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 편한 도시 vs 살기 좋은 도시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살기 편한 도시 vs 살기 좋은 도시

sarnia 16 877
 

========================

 

세계에서 가장 살만한 도시는 어딜까요? 

 

 10 개월 전 쯤 나온 자료이기는 하지만,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의 Global Livability Index 2018 년 통계를 보면 매우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Top 10 에 대도시가 세 개나 랭크되어 있다는 점 입니다.  

오사카(3 위)와 도쿄(공동 7 위), 토론토(공동 7 위)가 올라있습니다. 

 

 

https://pages.eiu.com/rs/753-RIQ-438/images/The_Global_Liveability_Index_2018.pdf 

 

 

이 대도시들은 북유럽 중형도시들인 스톡홀롬(32 위), 오슬로(27 위)와 뉴질랜드의 웰링턴(22 위)을 멀치감치 따돌렸습니다. 

오사카는, 오랫동안 부동의 Top 1,2,3 위를 유지했던 북미 중형도시 캘거리(4 위)와 밴쿠버(6 위)를 따돌리고 3 위에 랭크됐습니다. 

인구 1 천 만 명급 대도시 도쿄 (23 구 기준)가 토론토와 공동 7 위에 올랐다는 것도 주목할만 합니다. 

 

도쿄는 인구밀집도가 지극히 높은 대도시고, 

토론토는 전체 인구의 60 퍼센트 가량이 비유럽계 외국 출신인 초다문화(super multi-cultural) 대도시 입니다.

2017 년 까지는 토론토가 줄곧 Top 10 안에 들어 온 가장 큰 대도시였습니다. 

2018 년에는 토론토보다 인구가 두 배 이상 많은 도쿄에게 The Best Big Apple 자리를 양보했습니다.    

 

또 한 가지 놀라운 점은 

대도시 시카고(44 위)가 중형도시 시애틀(46 위)과 샌프란시스코(49 위)를 따돌렸다는 점 입니다. 

 

등을 했다고 해서 돌반에 가야하는 열등도시는 아니고,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살만한 도시 Top 50 안에 드는 우수반 도시들 입니다.

 

시카고는 살인건수가 2017 년에 700 명 이하 (669 명)로 떨어져 온 도시가 축제분위기였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살인사건 700 건 이하를 기념하여 시카고 시민들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입만 열면 이 도시에 대해 저주를 퍼붓는 도널드 트럼프의 말과는 달리 시카고의 앞날은 희망적입니다.

지난 달, 압도적인 표차로 경쟁자를 따돌리고 시카고 신임 시장에 당선된 Lori Lightfoot 은 동성애자 흑인 여성이기도 합니다.

3 in 1 (동성애자 흑인 여성) minority 새 시장이 장차 대통령이 되면 미국역사에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될 것 입니다.    

 

LA 도 비록 우수반(Top 50) 중 꼴찌이기는 하지만 50 번 째로 살기 좋은 도시로 랭크되는 대기염을 토했습니다.  

LA 가 50 등이라는 경사스러운 성적을 거두자 미국인들은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99AA483D5D0EB5D32345E7

2018 Global Liveability Index 최대 이변 

인구 1 천 만 명 대도시 도쿄가 7 위에 오른 사건


9960524B5D0EB2BC1CC2B1

Global Liveability Index 에서 부동의 Top 5 를 유지하고 있는 캘거리 

록키산맥을 서쪽 배경으로 하고 있는 메트로 캘거리의 인구는 약 140 만 명



Global Liveability Index 선정기준은 크게 여섯 가지로 분류됩니다.

 

첫째, 사회안정도(범죄, 테러, 문화충돌 등으로부터의 안전 등), 

둘째, 의료체계, 

셋째, 문화(관용도 및 시민들의 품위와 질서의식 등),  

넷째, 환경, 

다섯째, 교육

여섯째, 도시기반시설   

 

여기서 말하는 시민들의 품위와 질서의식이란 개인의 인격이나 교육수준에서 비롯된 개별적 개념이 아니라 

공동체의 문화에서 집단-보편적으로 습관화된 행동을 의미할 것 입니다.

