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월 27 일, 도망자의 추억

홈 > 커뮤니티 > 정치/사회
정치/사회

- 정치, 사회, 경제, 종교 관련 글을 올리는 곳입니다.
- 게시물은 매주 2개까지 올리실 수 있습니다.


6 월 27 일, 도망자의 추억

sarnia 15 422

그 도망자가 가장 좋아했던 노래
---------------------------------------------

한국전쟁이 발발하자마자 당시 대통령 이승만이 일본으로 도주하려고 시도했다는 정보는 이미 19 년 전에 공개된 것이다. 며칠 전 KBS 가 새 자료를 인용해 보도하기 19 년전인 1996 4 14 일 산케이신문이 이같은 정보를 먼저 확인하고 보도했었다.


다만 전쟁 당시부터 내내 풍문으로만 떠돌던 그 정보가 일본 지방정부 단체장의 회고록을 통해 폭로된 것은 19 년 전 이지만일본 외무성과 야마구치현 지방정부간의 대화기록문서를 통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산케이신문은 한국전쟁 발발당시 야마쿠치현 지사였던 다나카의 회고록을 인용해서 이같은 사실을 보도했는데, 당시 보도에 인용된 회고록‘1950 Korea’’ 가 이번에 공개된 일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대화기록문서내용과 일치할 뿐 아니라당시 친일관료, 친일지식인 등 남한 기득권층 6 만 여 명의 탈주 정착계획을 기록한 도쿄주둔 미국군 극동군사령부 문서의 내용과도 일치함으로써, 당시 남한의 지배층이 얼마나 추악한 집단이었는가가 만천하에 드러나게 됐다

 

이승만 초대정부와 당시 남한 상류계급의 인맥을 계승한 대한민국 지배계급은 도덕적 치명상을 면할 수 없게 됐다. 이승만을 가리켜 건국의 아버지라고 추켜세우면서 8 15 일을 건국절로 기념하고 광화문광장에 이승만 동상을 건립하자는 주장 또한 얼빠진 소리로 취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본과 미국의 정부 공식 문서들이 공개되기 전에도 전쟁이 발발한 지 불과 이틀이 지난 1950 6 월 27 일부터 극비리에 시작된 이승만 도주행각의 괴상하기 짝이없는 루트를 보면 그의 당초 목적지가 대구나 부산이 아닌 일본이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이승만이 부인과 각료들을 데리고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특별열차편으로 서울을 탈출한 것은 1950 6 월 27 일 세벽 두 시 경이었다. 침실로 뛰어든 곽영주 등 경무대 경호요원들에게 둘러싸여 잠옷바람으로 도망길에 오른 그는 용산역으로 향하는 승용차 안에서 경호원들이 챙겨 온 양복으로 갈아입었다.


잘못 알려지기로는 그가 용산역에서 기차를 타고 수원-대전-대구-부산 루트, 즉 임시수도 이전 동선을 따라 남하함으로써 마치 작전상 후퇴라도 한 것 처럼 되어 있지만 실상은 전혀 다르다. 그는 경부선 루트로 남하하지 않았다. 서대전을 거쳐 호남선을 타고 이리 (지금의 익산) 까지 간 다음 계속 목포로 내려가서 난데없이 배를 집어 탔다.


그는 왜 대구나 부산으로 가지 않고 목포로가서 배를 탄 것 일까?


그는 항전할 생각을 일찌감치 내팽개친 채 망명정부를 세운다는 핑계로 일본으로 튈 결심을 했기 때문에 이동동선이 짧은 목포로 가서 해상으로 도주할 계획을 세운 것이다. 서울을 기점으로 목포는 부산보다 약 40 km 정도 이동동선이 짧을 뿐 아니라교통량이 많은 경부선보다는 보안유지하는데도 용이하므로 그 루트를 선택했을 것이다.


