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MB가 말한 3차 Oil Shock (유류 파동)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편집] 1차 유류파동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발발이후 페르시아 만의 6개 산유국들이 가격인상과 감산에 돌입, 배럴당 2.9달러였던 원유(두바이유) 고시가격은 4달러를 돌파했다. 74년1월엔 11.6달러까지 올라 2∼3개월만에 무려 4배나 폭등했다. 이 파동으로 74년 주요 선진국들은 두자릿수 물가상승과 마이너스 성장이 겹치는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어야 했다.
한국의 경우, 1973년 3.5%였던 물가상승률은 1974년 24.8%로 수직상승했고, 성장률은 12.3%에서 7.4%로 떨어졌다. 무역수지 적자폭도 크게 확대(10억달러→24억달러)됐다. 산업구조가 경공업에서 에너지수요가 많은 중화학공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충격은 더 컸다. 1975년 성장률은 6.5%로 더 떨어졌고, 물가는 24.7%의 고공비행을 이어갔다. 후폭풍은 2년간 지속됐고, 1976년에서야 비로소 경제는 정상을 되찾았다.[1]
1차 유류 파동 당시에는 1개월만에 국제유가가 약 3.9배로 올랐고 한국의 환율도 21.9% 올랐다. 경제성장률은 3%선으로 급락했다.
1차 유류 파동으로 6%대였던 미국의 국채수익률은 8%대로 상승했다.[2]
구분 레이어[편집] 2차 유류 파동
1978년 12월 호메이니 주도로 회교혁명을 일으킨 이란은 전면적인 석유수출 중단에 나섰고 배럴당 13달러대였던 유가는 20달러를 돌파했다.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30달러벽이 깨졌고,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무기화를 천명한 1981년 1월 두바이유는 39달러의 정점에 도달했다.
선진국들의 충격은 1차 파동 때보다 적었지만, 한국경제는 반대였다. 대내적으로 10·26 사건과 1980년 정치혼란이 겹치면서 1980년의 실질성장률은 경제개발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2.1%)를 기록했다. 물가상승률은 무려 28.7%에 달했고 실업률도 5%를 넘어섰다. 1981년 성장률이 6%대로 높아졌지만 기술적 반등 수준이었으며, 물가는 여전히 20%를 웃돌았다. 2차 오일 쇼크 역시 꼬박 2년간 한국경제에 치명적 충격을 주었다.[3]
2차 유류 파동 때는 6개월만에 국제유가가 2.3배가 올랐고, 한국 환율이 36.5% 상승했다.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 성장이 되었다.
유가 상승 폭 1차 때 보다 컸던 1978년 2차 유류 파동 때는 8~9% 수준이었던 미국의 국채수익률이 15% 수준까지 올랐다. 한국의 회사채 수익률도 2차 유류 파동 당시 20% 초반에서 30%대까지 상승했다.
-------------------------------------------------------------------------------------------------------
이상이 1차 2차 오일 쇼크에 대한 설명 입니다.
여러분은 위 오일 쇼크와 지금 2mb가 말한 3차 오일 쇼크에 준한다는
말에 동의 하시나요????
전 동의 못합니다
2mb가 발언한 3차 오일쇼크와 같다고 발언 한것은 7월 2일 처음으로
3차 오일쇼크에 준한다고 발언했다.
왜 그동안 석유와 관련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다가 오일쇼크라는
발언으로 국민에게 충격을 주었을 까요???
이유는 간단 합니다. 고환율 정책의 실패로 외환위기에 직면하자
고환율 정책을 포기한다고 정부가 발언을 했고 환율에 적극 개입하겠
다고 말 했습니다. 
즉, 자신의 잘못된 정책을 오일파동이라는 무서운 단어를 언급하여
국민들에게 자신의 잘못을 감추려 했던 발언 입니다.
그럼 유가의 움직임을 살펴 보면 정말 오일 쇼크라 말할수 있을까???
유가는 꾸준힐 상승을 하다 2004년 부터 불안해 지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2006년 초 70$선을 돌파하고 2007년 초 50$선을 까직 떨어
졌습니다. 
2006년 초 70$에서 부터 계산을 하면 현 유가는 140불 선이니 2배 상승
2007년 초 50$에서 부터 계산을 하면 3배 상승을 했습니다.
2007년 국내 증시와 미국 증시는 최고치를 기록 했습니다.
유가가 상승하기는 했으나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여 유가 상승의 
충격이 덜했습니다.
또한 73년 1차 오일 쇼크느 3개월에 4배
78년 12월~81년 1월 까직의 2차 오일 쇼크는 2년에 4배가 상승
2차 오일 쇼크는 국내에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현재는 일년 전보다 국제 유가가 3배가 상승 했습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1, 2차 오일 쇼크와 다른 점은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갱시하면서 국내에
충격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현 정부가 이제서야 3차 오일 쇼크에 준한다는 발언은 진실을
감추려는 국민을 기망하려는 막말이라고 생각 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