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교사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반면교사

sarnia 15 799
 
-------------------
여기저기 싸돌아다니다 드디어 오늘 깨달음을 얻은 여행자들에게 드리는 노래는 <>  
 
 
1568A34F4F57F9A22638D1
 
 
멋진 말이 있다.
 
“Be passerby!”
Passerby 라는 영국말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그냥 지나가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서 그냥 지나가는 사람이란 통행자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나그네라고 하는 게 더 어울릴 것이다.
 
사실 나그네라는 말도 썩 내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그래서 나는 이 말을 여행자로 받아들였다. 왜 순수한 우리말이 마음에 안들어 한자말을 사용하느냐는 시비는 걸지 말기 바란다. sarnia 에게는 순수한 우리말이고 한자 우리말이고 모두 같은 한국말일 뿐이다  
 
어쨌든 이 말을 한 사람은 예수 선생이다. 그의 말을 나의 감각으로 재해석하면 다음과 같은 말이 된다.
 
“Be tourist!” (여행자가 되세요! = 여행을 떠나세요!)
 
한국의 기독교인들 중에는 예수가 언제 이런 말을 했느냐고 반문할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지만, 분명히 했으니까 의심하지 말기 바란다. sarnia 는 거짓말 안한다. (거짓말 할 필요가 있을 때 가끔 misleading truth 말할 때는 있지만 이건 그것도 아니다)
 
그는 왜 이런 말을 했을까?
 
192CEB4D4F583E362221E5
 
 
141F5A504F57F9EB0AE1E0
 
 
세계의 대도시들에 가면 거의 예외없이 여행자거리가 있다.
방콕의 카오싼, 호치민의 데탐, 뉴욕의 타임스퀘어가 그런 곳들이다. 방콕이나 뉴욕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서울의 명동과 인사동도 이방인들의 거리로 봐 줄 수 있다.
세계 각지에서 모인 여행자들이 모여서 그 지역 인구의 주류를 이루는 장소에서는 그런 공간 특유의 독특한 문화가 흐른다.  
지금까지 평소에 자기와 남을 분리만 해온 사고방식 안에서 살던 사람들이 적어도 그 장소에서만큼은 자기와 타자를 공유하는 trans subject/object consciousness의 초보적 경험을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모든 여행자가 도의 경지에 이르는 건 아니지만, 도의 경지에 이른 사람들은 하나같이 여행자 출신이다. (교회 가지 말고) 여행을 가라고 노골적으로 선동한 예수 선생도 싯다르타 선생도 공자 선생도 바울 선생도 게바라 선생도 요왕선생도 모두 싸돌아다는 걸 주업처럼 삼았던 사람들이다.   
 
 
1737B4484F583D1E37A49D
 
 
111C974E4F57FA570FBC48
 
 
자기가 머무는 곳에서 떠날 줄 모르면 답답한 인간이 된다. 여기서 자기가 머무는 곳이란 단지 지리적 의미만이 아니다. 문화와 종교적 배경도 포함된다.
 
새로 보는 게 없으니 느끼는 것도 없고 느끼는 게 없으니 깨닫는 것도 없다. 어디선가 읽은 기억이 나는데, 미국 남부의 인종주의 조직원 거의 전부가 자기 주 이외의 다른 지역에 가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라는 통계가 있다.  
 
자기와 다르거나 새로운 것들이 나타나면 신기한듯 바라만본다. 그러다가 수틀리면 자기와 다르다고 화를 낸다.
 
어느 개신교 목사 처럼 느닷없이 “카톨릭(다른 종교)와 맞짱뜨자”고 설레발을 놓기도 한다. 열라붕신이 따로 없다. 열라붕신에서 한 등급 내려 앉으면 졸라붕신이 된다. 졸라붕신이 득도하면 짱졸라붕신으로 영전한다. 대한민국에서 짱졸라붕신 경지에 이른 인사는 그리 흔치 않다. 홍도나 만원이 정도로 극소수다.
 