그가 일본으로 가지 않고 배를 돌려 부산으로 향한 이유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파병이 늦어지거나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던 미국군 지상군 선발대가 7 5 일 도착하여 마음의 여유가 조금 생겼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미국군 지상군 보병 제 24 사단이 금강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항전태세를 벌이자 다시 기고만장해진 이승만은 어깨가 으쓱해서 부산에서 대구로 갔다가, 믿었던 미국군 제 24 사단의 금강교두보가 허망하게 무너지고 사단장이 인민군에게 생포되는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자 다시 걸음아 날 살려라하고 부산으로 도망갔다.


도대체 대통령을 비롯해 국가의 지도부라는 작자들이 전쟁이 발발한 지 만 46 시간 만에 수도를 내 주고 외국으로 도망갈 생각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머리가 어떻게 된 작자들 아닐까?


그 이유를 찾는데는 이것저것 어려운 거 생각할 필요없다한 마디로 이승만은 익숙하지 않은 육체적 정신적 고난을 체질적으로 견디지 못하는 사람이기에 전란을 현장에서 책임지는 생활을 한다는 것은 생각만해도 끔찍했기 때문이었을 거라고 추정된다


한 예로,,  이승만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직을 지낸 적이 있는데 이 때도 비슷한 모습을 보였었다.

 

임정수반으로 선출된 1919 년 부터 미국교포들의 독립운동자금을 떼어먹은 도둑놈으로 몰려 그 직에서 쫓겨나는 1925 년 까지 5 6 개월 간을 봉직했다. 그는 교포들의 모금을 착복했을 뿐 아니라 미국에 위임통치를 청원하는 쓸개빠진 매국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대통령직에서 탄핵 파면됐는데, 어쨌든 대통령으로 봉직하는 그 기간 동안 임시정부가 소재하고 있던 상하이에는 코빼기도 비춘 적이 없다.

 

왜 그랬을까?


그 이유에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임정과의 좋지 않은 사이 때문이라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상하이 임시정부 사무실과 숙소에 수세식 화장실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정치인이 사람관계 때문에 현장에 안 나타났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 아마도 수세식 화장실이 없어서 상하이에 가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통령이 잠옷차람으로 각료들과 함께 서울을 탈출한 지 만 하루가 다 되어가는 1950 6 월 27 일 자정, 서울 시내 곳곳에 설치된 스피커에서는 중앙방송국에서 반복해서 들려주는 대통령 육성녹음이 들려오고 있었다.         

     

서울시민 여러분움직이지 마시고 현재 위치에서 가만히 있어 주시기 바랍니다. 대통령과 정부는 시울시민여러분과 함께 수도 서울을 지킬 것 입니다

 

그 날 서울시민 150 만 명 중 110 만 명이 북코리아군 수중에 떨어진 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고립됐다잠옷바람으로 탈출한 대통령의 말을 듣지 않고 서울을 스스로 빠져나간 40 만 명 중 약 32 만 명은 탈북자, 군경가족, 우익인사상공인 등 이었다.


서울을 향해 진격하고 있던 북코리아측 부대는 조선인민군 제 1 군단 소속  3 개 사단과 1 개전차여단 이었다. 이들 3 개 사단 중 제 6 사단은 말이 보병부대지 부대원 대다수가 중국에서 항일전과 국공내전에서 실전경험을 쌓은 하사관 이상으로 조직된 특수부대나 다름 없었다조선로동당 정치위원 겸 전선사령관 김책이 서울전선까지 직접 나와 지휘관들을 독려하고 있었다.


남한의 대통령과 각료들은 해상도주를 위해 수도와 국민을 팽개친 채 나라의 최남단 항구를 향해 도망가고, 북코리아의 최고위급 정치지도자중 한 사람은 자기가 직접 전선사령관이 되어 최전선에서 일선부대의 전투를 지휘하는 대조적인 모습이 전 세계에 타전되었다


대통령의 거짓말 육성방송이 남긴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인 28 일 여명의 새벽, 의정부-창동-미아리 저지선을 차례로 돌파하고 돈암동 혜화동 원남동 안국동을 거쳐 드디어 중앙청에 인공기를 계양하는 인민군의 모습을 보고 당시 서울시민들은 과연 무슨 생각들을 했을까? 그 어처구니없는 배신감을 어떻게 견뎌냈을까?     


