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드라이브 사용법

홈 > 태국게시판 > 유심/기기사용정보
유심/기기사용정보

- 여행할 때 유용한 모바일폰,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 등과 관련된 정보를 올리는 곳입니다. 
- 여행 정보성 이미지 파일이나 문서 파일 등은 각 해당 정보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N드라이브 사용법

클래식s 0 3302

01.JPG?type=w2

 

 네이버 N 드라이브가 새롭게 업데이트 되어 그 기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물론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무료인 점을 생각하면 파격적인 서비스라고 생각된다. 대표적인 개선점은

 

 1. 용량이 30 GB 로 늘어났다. 최초에 5 GB 시작 수년만에 30 GB 까지 늘어난 셈으로 현시점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중 국내 최대 크기다. 다만 유료로 용량을 더 늘리는 서비스가 없다는 점은 장점이기도 하지만 약점이기도 하다. 

 

 2. 올릴 수 있는 파일의 크기가 200 MB 에서 최대 4 GB 로 확장되었다.  다만 이것은 웹브라우저 및 운영체제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익스플러러 사용자의 경우에만 Active X 컨트롤 설치하면 4GB까지 올리고 내려 받기가 가능하다.Active X 컨트롤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경우 2GB까지 올리고 내려 받을 수 있. 단 N 드라이브 탐색기를 설치하면 4GB까지 올리고 내려 받을 수 있다. 과거 N 드라이브 탐색기는 64비트 운영체제는 지원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이 부분이 개선되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스마트폰 에서는 안드로이드/아이폰 앱에서는 최대 2 GB 파일을 올리거나 받을 수 있으며 윈도우 모바일에서는 1 GB, 바다 에서는 최대 1GB (단말기에 따라 450 MB) 를 올리고 내릴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파이어 폭스를 비롯한 익스플로러 이외 브라우저에서는 현재는 200 MB 밖에 지원하지 않는다. 이부분은 추후 개선할 것이라고 한다.

 

 

 3. 향후 PC 폴더와의 자동 동기화 기능을 지원할 예정으로 현재 베터 테스터를 모집 중이다. 이것이 완료 된다면 N 드라이브 관리가 훨씬 편리해질 것이다.

 

 4. 아이폰, 안드로이드 폰과의 연동 강화. 이제 스마트 폰에서 찍은 사진등을 N 드라이브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정도 개선 점이면 유료로 사용하는 웹하드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와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스마트폰 유저들에게도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알 수 없는 점은 왜 유로 추가 용량이 없는지와 익스플로러외 타 웹브라우저의 지원이 늦다는 점이다.  (일단 설명은 익스플로러 9 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파폭이나 크롬에서도 안되는 건 아니다)

 

 

 일단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확인해 보았다. 사실 설명드릴 내용은 꽤 간단한 것들이고 이미 N 드라이브를 잘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굳이 보지 않아도 알 만한 내용들이다. 다만 처음 사용자나 혹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을 드리니 필요하신 분들만 참조하시기 바란다. 

 

 

 1. 확대된 용량

 

  30 GB 로 용량이 확대된 것은 N 드라이브에 들어가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혹시 N 드라이브 들어가는 법도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까봐 처음 시작하는 방법을 말씀드리면 일단 네이버에 로그인을 하고 네이버 시작 화면에서 모바일 옆에 더보기를 누르면 N 드라이브 가 보일 것이다. 이것을 더블 클릭한다 (아래 사진. 만약 사진이 작게 보이면 클릭하면 모두 원본을 볼 수 있음)


1.JPG?type=w2


1.JPG?type=w2

 

 

필자는 주로 문서 저장용으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대부분 용량이 비어 있지만 항목은 꽤 많다. 좌측 아래에 전체 용량에서 얼마 쓰고 있는지 표시가 된다. 필자의 경우 총 용량이 30GB 이고 현재 사용중인 용량은 1.21GB 라는 걸 알 수 있다. 



 이전에 N 드라이브를 사용하지 않으신 분들도 알기 쉽게 설명을 해보면 (사실 사용법은 직관적이어서 굳이 설명은 필요 없기는 하지만) 일단 파일을 올리거나 폴더를 만들기 위해 마우스 포인터를 N 드라이브 창에 넣고 우클릭을 한다. 


2.JPG?type=w2



 우선 탐색기를 설치 않고서 사용하는 법을 설명드리면 좌측 상단의 파일 올리기 혹은 우클릭시 나타나는 파일 올리기 메뉴를 이용해서 파일을 올려보자. (메뉴에서 알 수 있지만 폴더나 파일을 정렬하거나 새로운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외장 하드와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N 드라이브의 새로운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올리는 파일의 크기는 700MB 짜리 이미지 파일이다. 파일 올리기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뜬다. 



2.JPG?type=w2


 앞서 이야기 했듯이 탐색기 설치나 액티브 X 없이는 우선 2GB 까지 올릴 수 있고, 또 폴더 단위로는 올릴 수 없다. 올리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파일 추가를 누르고 파일의 위치를 찾아서 선택을 해주고 전송 시작을 누르면 된다. 전송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창 닫기를 클릭해서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자. 