여담이지만 참고로 그 열라붕신은 어제 제주도에 간 모양이다. '서북골빈청년단' 500 여 명을 이끌고 구럼비 바위 때려부수는 거 도와주러...... 그게 목사가 할 짓 인가?  
 
어쨌든, 이런 사람들을 가리켜 ‘frogs in a well’ 이라고 부른다.
 
오랜 세월 동안 다리에 묶인 밧줄로 인해 행동반경을 제한당해 온 코끼리는 밧줄대신 실로 묶어 놓아도 그 행동 반경을 벗어나지 못한다
 
나는 이것을 '비극'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그들은 이것을 '은혜'라고 부른다.   
 
 
126C183F4F58E956049553
 
 
116EBF4F4F57FA962564BD
 
 
18197C454F58EF2B02ABB1
 
약간 열받은 상태에서 올린 포스팅이니 이해해 주시길~
 
싸르니아
 
 
 
 

15 Comments
jbrother 2012.03.09 10:55  
도반을 만난듯 반가운 글
알렙 2012.03.09 12:05  
책의 첫페이지에 고꾸라진 사람 많죠.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고구마 2012.03.09 12:31  
아니, 저 거대한 반열에 요왕선생이 끼였어요. ^^ 와우~
아...전 약간은 다른 생각이, 그렇다고 뭐 반론 까지는 아니에요. 그런걸 할 주제도 안되고...
그냥...너그러이 봐주시면...
전 여행이나 방랑, 돌아다님이 사람의 인성을 뭔가 한단계 이끌어올린다는 생각은 좀 옅어요.
여행중에 도를 깨치는 사람은, 일상 생활속에서도 깨칠만한 그럴만한 사람이고
여행 많이 한 사람중에서도 고집, 아집이 나날이 더해가는 사람이 있는듯해요. 그러니까 가치관이나 성향이 나날이 더 강팍해져가는 사람이 있는데 , 그 사람은 일상 생활에서도 그런 사람이고...
그러니까 그 사람 기본 성향이 문제이지, 여행이 다른 부분에 비해 크나큰 깨달음을 주는 채널이라고 보기에는, 잘 모르겠어요. 제가 아직 그런 감흥이나 발전을 못해서 그런것일수도 있고요....

여행자가 길위에서  느끼는 가치가 분명히 있고
해외 여행 한번 못가봤어도 어두운 새벽길에 근로자가 느끼는 가치가 분명히 있을테고
깨달음을 얻을 도량이 되는 사람은 집안에서도 얻을수 있고, 책을 읽다가도 가능하고
안되는 이는 암만 세상 끝까지 가도 안되고....
쓰고 보니 뭔말인지 횡설수설해서 죄송합니다.
세일러 2012.03.09 13:49  
고구마님, 깨치셨군요~
그 통찰은, 여행 많이 다녀서 얻게 된 것 아닌가요? ㅎㅎ
먼지 2012.03.09 12:39  
터트려 지지가 않아 속에서 우글거리던 답답한 마음이  사니아님의 글에 카타르시스를 느끼다가도 글에 언급했던 깨달음이란 `서로 다르지 않다는 걸 알게되는 것`이라는 결론에  결국 저 또한 반대편에서서 `그들과 다르다고 생각하기에 답답하고 화가 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저의 여행의 끝이 아직도 멀게만 느껴집니다.
sarnia 2012.03.09 13:21  
정리되지 않은 생각을 나열했는데 의미있게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좋게, 또 반갑게 받아들여주셔서 송구할 정도로 감사하구요.

실은 오늘 아침, 서X석 목사의 ‘카톨릭 맞짱’ 발언과 제주 해군기지 발언에 열이 받아있다가, 그런 이상한 소리를 한 사람이 목사라니까 The Gospel of Thomas 라는 외경문서에 있는 예수어록이 생각나서요. (깨달음을 얻으려면) 여행자가 되어라, 뭐 이런 말이었지요.