신채호 선생은 이승만을 가리켜 사기꾼이라고 한 적은 있어도 매국노라고 한 적은 없다. 이승만이 조선에 대한 위임통치를 미국에 읍소하는 꼴을 보고 신채호 선생이 한 말이다. 이완용은 있는 나라를 팔아먹었으니 매국노지만 이승만은 있지도 않은 나라를 팔아먹으려고 하니 사기꾼이라는 말이었다.


그러나 싸르니아는 내일, 6 27 ,, 이승만을 매국노라고 부르겠다


이승만의 일본 도주계획이 사실로 확정 판명나게되면그의 전직 대한민국 대통령 지위를 추탈하고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있는 그의 묘지를 이장해야 할 것이다이장될 그의 유해는 부인의 유해와 함께  처가인 오스트리아로 보내든가 아니면 그가 일생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미국 하와이 오아후섬의 바다가 바라보이는 언덕 위에 묻어주는 게 어떨까 한다


----------------


한국 시간으로 내일 6 27 일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과 정부가 서을시민들을 그 자리에 있으라고 하면서, 또 국민들을 사지에 팽개쳐 둔 채, 자기들끼리 외국으로 탈출할 작심을 하고 도망길에 오른 날이다


15 Comments
Robbine 2015.06.26 14:01  
"가만히 있으라"는 그냥 나온 말이 아니었군요. 전통있는 지시문이었네요. 그 때나 지금이나 말 잘들은 사람들이 피해를 본 것도..

그나저나 차때기 정당 사건이 언제였더라.. 10년 넘지 않았나요? 그런데도 이름만 바꾸면 또 새롭게 기억을 리셋하고 뽑아주잖아요. 도덕적 치명상 꾸준히 있었어도 다수당에 집권당인데 무서울게 있겠나 싶어요.
sarnia 2015.06.27 09:00  
모르긴 몰라도 50 으로 시작되는 현재의 미국의 한반도 비상계획에도 만약의 경우 대한민국 엘리트집단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급을 해외로 대피시키는 플랜이 반드시 들어 있을거라고 봅니다. 저게 새삼스럽게 공식문서로 밝혀지기는 했지만 하나도 놀라운 내용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jindalrea 2015.06.26 20:20  
씁쓸하네요.
어제.. 사진들을 봤어요. 6.25 관련하여 이러저러한..
마음 아픈 날이었습니다.
sarnia 2015.06.27 09:02  
이슴만을 국부로 추앙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비겁하고 추악한 도망자들로 돌변할 지배엘리트들을 존경해 마지 않는 쓸개빠진 사람들이 제 정신을 차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래더 2015.06.27 19:42  
이승만은 전쟁 일어나니까 서울버리고 튀고, 김대중은 연평해전 벌어졌는데도 일본으로 튀고...
그나물에 그밥이 어디 가겠어요? ㅎㅎ
역대 한국 대통령들은 전부 수준 미달임.
이런 인간들이 대통령 했는데도 한국이 망하지 않은것은 모두 국민들이 잘 했기 때문임.
이승만부터 시작해서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그리고 지금의 박근혜까지 한국의 대통령들은 전부 수준미달이고 대통령깜이
아니였음. 어차피 도찐 개찐. ㅎㅎ 차라리 외국에서 대통령 수입해오는게 더 좋을거 같음. ㅋㅋ
Robbine 2015.06.29 18:44  
.
alexa 2015.06.27 20:19  
글 중에 '서울을 향해 진격하고 있던 북코리아측 부대는...'라는 말을 보니
캐나다까지 도망간 카나디언이 남의 나라 내정간섭하는게 씁슬합니다.
북코리아라.................

대통령이 나라가 위중해지면 망명정부라도 세워야 하는데. 그래서 피신해야 하지요.
아니면 서울에서 총맞아 죽어야 시원하신지.

6.25 한국전쟁은 대한민국이 일으켰나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내려온건가요.
김책이라는 괴뢰수뇌부가 새벽에 전차끌고 기습하는건 용맹스럽고 자랑스러운지.
싸님은 선빵을 좋아하는건지. 총들고 하는 살인행위를 지고지순한 선의 가치로 보는지.

