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업소의 환율 적용 문제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한인업소의 환율 적용 문제

울산울주 17 1073
태국 한인업소의 환율 적용에 관해서
한 번은 짚고 가야한다는 생각인데요,
 
제가 어제 쑤쿰빗 바수 환전소에서
한화 20만원을 환전했더니 5.520바트를 주더군요.
(고로 환율이 바트당 36.3, 만 원에 276 바트)
 
 
먼저 결론을 말하자면,
 
1. 한화를 현찰로 태국으로 가져와서
2. 위의 바수 환전소에 가서 태국 바트로 환전하고
3. 한인업소에 바트로 지불하는 것이 가장 이익이다!

4월 24일 오늘 외환은행 환율(태국 바트)
 
기준 36.8
현찰 매입 39
전신환 매입 37.2
 
동대문 만이 우대 환율로 바트당 38원을 적용하는 것 같고
대부분 한인업소는 현찰 매입 환율 39원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궁금한 것이,
왜 현찰 매입환율을 적용하는지 하는 이유입니다.
 
누가 이 부분에 대해서 이해가 가도록 설명 바랍니다.
아마도 한인업소 관계자분들은 대꾸도 안 하실듯.
 
태국에서의 대금을 한국에서 결제하는 것은
'단순한 화폐가치의 환산'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한국에서 태국 바트를 현찰로 매입해서
태국의 한인업소에 지불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고로 기준 환율을 적용하면 맞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한 곳의 한인업소에,
하루에 10명의 고객이 1.000 바트씩 한국에서 입금을 하면...
 
환차익에 의한 수입만 약 2만원에 이르게 되는것이고,
이것을 한달로 환산하면 50 만원이 넘는 액수가 되겠죠.
 
아무튼 한인업소들이
현찰매입 환율을 적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명쾌한 해명이 있어야.
 
 
 
17 Comments
적도 2012.04.24 11:08  
울산울주님 님의 말씀에 공감하는 부분이 없지는 않습니다.
다만 한인업소의 환율적용율 1바트=39원에서 바수의 적용율은 계산해보니 36.23188원입니다.  그래서 39-36.2는 2.8원 10,000바트 x 2.8= 28,000원 정도입니다.
합리적이라면 전신환 매입에 수수료등을 넣어 38바트정도면 적당하겠네요!
bomnalcafe 2012.04.24 11:19  
하루10명의 고객이 1000바트씩 입금하면 만밧인데
이거는 40만원이 안되는돈입니다.
그런데 환차익이 20만원이라는건 좀...
시골길 2012.04.24 12:25  
2만원을.. 잘못 적으신듯 하네요..
울산울주 2012.04.24 13:58  
죄송합니다.
수정했습니다.
sere``지훈 2012.04.24 11:33  
음.... 그런 계산이 나오나요?
일단은 제가 생각했을때는 하루에 1000바트씩 10명이 입금을 하면 20만원이 남는다는 계산 법부터 이해가 안돼네요 어떻게 40만원으로 20만원의 환차익이 생기는지 이말이 사실이면 태국의 한인업소는 엄청 부자가 되어 있겠네요 환차익에 님의 오바가 있는듯 하네요
시골길 2012.04.24 12:24  
20만원은 '2만원'의 오타로 보입니다..문맥상으로.. ^^
간큰초짜 2012.04.24 12:22  
좋게 좋게 생각하시죠.
일단 계산은 좀 잘못하신듯 하고, 적도님 계산에 의해 천바트당 2,800원 정도라면, 현지 태국인 업소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언어 및 여러가지 해소가 잘 안되는 불편함을 줄여주는 기회비용이라 생각하시는것도 정신건강에 큰 해를 끼치는건 아니라 생각합니다. 저도 태국 가기 전에 한인업소를 통해 호텔 바우쳐를 끊으면서 환율 계산을 해보는데 그리 중대한 사안이 될 정도는 아닌듯 합니다. 그리고 금액이 클때는 부탁하면 할인도 해줍니다. 그게 사람 사이의 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말 40만원에 20만원 수익이라면 눈탱이 맞은거니까 명쾌한 해명을 요구해야겠지만요...
락푸켓 2012.04.24 13:20  
명쾌한 대답은 그냥 환차익 보려는거 아니겠습니까?....라고 생각하겠지만

여행업은 아니지만 태국 교민의 한사람으로
한국에서 송금을 받고 때로는 한국으로 송금하는 입장에서 몇마디 적어봅니다.
물론 여행사의 입장은 아니니 이런부분도 있다고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한국 통장으로 입금되어진 돈을 태국에서 찾을때는
님이 말씀하셨던 그 기준환과른 조금다른 환율이 적용 되는듯 합니다.
또한 님이 보시는 그 외환은행 환율이 아닌 내가 돈을 찾는 태국은행의 환율이 적용됩니다.
기준 환율은 말그대로 기준이지 모든 은행이 같은건 아니지요...
은행마다 조금씩의 환율적용이 다릅니다.
거기에 한건 출금시 건당 150바트라는 ATM수수료가 청구되며
플러스로 약간의 은행 수수료 까지 더해집니다.