다른 문화와 접한 경험이 많다고 누구나 인성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예쁜 인성적 토대가 마련된 사람이라면 <만남>이라는 구체적 경험을 통해 생각의 소재들을 훨씬 빠르고 다양하게 넓힐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주요종교의 첫 가르침이 ‘길을 떠나라’ 든가 ‘출가’를 강조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 아닌가 생각하구요.

토인비라는 사람이 20 세기 최고의 사건을 동서양 종교 (기독교와 불교) 간의 만남이라고 정의했다는데, 저는 이미 십수년 전에 읽은 적이 있는 이 말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말인지 2009 년 치앙마이 도이수텝에 가 보고서야 처음으로 깨달았습니다.

뭐, 암튼 이 본문에서는 만남과 관용, 깨달음 이런 어려운 이야기보다는 그냥 목사라는 사람들이 좀 착하고 열린 마음을 가져 주었으면 좋겠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
세일러 2012.03.09 13:51  
대한민국 개신교 목사들, 그려려니 해야죠.
인터넷에 떠도는 기사 제목만 보고 읽지도 않았어요.
뻔한 내용일테니요.
나마스테지 2012.03.10 04:51  
3월 9일 자 한겨레 1면.

울부짖는 신부님 - 문정현신부가 8일 오전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현장 앞에서 윗옷을 벗고 항의시위를 하다 강동균 강정마을 회장의 만류를 받자 울음을 터뜨리고 있다.

이 한장의 사진을 보고 '분노'의 감정을 느끼지 않는다면.

당신은 살아 숨쉬는 게 아니다.
나마스테지 2012.03.10 05:06  
절대로 아니다, 살아 숨쉬는 게. 분노할 줄 모른다면.

살아 있는 게 아니니

깨달음은 없다. 여행 열라 다녀도.
나마스테지 2012.03.10 05:16  
그리고 싸르니아 님.

예수가 정녕 실존인물인가여?

오늘 이 포스팅으로 인해 실존인물로 결론 지으려 합니다. ㅋㅋ
sarnia 2012.03.10 13:21  
모르겠어요.
실존인물이었는지 아니었는지 관심도 별로 없고요.
어록을 읽어보면 실존했던 것도 같고,
고대신화를 베껴 덧 씌운 스토리 살펴보면 구라인물같기도 한데,
그냥 제 생각에는
뛰어났던 한 인물이
질이 좀 떨어지는 후세의 추종자들 때문에
스타일을 구기고 있는 게 아닌가, 뭐 이런 짐작도 해 봐요.

내일부터 한 시간 빨라집니다.
데일라잇세이빙타임 시작.
세일러 2012.03.12 20:13  
으... 북미에서 저 야만적 섬머타임이 시작되는 시기가 온 모양이군요.
일광절약이라는 대단한 이름을 가져다 붙일 생각을 어떻게 했는지 몰라요...
자연스런 생활리듬을 망가뜨리는 정말 야만적 발상이라고 생각해요.
다람쥐 2012.03.11 03:09  
여행중 도를 깨우질려면 님처럼 혼자서 조올라 돌아다니다 보면
님의 말처럼 먼가가 깨우쳐 지는 것 같아요.
혼자 차몰고 하루 천킬로씩 운전하며 돌아다니다 보니까! 어느순간
혼자 노래를 부르질 안나! 거의 지루해서 미쳐갈쯤
정식이 맑아지고 자아 성찰을 약간이나마 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든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항상 울 마님이랑 다니다 보니 자아라는 단어나 외로움 그런거 모르겠더군요.
다람쥐 2012.03.11 03:11  
스파르타쿠스나 예수님이나 부처님은 모두 실존 인물입니다
sarnia 2012.03.12 00:17  
아마도 사람들이 궁금해 하는 건 자연인으로서 살다 간 예수가 아니라, 사복음서에 묘사되어 있는 예수가 실존인물이었는지 여부일 겁니다. 독실한 기독교인들이라면 이 질문에 "YES"라고 답할 지 모르지만, 제게 믇는다면 그 대답은 당연히 NO 입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