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이야기(2)] 방, 매, 훼이, 부리, 치앙, 나컨 - 지명에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단어들

홈 > 태국게시판 > 지역_일반정보
지역_일반정보

- 태국과 태국내 여행지에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를 올리는 곳입니다.
- 숙소, 식당, 교통정보, 한인업소 등은 각 해당 게시판을 이용해 주세요.
- 다른 곳에서 퍼온 자료는 반드시 출처를 표시해야 합니다.

[지명이야기(2)] 방, 매, 훼이, 부리, 치앙, 나컨 - 지명에 많이 쓰이는 대표적인 단어들

요술왕자 0 8


물은 농사, 특히 쌀농사에는 꼭 필요하며 또 도로망이 발달되지 않았던 예전에는 물길이 그 기능을 대신했죠. 그래서 자연스레 물과 관련된 지명이 많습니다.


태국 중부에는 방꺽, 방루앙, 방야이, 방까삐, 방부아텅, 방쓰, 방빠인 등등 방-으로 시작하는 곳이 수두룩 하죠.

'방บาง'은 이 지역에 원래 살고 있던 몬족의 말로 '배'를 뜻합니다. 나중에는 배가 다니는 물길, 즉, 운하의 뜻도 갖게 되고, 배가 모여서 교역 등 사람들의 생활이 이루어는 마을도 방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배 → 배가 다니는 길(운하) → 운하 가의 마을로 의미가 확장 된 거죠.

외국인들에게 방콕으로 알려진 '방꺽'은 마꺽(올리브 모양의 열매가 열리는 옻나무과 식물)이 많이 자라는 운하 가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밖에도 방끄라짜오บางกระเจ้า(백로운하마을), 방까삐บางกะปิ(새우된장운하마을), 방쓰บางซื่อ(곧은운하마을) 등이 있지요.


지명에 쓰이는 물과 관련 된 단어는 방 이외에도 '매แม่'와 '훼이ห้วย'가 있습니다.

'매'는 '어머니'란 뜻 말고도 '강'이란 뜻도 있습니다. 보통 '강'이란 일반명사는 '매남'이라고 하지만 '매O'은 'O강'이란 뜻입니다. 예를 들면 '매끄렁'은 끄렁강, '매싸이'는 싸이강, '매싸렁(매쌀롱)'은 싸렁강을 뜻하죠. 그리고 그 강을 낀 지역, 또는 마을에 강의 이름을 붙이기도 합니다. 

훼이(후어이)는 강이나 운하보다는 약간 작은 개울, 냇물, 계곡을 말하며 그 물줄기를 낀 지역이름이 되기도 하죠. 훼이깨우ห้วยแก้ว(맑은내), 훼이싸이ห้วยทราย(모래내)는 태국 여러곳에 같은 지명을 갖고 있습니다. 방콕의 훼이쾅ห้วยขวาง은 '가로지르는 개울'이란 뜻인데 예전에는 그 쪽에 여러개의 개울들이 가로지르듯이 쭉쭉 나 있어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 말 자체에 도시, 마을이란 뜻을 가진 것이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것이 '부리'입니다. '부리บุรี'는 성, 도시를 뜻하는 고대인도어 '푸르'에서 왔습니다. 펫부리, 랏부리, 깐짜나부리, 쑤판부리 등 인도문화가 가장 먼저 전래된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수 많은 부리들이 있죠.

'나컨' 역시 큰 도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나가라'에서 왔습니다. 나컨씨탐마찻, 나컨빠톰, 나컨랏차씨마 등의 예가 있습니다.


성, 도시를 뜻하는 말은 또 있는데요, 특히 치앙마이, 치앙라이, 치앙쌘, 치앙콩 등 주로 북부의 도시에서 많이 보이는 '치앙'은 한자어 '城'에서 온 말입니다. 고대중국어 발음으로는 '쩽'에 가까우며 이 말이 여러갈래로 흩어지며 지역에 따라 나라에 따라 씨앙, 찌앙, 치앙, 청, 상 등으로 말하게 되었죠. 우리나라에서는 '성'이 된거구요.


태국 고유어 중에도 있는데요 '반บ้าน'은 마을, 집을 의미하여 작은 마을 이름에는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반나บ้านนา(들판마을), 반마이บ้านใหม่(새마을), 반파이บ้านไผ่(대나무마을) 같은 식이죠.


'므앙เมือง'은 도시, 지역, 나라를 뜻하는데, 원래 고대 타이족이 형성한 소국가 체제에서 유래한 말로, 지역 사회의 정치적 중심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대에서는 지명자체에는 잘 쓰이지 않지만 치앙마이시(므앙 치앙마이), 푸껫시(므앙 푸껫) 할 때의 그 '시'에 해당하는 말로 쓰입니다.





지도에서 직접 한번 찾아 보세요.

https://www.google.co.kr/maps/@13.5475992,100.3131665,7.67z?hl=ko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