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릿한 겁니까? 아니면 어두운겁니까???

홈 > 태국게시판 > 책,영상&대중문화
책,영상&대중문화

- 여행이나 태국 등 여행지와 관련된 가이드북이나 소설, 에세이, 여행기 같은 문학서적, 또는 영화, 다큐영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게시판입니다. 읽고, 보고 난 후의 소개와 감상 글을 올려주세요. 
-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법, 카메라 구매기와 이용기, 필름 보관법, 여행 중 디지털 카메라의 저장과 관리, 현상과 인화 등 사진에 관한 정보를 올려주세요. - 태국의 음악, 영화 등 대중 문화에 관련된 정보를 올려주세요. 
- 이 게시판에는 정보만! 질문은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 주세요.

☞ ▶흐릿한 겁니까? 아니면 어두운겁니까???

조제비 3 677
조제비입니다.

사진을 보고나서 이야기를 해야 정확한 진단이 나올텐데요.

아쉬운따나 일단 추측을 해 보건데.....


먼저 4차선 도로건너편의 현수막을 찍으셨다구 하셨죠?

한장은 후레쉬 on.

한장은 후레쉬 off


한장은 선명하구.

한장은 흐릿하구....


자세히 여쭙겠습니다.

한장의 흐린사진이 정확하게 촛점이 흐린것입니까??

아니면 전체적으로 사진이 어두운겁니까???

이 차이는 큰차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여쭙는 겁니다.


자동카메라를 사용하셨다고 하셨는데요..

4차선 도로건너편의 현수막을 찍었다면 대충 거리가 20m 전후가 될것 같습니다.

자동카메라의 후레쉬 광량은 10m 내외입니다.

후레쉬의 광량의 단위를 '가이드 넘버'라고 하는데요?

이는 100감도의 필름을 썼을때 후레쉬의 불빛이 도달하는 거리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가이드 넘버가 26은 26m, 54는 54m를 나타내지요.

자동카메라의 가이드 넘버는 최고 15m를 웬만해서는 넘지 않습니다.

(물론 올림푸스 IS-3000 기종은 가이드 넘버가 28이나 됩니다. 내장 후레쉬로는 세계 최광량이지요..)

님의 자동카메라 기종이 무엇인지 알수는 없지만 저의 소견으로는 보급형 자동카메라가 아닌가 합니다.

사진이 흐리게 나왔는지 어둡게 나왔는지가 궁금한 것은 후레쉬를 터트린 사진이 어둡게 나온것이 정상이기 때문입니다.

가이드 넘버가 15 되는 카메라로 20m 이상되는 사물을 찍을 때는 물론 빛의 양이 적어서 어두운 사진이 나올수 밖에 없지요.

사진의 밝기가 정상이라면 촛점을 맞춤에 에러가 난 상태입니다.

----------------------------------------------------------

◈ 여기서 참고 ◈

사진이 밝기가 똑 같다고 하더라도 자세히 보시면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빛의 양이 적게 찍힌 필름이라도 현상소에서 보정(프린터 할때 빛의 양을 임의적으로 많게. 적게 하는 기능) 을 해서 어두운 필름을 밝게 사진을 뽑았을 경우 밝은 사진을 얻을수 있지요.

그렇지만 정상적인 빛의 양을 받은 필름에서 뽑은 사진과 비교를 해 보면 보정한 사진이 입자가 거칠고 좀 둔탁한 맛이 납니다.

이래서 언제사 사진을 찍을때는 빛의 양을 얼마나 정확하게 담아내느냐가 중요한것이지요.

좋은 필름에서 좋은 사진이 나온다는 것은 이런 의미입니다.

-----------------------------------------------------------

두장의 사진중에 밝게 깨끗하게 나온 사진은 저의 생각으로는 후레쉬를 터뜨리지 않은 사진일 겁니다.

해가 지고 약간 어둠이 깔리는 시간이라도 빛의 산광으로 어느정도 깨끗한 사진을 찍을 시간적 여유는 있습니다.

이때 찍은 사진이 깨끗한 사진이 아닌가 합니다.

후레쉬를 사용한 사진은 자동카메라가 후레쉬가 터지는 순간 후레쉬의 빛의 양에 동조해서 동작되기 때문에 너무 먼곳은 어둡거나 흐리게 나오는 것이지요.

이때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후레쉬를 off 한 상태에서 자세를 바로 한 후에 손으로 견고하게 카메라를 잡고 천천히 셔터를 누르면 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을수가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삼각대를 받치고 찍는 것이지요.... (물론 불편하지만...)


또한.

필름의 감도도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필름을 사용했는지 모르지만 어두운 곳의 사물을 찍을때는 감도가 높은 필름이 유리한것은 당연하겠지요??

또한 후레쉬를 사용해서 찍을 때에도 감도가 조금 높은 필름이 실수를 줄일수 있는 방법입니다.


정확한 진단은 역시 사진을 보고서 말씀 드리는 것이 최선이지요.

가능하다면 두장의 사진을 스켄해서 올려주신다면 제가 다시 리플 달아 드리겠습니다.


이해가 되셨는지요?


조제비였습니다.








┃[건망증님께서 남긴 내용]
┃저녁 7-8시 사이에(약간 어둠이 깔리는 즈음) 4차선 도로 건너편의 건물 현수막을 찍었거든요?
┃하나는 후레쉬를 터뜨리고 찍고
┃또 하나는 후레쉬 사용 안하구 찍었는데....
┃사진을 뽑아보니
┃하나는 선명하구, 다른 하나는 흐릿한 겁니다...-..-
┃근데 문제는 어떤 게 후레쉬를 사용한건지 안한건지 까먹었다...뭐 그 말이거든요...
┃자동카메라루 찍었구요
┃여행가기전에 이럴땐 어떻게 찍어야할까를 고민하다가
┃시험삼아 해 본 건데...이런 불상사가 생겼네요...

┃도사님들...혹시 말만 듣고도 아실랑가요?

┃도와주소서...

┃그럼...20000

#2012-08-07 12:51:56 사진정보#
3 Comments
김기범 1970.01.01 09:00  
제가 쫌 순진+멍청하거든요...지금 덜컥 겁을 먹었지 뭡니까...한 2초쯤....감사합니다.
조제비 1970.01.01 09:00  
답을 찾으셨다니 다행입니다.<br>답에 대한 청구서는 등기로 부치겠습니다.<br>요금은 30% off해서 보내겠습니다.<br>공짜 아닌거 아시죠??? ^^*
김기범 1970.01.01 09:00  
사진 올리다 실패해서 다시 올리려는데 도배성글은 올리지 말라네요..히잉~~ 조언에 의해 제가 봤을때...사진이 어두운걸로봐서 후레쉬 안쓴것이 잘나온 거 같아요..고맙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