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가 출신 손들어 보세요
sarnia
27
775
2013.12.08 15:01
나는 싸르니아인데,,
넌 누구냐?
--------------------------------------------------------------------------------
작년에 작고하신 우리 모친께서는 자기 출신가문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다. 효령대군 (킹 태종의 둘째 아들)의 직계 몇 대 손이라는 걸 족보까지 언급하며 설명하시곤 했다.
나는 사실 그런 종류의 이야기에 자부심은 커녕 관심조차 없었기 때문에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보내곤 했던 기억이 난다. 몇 대 조 할아버지가 효령대군이었건 마포 경강나루에서 삥을 뜯던 양아치였건 그런 게 21 세기를 살고 있는 나하고 무슨 상관이랴 싶었다. 그런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우리 모친님뿐 아니라 나이 좀 드신 대한민국 어르신들 중 많은 분들이 조선시대 누구누구의 몇 대 손이라는 말들을 자랑삼아 하는 걸 본다. 그게 뭐가 중요한가,,, 라는 생각 이전에 그런 말들이 과연 사실일까 거짓일까, 아니, 그 이전에 그런 말을 하는 본인들은 과연 자기의 실제 족보에 대해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있기나 할까 하는 의문이 들곤한다..
조선시대 지배계급이 왕족과 사대부를 합쳐 전체 인구의 몇 퍼센트를 차지했는지 확인해 보면 현대인들의 조상타령이 얼마나 터무니 없는 이야기인지가 바로 드러난다.
자료들을 찾아보니 대체로 전체 인구의 1.9 퍼센트, 즉 100 명 중 두 명 만이 이 계급에 속했었다는 통계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삼대 이상 관리로 출사한 적이 없는 무늬만 양반인 사람들을 포함해 사대부 인구를 아무리 늘려 잡아도 전체 인구의 9 퍼센트를 넘지 않았다. 전체 인구의 절반 가까이는 공노비 사노비 등 천민들이었다고 한다. 흔히 ‘상놈’이라고 부르는, 농업에 종사하는 양민계급만 해도 조선시대에서는 준수한 계급에 속했다.
그러니까 대한민국 사람 백 명 중 아흔 여덟명은 “당신의 조상은 누구였으며 어떤 일에 종사했습니까?” 라고 물었을 때,
“네, 우리 조상은 어느 양반 지주가 소유하고 있는 배추밭에 거름을 주려고 똥지게를 지고 다니던 소작농이였습니다.”
라든가
“우리 집안 X 대 조 할머니께서는 아침마다 주인집 아씨마님에게 세숫물을 떠다바치던 몸종 겸 부엌데기 식모였습니다”
라고 대답해야 정상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외국의 경우라고 해서 별로 다르지 않다.
캐나다에서 학교도 다니고 직장생활도 하면서 만났던 인도계 사람들. 그 중 학교와 전문직 분야에는 힌디계가 많은데, 실례를 무릅쓰고 재미삼아 당신이 어느 카스트 출신이냐고 물어보면 열 명 중 아홉 명이 브라만 출신이라고 대답했다.
조금 정직해 보이는 나머지 한 명만이 '조금 양보해서' 크샤트리아 출신이라고 대답했다. 네 개의 카스트 계급 + 불가촉천민을 포함하여 인도 전체 인구 중 브라만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3 퍼센트를 넘지 않는데 어찌된 셈인지 캐나다에 사는 인도 사람들은 거의 전부 자기가 브라만 출신이라고 하니 좀 황당한 기분이 들었다.
오는 25 일 호적상 생신을 맞이하는 예수 선생의 경우는 어떨까?
예수 선생의 가문 또한 예외가 아니다. 그 가문 역시 뜨르르 삐까번쩍하다. 복음서 기록에 의하면 예수 선생은 다윗왕가의 자손이다. 비록 중간에 피치못할 사정이 생겨서 나사렛이란 돋보잡 보리깡촌에서 근근히 입에 풀칠이나 하는 목수 집안으로 전락하긴 했지만, 27 대 선조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 유명한 솔로몬 왕이요. 28 대 선조는킹 데이빗이다.
출생지를 아예 나사렛 대신 베들레헴으로 바꾸려고 한 흔적도 보인다.호적신고를 하러 베들레헴에 갔다가 번듯한 여관 하나 잡을 돈도 빽도 없어 마굿간에서 출산을 할 수 밖에 없는 기구한 팔자의 어머니를 두긴 했지만 본적은 엄연히 다윗왕의 출생지인 베들레헴이다.
이상하기 짝이 없는 것은 마태오나 루가가 예수족보기록에 예수가 분명히 다윗의 자손이라고 스스로 기록했으면서도 다윗의 27 대손 요셉은 예수의 생부가 아니라고 적고 있다는 것이다.
예수보다 수 십 년 전에 먼저 태어난 로마황제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 의 어머니 아티아 처럼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역시 신의 성령(Holy Spirit)으로 잉태했다. 따라서 예수는 다윗과 생물학적으로 혈족관계가 아니다. 만일 다윗 가문의 진짜 후손들이 마리아와 예수를 상대로 베들레헴 가정법원에 친생자부존재 소송을 제기했다면 마리아 모자는 영락없이 패소했을것이다.
마태오나 루가 같은 복음서 저자들은 무슨 의도로 이런 모순된 의미의 족보를 제작했을까?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를 왕의 자손하고는그 격과 차원이 다른 ‘신의 아들’로 기록하고 있으면서도 ‘왕가의 자손’ 이기도 해야한다는 세속적 미련을 버리지 못했던 것 같다. (욕심도 많지..)
하비 콕스나 마커스 J. 보그 같은 자유주의 계열 신학자들이 쓴 책을 읽어보면 그들조차 하나같이 ‘예수 족보 이야기’가 이후에 다가 올 세 세계관 (유대인과 비유대인의 화해 및 결합과 같은) 을 예고하기 위한 전주곡의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는데, 나는 머리가 나빠서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당췌 이해가 가지 않는다. 복음서의 저자들이, 아니 구전의 전달자들이 그렇게 예지가 출중한 사상가들이었다고? 정말???
신의 아들인 동시에 왕가의 자손 이라는 이야기의 은유적 의미가 무엇이든, 그 은유적 의미에 대해 현대 신학자들이 무슨 구라를 어떻게 풀어대고 있든, 싸르니아가 보기에 복음서 저자들은 욕심이 조금 지나쳤던 것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버릴 수 없다. 신의 아들인 동시에 왕가의 자손이기도 해야 한다는, 즉 ‘꿩도 먹고 알도 먹자’ 는 욕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뛰어 달아나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는 심정으로,, 족보를 황급히 제작하다보니까 죽도밥도 아닌 이상한 족보책이 탄생한 건 아닐까?
만일 복음서 저자들이 예수 족보에서 다윗왕 족보 이야기를 과감하게 빼 버리고 “그의 가문이 비천했으며 그의 출생배경은 그보다 더 참담했다”고 정직하게 기록했다면 오늘 기독교경전을 읽고 고개를 끄덕거리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아졌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암튼 예수 선생 생신이 다가오면 이런 저런 생각이 떠 올라서 한 부분 씩 끄적거려 보고 있다.
오늘은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