대한민국도 돈 이제 많이 생겼는데 김정은이 거처에 선빵 날려도 되는건지.
부추기는 행위는 그만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나이도 많은 분이 정신이 혼미한건지.
외국으로 도망가서 살아도 '국제시장', '연평해전'같은 영화도 좀 보고 하세요.


우리 국군이 전투력이 약하여 후퇴하는 것이 잘못인가요.
사리분별을 못하는 분이신지 답답하네요.
sarnia 2015.06.27 23:12  
덧글에  쓸데없는 감정이 너무 많이 들어가 있어요.  Ageism 에 해외동포 비하발언에.

기습공격을 당했을 때 정부가 후퇴할 수 있어요.  장제스가 대만으로 도망간 것 처럼 제주도로 갈 수도 있겠지만, 이승만이 제주도에 갔다간 도민들에게 맞아죽었을테니까 못 갔을거고,

결사항전의 마지막 배수진은 어차피 부산이었습니다.  버티는데 까지 버티자는 각오를 했다면 강과 산악 교두보를 차례로 활용할 수 있는 대전-대구-부산 동선으로 이동했어야 이해가 되겠지요. 뻥뜷린 평야지대를 경유하여 목포항구로 갔다는 건 외국으로 도망갈 계획을 세웠다는 말 밖에는 안 됩니다.

이미 외국정부문서들에 의해 사실로 드러났으니 도주정황에 대해 새삼 이야기할 필요는 없지만, 전쟁 이틀만에 국외탈출을 시도한 대통령을 무슨 이유로 두둔하는 건가요?  변명해 줄 걸 변명해 주세요.   

방금 위에 올리신 영화 ‘연평해전’ 글 읽었는데, 한국전쟁 때 사망한 미국군 전사자 수는 3 만 명이 아니라 5 만 4 천 명입니다. 수정하세요.
alexa 2015.06.27 23:47  
링크에 사망자수가 나옵니다.
다른 자료는 어떤게 있는지요.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452

연령차별은 아니구요. 그정도 오래전 이야기를 엊저녁이야기하듯 평론해서 던진 코멘트이고요.
저보고 정신병원 가라는 분에게도 참아냅니다.
역사를 가볍게 만화보듯 판단하시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해외동포 비하라....
북코리아 해외동포라고 느껴져서 비난한겁니다.

이승만에 대한 분노가 없는건 아닙니다.
이승만이 너무 늦게 피난길에 올랐다라는 소리도 있습니다.
차라리 일반국민처럼 대통령이 포로로 잡혔으면 하는 생각이신게이지요.

너무 한국근대사를 보는 시선이 다릅니다.
좀 더 서늘한 시선으로 보아주셨으면 합니다.
친일파를 처단하지 못한 것에 대한 생각은 같겠지만.
sarnia 2015.06.28 00:03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military_casualties_of_war

3 만 6 천 516 명이군요.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마음을 열어주시기를 기대하구요.

수정 안 하셔도 됩니다.
sarnia 2015.06.28 00:40  
사망자 통계가 집계기준에 따라 다르다는 걸 발견했어요. 한국전쟁과 관련된 미국군 worldwide 총 사망자 수는 54,246 명 입니다. 어쩐지 이상하다 했네..

American Battle Monuments Commission database for the Korean War reports that "The Department of Defense reports that 54,246 American service men and women lost their lives during the Korean War.


Rank War Years Deaths Deaths per Day US Population in First Year of War Deaths per Population
1 American Civil War 1861–1865 750,000[91] 420 31,443,000 2.385% (1860)
2 World War II 1941–1945 405,399 297 133,402,000 0.307% (1940)
3 World War I 1917–1918 116,516 279 103,268,000 0.110% (1920)
4 Vietnam War 1961–1975 58,209 11 179,323,175 (1960) 0.030% (1970)
5 Korean War 1950–1953 54,246 45 151,325,000 0.020% (1950)
6 American Revolutionary War 1775–1783 25,000 11 2,500,000 0.899% (1780)
7 War of 1812 1812–1815 15,000 15 8,000,000 0.207% (1810)
8 Mexican–American War 1846–1848 13,283 29 21,406,000 0.057% (1850)
9 War on Terror 2001–present 6,717 1.57 294,043,000 0.002% (2010)
10 Philippine–American War 1899–1902 4,196 3.8 72,129,001 0.006% (1900)

여기에 실종자 4,759 명을 더하면 6 만 명에 달하는군요.