님이 말한것처럼 외환은행의 기준환율로 계산한 한화를 여행사의 한국계좌에 입금한다면
여러가지 부대비용으로 태국에서 뽑아쓰는 입장은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닙니다.
그러다보니 이런 비용을 대충 계산하면 외한은행의 환율에 2포인트 정도 더 받으면
평균적으로 거의 손해없는 정도로 태국에서 뽑을수 있는것 같더군요
그러다보니 이렇다 저렇다 말보다 현찰환매입 포인트로 받으면..거의 비슷해진다 이거죠
저는 그래서 한국에서 돈받을 일이 있으면 이런식으로 계산해 받습니다.

통장에 돈이 많을때야 기다렸다 한번에 찾으면 150바트 수수료가 별거 아니겠지만
그때그때 받아서 거래터에 송금 해줘야 하는 입장이라면
몇만원 찾으며 때마다 수수료 내는것도....장난 아니거등요
이런부분도 생각해 보셔야 할듯 합니다.

이런 환율계산 문제시 여행사들이 침묵하는 이유는
뜨금해서 말을 못하는게 아니고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하려 들지 않는 관광객들과
쓸데없는 마찰을 피하기 위해서 일겁니다.

한인 여행사에서 일부러 한국 입금을 유도하지는 않습니다.
여행사 입장에서는 그냥 돈만 받으면 되는거죠
한국은행으로 송금이 가능한것도
어떻게보면 고객을 많이 유치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겠지만
고객이 미리 한국에서 예약할수 있게 해주는 편의서비스 일수도 일수도 있습니다.
약간의 환차손해를 봐도 미리 안전하게 한국에서 입금하던
아니면 번거롭더라도 직접 현금 들고가 계약하던지
현지 사설환전소에서 환전후 결제하던지(사설환전소 이동시에도 비용이 발생하죠)
그건 소비자의 몫이라 생각합니다.
LINN 2012.04.24 13:46  
락푸켓님이 이런저런 부분에 대하여 설득력있게 잘 설명해주신것 같습니다.

특히 여행사들이 침묵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은 정말 공감됩니다.

* 여담으로, 쓸데없는 마찰을 즐기며 이곳저곳에서 자기를 과시하는 한 업주가 생각나는군요. 퉷.
물우에비친달 2012.04.24 20:10  
끄덕끄덕....그렇군요..그렇겠군요.
pass 2012.04.24 15:43  
안녕하세요! 숙박업을 하는 사람입니다.
일단 저는 우리은행 살때 환율에서 -1원을 적용해서 입금
을 받습니다. (오늘을 기준으로하면 37.8 바트)
장사의 목적 자체가 수익이기때문에, 1바트 정도는 환차손에대한 일종의 보험,전신환 인출
수수료라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해외에서 장사 하시는분들은 한화보다 현지화를 더 선호하십니다.^^

글쓰신분께서 지적해주신 부분에 조금이라도 책임이 있는 장사치로서,
죄송함을 느끼며, 그만큼의 서비스로 보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누텔라 2012.04.24 16:58  
atm 수수료 150밧요.....
시티은행 계좌 있으시면 출금수수료 없습니다...
환율도 웬만한 은행 우대환율 급으로 나오구요.
그리고 aeon 기기에서 출금하셔도 수수료 안붙습니다.
aeon은 전국망이라서 방콕 이외 지역이라도 쉽게 볼수 있습니다.
물우에비친달 2012.04.24 20:08  
1. 시티은행이 방콕에 겨우(!) 2군데 있습니다...수수료 아낀다고 교통비에 따로 시간 내어가며 현금이 필요할때마다 시티은행가야 할까요?...아참 교민분들은 시티은행 옆으로 이사가면 되겠군요^^


2. "에온은....수수료가 안붙지만...환율은 타은행에 비해 높습니다...오히려 태국 타은행에서 수수료 150밧 내고 뽑는게 싸게 맥히거나 또이또이...입니다."....
라는 내용의 글을 본거 같기도 하구요..쩝~
다람쥐 2012.04.24 17:21  
한국만이 은행에서 수수료가 아주 적은것 같아요.
제가 살고있는 미국만 하더라도
미국에서 제일큰 뱅크오브아메리카 10년이상 고객이여도
한국 송금 할때 $45 한건당 수수료 붙습니다.
물론 환전 송금하면 수수료가 없지만,
달러 자체로 송금하면 수수료가 많은 거죠.
이것이 제가 아는 상식으로는 대한민국안에 존제하는 은행만 빼고
대부분 국가에서 은행수수료가 비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런 것 아닐까요?
앨리즈맘 2012.04.25 04:05  
님이 생각을 조금 더 하신다면요 그걸 현지에서 뽑을때도 수수료가 들지만 해외송금을 해도 보낼때 받을때 다 들어요

그러니 넘 팍팍하게 계산하는것은 좀 그러내요
파타야모래밭 2012.04.26 19:38  
오만원권 가져와서 환전하는게 제일 이득이죠 ㅎㅎ
다들 오만원권으로 "뽑아오세요...
davidkhan 2012.05.02 17:27  
본인들이 환전한 후에 바트로 계산 하시면 되잖아요 장사하는 사람들 피곤하게
환전하는 곳까지 갈 시간 없거든요 그러지 않아도 힘들고 피곤한데 잔돈푼 가지
고 왜들 이러시는지 아까우시면 직접 환전해서 사용하세요 호텔에서 환전 하시면
까무러 치시겠어요 ㅋㅋㅋ
 (저는 밥장사 아닙니다 그런데 글 올리신분 너무 찌질하신거 아닌가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