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로 반전 될려나요?

홈 > 태국게시판 > 환전/카드/경비 > 국내환전정보
환전/카드/경비

- 이 게시판에서 외화 거래를 할 수 없습니다. 
오늘 태국 현지 은행 환율 보기(싸얌 상업 은행) : 들어가서 Buying Rate를 보시면 되고 여행자수표는 T/Chqs, 현찰은 Notes입니다.
- 오늘 태국 현지 사설 환전소 환율 보기  Siam Exchange / SuperRich Thailand

달러 강세로 반전 될려나요?

뚝방하이에나 2 2201
[머니투데이 유일한기자][[뉴욕장중]연준 모기지담보로 2000억불 공급..금융시장 모멘
텀]

적어도 3월 들어서는 처음 보는 장면이 나타나고 있다. 11일 뉴욕의 금융 및 상품시
장에서 주가와 달러화가 비교적 큰 폭 오른 반면 유가, 엔화, 유로화는 약세로 돌아선
것이다. 이같은 흐름이 좀더 지속될 지 전세계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날 뉴욕 증시는 2% 넘게 올랐다. 개장초이긴 하지만 다우 1만2000, 나스닥 2200, S
&P500 1300 등 주요 저항선을 한꺼번에 넘는 의미있는 상승을 보였다.

연준(FRB)의 공이 컸다. 작년 9월부터 금리인하만 5차례하며 신용경색을 구하기는 커
녕 달러 약세를 부추겨 인플레이션과 유가 상승만을 가져오던 연준이 급기야 색다른
부양정책(시장개입)을 내놓은 것이다.


재무부채권 입찰을 통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시장개입이었지만 두 가지가 달랐다. 입
찰에 참여하기 위해 담보를 내야하는데 정부 기관 뿐 아니라 사기업의 모기지담보증권
(MBS)을 인정한 것이다. 이는 냉각된 모기지시장을 직접 겨냥한 혁신적인 조치로 해석
됐다.

물론 등급이 좋아야한다는 전제 조건을 달았지만 신용경색의 주범으로 낙인 찍힌 모기
지 증권을 연준이 공식 담보물로 받아들이겠다는 '전향' 자체가 남다른 메시지를 던졌
다.

대출 기간도 28일, 다시말해 1개월로 매우 길었다. 통상 공개 입찰을 통한 대출은 하
루 내지 이틀, 길어야 일주일이었지만 채무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만기를 대폭
길게 배려한 것이다. 'Term Securities Lending Facility'(TSLF)로 이름 붙은 이번
부양책은 이 때문에 적지않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모기지시장에 온기가 돌고 이를 바탕으로 신용경색이 완화되면 침체 일로를 달리던
미국 경제도 변화를 꿈꿀 수 있다.

이같은 기대감은 당장 급락하던 달러화의 반등으로 나타났다. 3개월 이래 최대폭 반
등한 것이다. 엔/달러 환율은 뉴욕 외환시장에서 103.04엔에 거래됐다. 101.76달러에
서 급하게 튄 것이다. 12월12일 이후 최대 폭 반등이다.

달러/유로 환율은 1.5495까지 치솟은 뒤 FRB의 개입을 계기로 하락 반전해 1.5378달
러에 거래되고 있다.

유가는 약세로 전환하며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때 배럴당 109.72달러까지 오르며 110
달러 진입을 눈앞에 뒀지만 2000억달러 공세 앞에 하락 반전했다. 107달러마저 이탈하
는 움직임이다.


유가는 수급 뿐 아니라 약달러에 따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각광받으며 최근 장
기간 급등세를 탔다. 투기세력까지 가세했다. 유가는 그러나 달러화가 반등하자 기계
적으로 낙하했다.

보스톤에 있는 푸트남운용의 케빈 크로닌 운용 대표는 "연준의 이번 조치로 신용시장
에는 상당한, 실질적인 유동성 보강이 가능하게 됐다"며 "신용시장의 '엔진'에 연준이
기름을 부었고 이를 증시가 알아챘다"고 전했다.
유일한기자 onlyyou@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2 Comments
월야광랑 2008.03.12 08:48  
  글쎄요...
효과는 잠시일 것 같은데요.
미국 경제 자체가 저축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형이 아니라, 주식을 기반으로 하는 유동성이 큰 경제입니다.
현재 미국 경제에서 대부분의 자금이 군사 부분이나 석유회사 중심으로 한군데로 몰리는 구조라서, 쉽게 나아질 것 같지는 않군요.
더군다나 지금의 대통령이 권력을 잡으면서 경제가 안 좋아 진 것을 경제 살리기에 전념한 것이 아닌 다른 나라와의 전쟁으로 경제를 소모하고, 국내 경제는 이자율을 저렴하게 하여 주택 시장의 경기로 지탱했는데, 집을 살 사람은 다 샀다고 볼 수 있고, 더 이상 의료보험이나 기름값의 인상으로 인한 부분을 사람들이 주택 담보로 재융자 받아서 해결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봅니다. 언제까지나 저율의 이자를 가지고 경제를 부양시킬 수는 없으니까요.
잠시간 이번 조치로 인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잠시 지연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구조가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장기간으로 보면, 좀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
맛기행 2008.03.13 08:04  
  아침에 뉴스 들어보니 1000포인트 넘어갈수도 있다고도 하던데... 전 세계적으로 달러 약세이다보니 다시 내려올꺼란 말이 많더군요. 저도 이번주에 바꿀려다가 아는 외환 딜러가 다음주에 좀 내려갈꺼란 말을 해서 믿고 기다려 볼려구요. 아니면 대략 낭패지 싶은데....조금은 큰 금액을 교환할까 생각해서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