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카 기능 너무너무 궁금이여^^

홈 > 태국게시판 > 책,영상&대중문화 > 사진촬영
책,영상&대중문화

- 여행이나 태국 등 여행지와 관련된 가이드북이나 소설, 에세이, 여행기 같은 문학서적, 또는 영화, 다큐영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게시판입니다. 읽고, 보고 난 후의 소개와 감상 글을 올려주세요. 
- 필름 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법, 카메라 구매기와 이용기, 필름 보관법, 여행 중 디지털 카메라의 저장과 관리, 현상과 인화 등 사진에 관한 정보를 올려주세요. - 태국의 음악, 영화 등 대중 문화에 관련된 정보를 올려주세요. 
- 이 게시판에는 정보만! 질문은 묻고 답하기를 이용해 주세요.

디카 기능 너무너무 궁금이여^^

마파람 1 1150
음 꽤 기능이 많은 디카를 가지고 계시군요.


>P.quaity 기능에서 파인하고 스탠다드가 있던데여... 그건뭔지..??

-> 사진의 화질을 좋게할것이냐 보통으로 할 것이냐입니다.
    디카가 사진을 저장할 때 보통 JPEG로 저장하는데 이것이
    화질을 손상시키며(눈으론 잘 구분이 안되는 정도로) 저장하는
    방식인데 물론 파인으로 하면 화질은 더 좋아지지만 사진크기가
    커지니 저장메모리에 한계가 생기죠.


>sharpness 기능에서 + 와 - 있던데여..그건뭔지..??

-> 사진에서 물체의 외곽선을 더 뚜렷하게 해주는 효과입니다.
    한번 조정해서 찍어보시고 선택하세요. 그러나 지나치게주면
    자연스러운 느낌이 없어지므로 과용은 금물입니다.


>saturation 기능에서 역시 +와- 있던데 그건뭔지..??

-> 색을 좀 더 진하게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풍경사진일때는 + 쪽으로 해주시면 색이 진하고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고 인물은 약간 약하게 해주시는게 일반적으로 좋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취향문제 한번 해보세요.

 
>contrast 도 역시 + 와 - 가 있던데 뭔지..??

-> 이건 대비라고 해야하나??  색의 경계가 더 뚜렷하게 느껴지실겁니다.
    이것도 취향에따라서.. 줄이면 사진이 좀 흐리멍텅하게 보입니다.


>EV 는 뭔가여??

-> Exposure Value 즉 노출수치입니다. 
    쉽게 말하면 얼마만큼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숫자로 나타낸
    값입니다.


>그리고 초점이 멀티AF 센터AF 0.5 ......7.0 ..무한대 이건 뭔지여?

-> auto focus 즉 자동초점이야기인데 멀티는 초점을 맞추는 위치가
    사진의 가운데 뿐 아니라 주변에도 지원하는 경우입니다.
    즉 사진의 중심에서 왼쪽, 오른쪽, 위, 아래 정도에 선명하게 나타낼
    물체가 있어도 그것을 맞춰준다는 건데 카메라 성능에 달려있습니다.
    센터는 가운데만 초점을 맞춘다는 거죠. 
    0.5 ......7.0 는 렌즈부위에 기록이 되어있으실텐데 카메라와 물체간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정확히 맞추면 초점이 맞게되는거죠.
   

>Metering mode 는 스폿하고 멀티가 있던데 뭔가여??

-> 노출, 즉 빛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스폿 (spot)은 한 지점의 빛을 측정하는 방식
    멀티는 사진내의 여러곳의 빛을 측정하여 적절한 빛의 양을
    계산해 주는 방식입니다.
 
    사진이란 빛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죠. 그런데 빛이 너무 많이 들어오면
    하얀 사진이 되고 적으면 어두운 사진이 되죠. 그래서 요즘 대부분의
    카메라가 자동 노출을 지원하는데 이것이 한계가 있는 것이 어느 한 물체가
    아주 어둡거나 밝으면 사람이 원하는 사진을 못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이 어느정도 조절이 가능하게 위 경우를 선택하게 만들어
    놓는겁니다.


>화이트밸런스는 어떨때 사용하는것이지??

-> 사진을 찍을 때 흰색을 흰색으로 나타내주는 기능입니다.
    흔히 디카로 찍고나면 실내, 야외 등 장소에 따라서 붉게 나왔다
    푸르게 나왔다란 경우를 보게됩니다.
    이런 것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인데 정확하게 맞춰주진 못합니다.

    사람 눈은 어떤 조명(태양빛, 형광등, 백열등, 수은등 등등)에서도
    흰색은 흰색으로 봅니다. 그러나 실제 조명색을 보면 형광등은 좀
    파란끼가 돌고 백열등은 붉은끼가 돌죠. 그래서 흰종이를 비춰보면
    그 색이 나타나고요. 기계는 그런 것을 그냥 그대로 보여줘서 사진을
    보면 위와 같이 흰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그래서 눈에 보이는 것 처럼 만들어주기 위해 위 기능이 필요한 겁니다.


작은 화면으로 볼때 크게 차이가 안나겠지만 사진으로 뽑거나
큰 화면으로 볼 때 위 기능에 따라 사진이 달라보입니다.
 <br>#2012-08-07 12:53:18 사진정보#
1 Comments
둘리 2004.11.11 15:16  
  답변을 기다려도 오지 않아서 그냥 포기 했는데...
너무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마파람님...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기 바랍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