앞에서 alexa 님께 한 사과 일단 취소합니다. (그래도 마음은 계속 열어주세요.)
alexa 2015.06.28 23:36  
싸르니아님답지 않네요.
평소에도 미군 사망자를 외고 계시지는 않지 않나요.

글의 핵심은 그게아닌데 지엽적인 문제로 시비걸다
'아, 내가 맞소'하는 그런 행동이 실망스럽습니다.

외국인답게 무척 친절하셔서 인상적입니다.
항상 싸르니아님의 옥고를 존중하며 읽고 있습니다.
마음은 항상 열려있습니다.

캐나다에서 너무 외로우시죠.
그들도 겉으론 아닌척하지만
영연방 호주와 같이 돈 좋아하고 은근히 인종을 가리는가요.
힘내세요. 우리 한민족은 하나입니다.
sarnia 2015.06.29 00:13  
평소에 외우고 있었는데 alexa 님 때문에 헷갈렸잖아요.
그래서 바로 잡은 겁니다.
통계란 항상 중요한 거니까요.
시비 아니예요.
윗글 연평해전,, 읽기가 불편했나보군요.
매자 2015.06.27 23:54  
이승만이 깝치다가 선빵 맞은거임다
이승만이 허풍때문에 열받은 김일성이가 소련 등에 업고 남침을 하게 됐지요
뻥만 치던 이승만 깜짝 놀라며
진짜로 처들어 올줄이야 하고  도망가면서
슬하에 자식이 없어
항상 대한의 청년들은 나의 아들이고 딸이다라고 말해왔는데
그 아들 딸들에게는 걱정말라 안심시키고 줄행랑을 쳤답니다.
1949년에는 북보다 남쪽 군사력이 우세했기에
이승만이가 노골적으로 도발을 심하게 했더랍니다.
허풍은 하늘을 찌를정도 였으니 ....
오죽하면 김구 선생님 비롯 독립 투사등 반대세력을 제거 했을까요.
친일파는 당연히 제거하지 못한 이유는
이승만이 역시 친일파인데 누가 누굴 제거 합니까.
물론 후에 반공과 반일에 열을 올리긴 했지만.....
이승만 왈 " 친일도 다 같은 친일이 아니고 나 처럼 전에는 친일 이었으나 지금
                조국을 위하면 애국자다 " 라고 
역설적으로  달면 삼키고 쓰면 뱉어 버린다
                국민이란 내가 아쉬울땐 사탕같은 존재지만
                              내가 풍족할땐 곱추의 혹과도 같은 존재이기에
그에겐 어떠한 미련도 없었을 겁니다.
sarnia 2015.06.28 00:18  
처음 이틀동안 이승만이 여유를 부렸던 이유는 당시 국방장관 신성모의 어처구니없는 거짓말보고 때문이었을 겁니다. "북괴군이 남침했지만 용맹무쌍한 우리 국군이 격퇴하고 있다" 는 보고를 그대로 믿은 거지요. 이런 한심한 국방장관을 제끼고 육군본부 정보국장 장도영, 육군참모총장 채병덕이 직접 전선을 시찰하고 나서 6 월 27 일 밤 의정부 저지선이 무너질 것 같다는 작보를 경무대 경호책임자였던 곽영주를 통해 하게 되고 그 날  자정무렵부터 경무대에 쌩난리가 난 겁니다. 영어구사가 자유로운 이승만은 직접 미국측에 망명의사를 타진하게 되고, 미국측이 수락함에 따라 목포항으로의 이동이 신속하게 결정되었을 것 입니다. 따라서 이승만과 한국정부의 국외탈출 계획은 이틀이 아니라 불과 수 시간 만에 결정되고 진행됐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항전에 대한 고민을 한 흔적도, 그럴만한 시간여유도 가지지 않았다는 말이지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