

그녀와 깊은 산 속에라도 숨어들어 천 년 만 년 살고 싶었습니다.

이런 돌다리를 건너 아주 멀리 아무도 없는 곳으로 숨어들고 싶습니다.

이러면 탈영이지요? 그쵸?

탈영이면 어떻습니까?

그녀와 함께라면 죽어도 좋다는 마음입니다.

3년 전 슬그머니 사라진 먹쇠란 놈은 먀오족 처자와 혼인하고 벌써 아들 쌍둥이를 낳았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1851794A4D3AB8BE16F030

 

명령을 내린 자도...

명령을 받은 자도 지금은 모두 바람처럼 사라져버렸습니다.

지금 이들은 바람 따라 흘러와 바람처럼 살아가고 있습니다.

 

142C2A424D6A6D7D1BB5EA

 

인간의 삶이란 바람인가 봅니다.

정말 우리의 삶은 바람인가요?

 

1250664E4D3AB8C426E659

 

영문도 모르고 많은 사람이 이리로 흘러와 뿌리를 내리고 살아갑니다.

아무리 타향도 정이 들면 고향이라지만...

 

174198544D6A702B2EDADB

 

결국, 이들은 중원이 편해지기 위한 방패였으며 소모품에 불과했습니다.

황제의 곤룡포를 더럽히지 않고 지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젊은이가 이렇게 타향에서 고생해야 합니까?

곤룡포를 입어보면 마음이 변하는가요?

 

1953834E4D3AB8CA28AF5D

 

누구를 위해 무엇 때문에 이곳까지 흘러왔을까요?

이게 사람이 살아가는 방법인가요?

골목마다 집집마다 물어보면 모두 사연이 있습니다.

 

1153324E4D3AB8D1211330

 

탐욕... 

버려야 합니다.
모두 버려야 합니다.
아주 작은 티끌마저도 버려야 합니다.

 

206B69554D6A70802825A3


움켜쥐려고 한 들 쥘 수 있는 게 무엇입니까?
세상을 품으려고 한 들 무엇을 품었고 또 무엇이 남았나요.

 

204BAB4E4D3AB8DC466EC8


삶이란

무더운 여름철

느티나무 아래로

잠시 스쳐 지나가는 바람입니다.

 

185813524D3AD33A1A07BD

 

삶이란

무더운 장마철

구름이 잔뜩 낀 하늘에

먹구름 사이로 언뜻 비치는 파아란 조각 하늘입니다.

 

155B9A574D3AD5A52F7C9C

 

그런 짧은 시간 속에

품은 것은 무엇이고

얻은 것은 또 무엇입니까?

 

1638CC334D6A6350294258

 

그냥 밥그릇 하나에 모두 담아서 아무곳에서나 앉아 먹으면 또 한 끼 식사가 해결되잖아요.

늘 긴장속에서 생활했던 둔보라 지금도 식생활은 그대로인가요? 

그래

내가 얻은 것은 얼마나 되며

쌓아놓은 것은 또 얼마나 됩니까? 

 

1546C2524D3AD3463BFDDE

 

세상에 올 때

빈 주먹 하나 쥐고

오지 않았습니까?

 

2018603A4D6A637742A98D

 

알몸에

걸친 것 하나 없이

태어나지 않았습니까?

 

12344C594D6A70F33A19E0

 

황제라고 곤룡포 걸치고 태어났겠습니까?

카다피라고 권총차고 용병 이끌고 태어났겠습니까...

 

그래 이제 돌아갈 때

작은 주먹에

얼마나 움켜쥐고 가시겠습니까?

 

127E8E394D6A63AF27D8D5

 

주머니

하나 없는 수의에

무엇을 넣고 갈 수 있겠습니까?

곤룡포 입고 권총차고 무덤속에 들어가 무엇을 하시렵니까?

 

1964AF594D3AD55F0EFF80

 

이제

모두 버려야 합니다.

하나씩 제자리에 돌려놓아야 합니다.

 

13025E3B4D6A645A1598D0

 

모두 버릴 때

비로소 세상이 내 마음속으로 들어오고

세상을 품을 수 있습니다.

 

1162DE524D3AD357074C33

 

이런 자연 속에서, 이런 환경 속에서

佳人이 무엇을 품었고

또 무엇을 품을 수 있겠습니까?

 

185FC1584D3AD49A14404B

 

그래요... 

佳人 마음속의 바램은 모두가 탐욕이었습니다.

내 것도 아닌 것을 내 것이라 생각하고 살았습니다.

내 것도 아닌 것을 내 것이 된다고 생각하며 살았습니다.

 

19672E594D3AD4C6078734

 

한 자밖에 되지 않는 가슴에 무엇을 품을 수 있습니까?

한 줌밖에 되지 않은 손으로는 무엇을 움켜잡을 수 있습니까?

잡으면 구속이요. 버리면 자유라 했습니까?

움켜쥐면 지옥이요, 내려 놓으면 극락입니까?

 

여러분은 무엇을 품고 무엇을 잡으시겠습니까?

佳人은 손으로는 마눌님 손을 잡고 가슴으로는 마눌님을 품었습니다.

그랬더니 자유와 사랑이 저절로 따라오더이다.

 

147E173B4D6A64201BD4AD

 

겨우 보리쌀 한 움큼 움켜쥔 손으로는 쌀가마니를 준다해도 잡을 수 없고

곳간을 지은 사람은 곳간 보다 더 큰 물건이 생긴다해도 그 물건을 넣을 수 없습니다.

0 Comments
포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