2.JPG?type=w2




 위에서 보면 700 MB 짜리 이미지 파일이 잘 올라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파일 크기가 200 MB 로 제한 되었을 때에는 그 사용 범위가 꽤 한계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래도 편리해졌다. 일단 올린 다음엔 파일을 내려받거나 혹은 삭제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이나 폴더는 위에 있는 별표 표시 앞을 체크하거나 그냥 그 위에서 우클릭하면 메뉴가 나타난다. 일반적인 파일과 비슷하게 열기, 내려받기, 잘라내기, 복사, 삭제, 이동을 지원하니 사용법은 그냥 외장 하드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파일을 드래그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폴더에 넣을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우클릭으로 새폴더를 생성하면 된다. 



 2.JPG?type=w2



 

 그러면 액티브 X 를 설치해보자. 솔직히 필자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프로그램이지만 2GB 이상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 필요하다. N 드라이브 창에서 우클릭 -> 파일 올리기 해서 다시 파일 올리기 창을 띄우면 Active X 설치 메뉴가 상단에 있다. 설치하기를 누른다. 



2.JPG?type=w2


1.JPG?type=w2


 설치하려면 당연히 설치를 눌러야 한다. 설치는 금방 끝난다. 



1.JPG?type=w2



 보안 창이 뜨면 허용을 누르자. 



1.JPG?type=w2


 제대로 설치 되면 위와 같이 파일 올리기 창 화면이 변경된다. 이제 간단히 드래그해서 파일이나 폴더를 통째로 올릴 수가 있게 된다. 또 용량도 4GB 로 늘어난다. 이렇게 파일을 올리면 스마트 폰에서 파일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다만 3G 나 Wi Fi 의 속도를 감안해야 하며 스마트 폰에서는 종류에 따라 파일 크기가 제한된다. 


 가장 좋은 경우는 다양한 문서 파일이나 ebook 따위를 보는 경우이다. 아이폰과 N 드라이브 연동은 다음에 설명하고 일단 넘어가기로 한다. 



 2. 탐색기 설치



 본래 N 드라이브 탐색기는 처음에는 xp 만, 그리고 32 비트만 지원했다. 그러나 점차 개선되어 지금은 64 비트 운영체제도 지원하기에 이르렀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탐색기를 사용하고 있을 텐데 여기서 간단히 소개해 본다. 우선  N  드라이브 창 좌측 중간에 N 드라이브 탐색기를 클릭하여 설치하자. 


1.JPG?type=w2

 

 현재 64비트 지원은 시작 단계이고 N 드라이브 탐색기 자체가 베타 버전이다. 하지만 개념은 간단하다. 일단 PC 에 설치해 두면 별도의 하드 처럼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2.JPG?type=w2

1.JPG?type=w2


 N 드라이브 탐색기 다운로드에 마우스 커서를 대면 아래처럼 32/64 비트 용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메뉴가 새로 생겼다. 필자는 64 비트를 사용하므로 일단 64 비트를 다운로드 해 보겠다. 



1.JPG?type=w2



 위의 화면이 나오면 실행을 누른다. 그리고 설치를 묻는 화면이 나오면 계속 설치를 진행한다. 


1.JPG?type=w2


1.JPG?type=w2


 1.JPG?type=w2

 1.JPG?type=w2


 마침을 누르고 난 후 바탕 화면이나 혹은 프로그램에 있는 N 드라이브 탐색기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뜬다. 이 화면에서는 자동 로그인이나 윈도우 시작시 자동 실행, 자동 로그 아웃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2.JPG?type=w2




 로그인을 하면 외장 하드나 USB 로 컴퓨터에서 인식한다. 사용 하는 방법도 이제 외장 하드와 완전 동일해 진다.



 이제 컴퓨터 상에서 외장 하드처럼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일단 N 드라이브를 이용하면 USB 를 들고 다닐 필요 없이 파일을 꺼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다만 로그 아웃을 철저히 하고 중요 파일은 잘 관리하도록 하자. N 드라이브는 암호화 등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로그 아웃 하는 방법은 자동 로그 아웃을 설정해 놓거나 아니면 바탕 화면 우측 아래 작은 아이콘을 클릭하여 로그 아웃한다. 만약 남의 컴퓨터를 사용해서 탐색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 로그 아웃 기능을 꼭 활성화 하도록 하자. 



1.JPG?type=w2


 N 드라이브 탐색기가 필요 없는 사용자는 모든 프로그램 -> 네이버 N 드라이브 -> 네이버 N 드라이브 탐색기 제거  를 누르면 제거할 수 있다.



 사실 이 정도 내용은 이미 N 드라이브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다 알고 계시겠지만 처음 사용하시는 분이나 혹시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작성했다. 나머지 아이폰 에서의 사용 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드리겠다. 

 

출처 : http://goo.gl/PK8yR


#2012-11-23 10:22:06 지역/일반정보에서 이동 됨]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