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발생은 미얀마인데...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지진 발생은 미얀마인데...

울산울주 20 1823

무려 1.000 킬로나 멀리 있는

방콕의 건물이 무너지나요?


BBC 뉴스에서는 로스엔젤스 지진때

하와이까지 피해가 있었다고는 하네요


무너진 건물이 공사중이었다고는 하지만

부실공사의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사실 방콕의 대부분 고층 건물들은

내진 설계가 안 되었을 것 같아요


다음주에 출국할 예정이건만

집사람이 바로 전화했네요

태국 가지 마!!


20 Comments
쿤츠아라이 03.28 20:45  
건물 골조는 다 올라가있었고, 루프탑의 헬리포트와 내외부 공사중.
내진설계부실로 추측됩니다.
미얀마 규모의 지진이 수코타이나 매홍손 정도에서 발생한다면, 방콕 건물 50%이상은 붕괴할듯.
울산울주 03.29 00:02  
[@쿤츠아라이] 어떻게 그리 쉽게 무너집니까?
미국 9.11 때도 이렇게 허술하게 부서지진 않았거든요.
레고를 쌓아도 저렇게 산산조각이 나지는 않는데.
뽀뽀송 03.28 21:00  
건물이 휘어짐없이 수직으로 무너져 내리는 걸로 봐선,
내진 설계는 1도 없지 않았을까 싶더군요.
분명 40여명의 인명이 무너진 건물안에 있었으니, 많은 분들이 돌아가셨을 듯 합니다.
근데, 저 건물 완공되고 나서 저렇게 무너지는 걸 상상해보면,
더 끔찍할 수도 있었겠다 싶어요.
울산울주 03.28 23:43  
[@뽀뽀송] 200% 동감.
저 부실한 건물이 완공된 후에
이런 사고가 났다면 거의 1.000 명 사망 사고.

정의란 무엇인가?
공사장 인부들 몇 십명은 죽어도 좋은가?
죄송합니다만 따져보면 그렇다는 것임.
타이생각 03.28 21:28  
그런데  고층 건물 짓는걸 보면 20층 짜리 건물 기둥이 우리나라 5층 건물 기둥 굵기 밖에 안됩니다.
그걸 모면 항상 불안하던데 결국 당했군요. 에까마이 역 근처라고 하던데.....
울산울주 03.28 23:40  
[@타이생각] 짜뚜짝 부근
정부 관공서인 감사원 신축 건물이라고 해요.
망고찰밥 03.28 21:53  
일단 뉴스영상을 봐도 무너진 빌딩 기둥이 매우 가늘더군요. 태국 건물에서 항상 느끼는게 기둥이 매우 가늘다는 느낌입니다. 한국 건물의 절반도 안되는 느낌.
그리고 요즘 건물은 기둥과 슬라브(Slab)가 연결되지 않은 구조를 많이 쓰더군요.
아래 사진은 아파트건물 게스트하우스입니다. 방 천정을 봐주세요.


천정 보와 천정 바닥(슬라브)이 연결되어있지 않고 콘크리트 사각형 막대모양을 여러개 걸쳐놓았습니다.
이러면 건설현장에서 슬라브 거푸집을 복잡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되죠.
슬라브가 기둥이나 보와 연결되어있지 않으므로 서로 붙잡아줄 수가 없습니다.
보 어딘가 한군데만 깨지면 걸쳐놓은 막대들이 모두 쏟아져내려 아래층을 부숩니다. 빠르게 아래층으로 연속으로 무너지죠.
울산울주 03.28 23:39  
[@망고찰밥] 흠.. 직업이 건축 관련??
망고찰밥 님이 정밀하게 분석하셨네요.

침대 아래로 들어가서 잠 자야 안전할까?
어쩌면 도미토리 하단 침대가 안전...

룸피니 아파트를 조립식으로 짓는 것 보고
저게 안 무너지나 늘 궁금했어요.
말랏 03.28 23:44  
[@망고찰밥] 커다란 기둥이 오늘 지진으로 깨지면서
안에있는 진짜 기둥이 보입니다
(라자망갈라 대학교)

울산울주 03.28 23:49  
[@말랏] 헉!! 뭡니까.
공갈 빵인가?
속이 텅 비었네요.
뽀뽀송 03.28 23:58  
[@말랏] 충격적이네요.
이 사진 네이버 카페에 링크 걸어서 많은 분들이 볼 수 있도록 할게요.
망고찰밥 03.29 00:59  
[@말랏] 충격적인 차이네요.
역시 태국에서 굵은 기둥을 썼을리가 없지....
후니니 03.29 10:14  

후니니 03.29 10:20  
보가 없는 무량판 구조네요

이 구조는 외부로 부터 계산치 이상의
하중
(위에서 내려오는수직하중.바람.지진으로 부터 측면으로 걸리는 수평하중 포함)

걸리면 슬라브가 기둥을 뚫고 내려앉는
단점이 있는 구조입니다

참고로 기둥. 보. 슬라브가 일체구조인 라멘구조는 측면에서 계산치 이상 하중이 걸려도

기둥.보 접합부가 강성으로 유지할려는 현상이 생겨

기둥의 부족한 항력을 보가 일부 보조하기에 극단적인 붕괴까지는 가지않습니다
후니니 03.29 10:23  

후니니 03.29 10:29  
붕괴가 시작되는 최초시점에 어떤 이유인지 건물이 이미 기울어진 상태에서

최상층 바로 아래층에서 슬라브가 뚫려내려앉는 모습이 보이네요
후니니 03.29 10:30  

후니니 03.29 10:35  
펀칭쉐어(Punching Shear)가 (기둥에 의해 슬래브가 뚫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연속으로 상층부에서 일어나며 그 충격으로  이미 기울어진1층 피로티가 부러지며 붕괴되네요
망고찰밥 03.29 11:46  
[@후니니] 30층 빌딩에 보가 없고 텅 비어보이는 저런 구조라니 놀랍네요.
타이생각 03.29 13:49  
이미 지어진 건물들도 기둥이 너무 약해보입니다.
저러니 약간만 충격이 와도 무너지죠.
태국 건축법이 저렇게 짓는 것도 허용 하는지 의심이 가고, 호텔 가서 잡을 자겠습니까?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