가령 A 라는 공동체에서는 도둑놈도 차없는 4 way stop signs 앞에서 습관적으로 정지하는 높은 품위를 보이는 반면

B 라는 공동체에서는 대학교수도 차없는 4 way stop signs 앞에서 습관적으로 그냥 지나가는 낮은 품위를 보이는 게 그런 사례 중 하나입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어쨌든, 2018 Index 에 대해서는 발표된 직후인 작년 여름에도 내가 대강 의외로 느꼈다는 소감을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오늘 아침 일부러 이 기관에서 내놓은 PDF 자료들을 자세히 열람하고 나니 새삼 의외라는 생각이 들어서 또 한 번 이야기 했습니다. 

통념과 과학적 분석의 결과는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는 2018 Index 결과를 흥미롭게 생각하고 있는 중 입니다. 

 

영국 매체가 운영하는 조사기관이지만, 

50 위 안에 랭크된 영국도시는 하위권 두 개 밖에 없는 점을 보면 편향된 기준을 적용했다고 보기도 어렵습니다. 

 

나로서는 서울이 Top 50 안에 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의아하기는 합니다. 

주관적인 평가이기는 하나, 

내가 이 도시출신이라는 점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더라도 느낌상 30 위 안에는 들 것 같은데 말이죠.

무슨 문제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건 그렇고,,

 

언젠가 '내가 살기 적합한 나라' 테스트를 했을 때 

내가 살기 적합한 나라가 마다가스카르 라는 결과가 나온 적이 있습니다. 

아프리카 동쪽에 있는 섬나라 입니다. 

테스트가 엉터리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내가 생각하기에) 내가 살기 적함한 도시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구 200 만 명 이상의 대도시일 것, 

범죄율이 제로에 가까울 것, 

현지 토종언어와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 비율이 인구의 절반 이상 될 것, 

본국의 맛을 능가하는 세계 각국의 음식맛집들이 모여있을 것.

 

이 중 세 개 이상의 조건이 맞으면 '은퇴 이후 살만한 도시'로 선택할 예정입니다.

 

'살기 편한 도시'가 '살기 좋은 도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타고난 언어와 문화에 익숙한 도시에서 살면 되고,  

그 두 가지 개념이 처음부터 일치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자유롭게 자기가 선택한 도시에 가서 살면 됩니다.   


자기가 어느 성향의 피플그룹에 속하는지는 각자가 신중하게 판단할 일 입니다. 

  

끝 

 

 

16 Comments
sarnia 2019.06.23 12:40  
https://www.businessinsider.com/most-livable-cities-in-the-world-2018-8

비즈니스 인사이더 링크를 열면 Top 50 전체를 볼 수 있는데, 50 위부터 나와있어서 LA 가장 먼저 볼 수 있군요. 10 만 명 당 살인건수나 강도 폭력 등 강력범죄는 예전보다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악명높던 NY 도 9.11 이후 정신이 번쩍 들었는지 밤에도 마틴루터킹 blvd 북쪽 거리를 산책할 수 있을만큼 평화로운 도시가 되었구요. 
작은 도시들은 심사대상이 아니라 순위에 안 올랐을 겁니다.
sarnia 2019.06.23 12:57  
오레곤 주 포틀랜드 좋죠. 10 여 전 가 봤습니다.
5 번 주간고속도로 타고 캘리포니아까지 '미친듯이' 질주하던 기억이 새록새록납니다.
주간고속도로 이야기하니 아주 옛날 생각도 나네요.
미국 고속도로를 처음 달릴 때, 거리표지가 160, 130 이렇게 써 있는데 '아니 내가 이제 30 km 밖에 안 왔단 말이야' 하고 의아해 했어요.
Km 를 쓰는 캐나다와는 달리 Mile 을 사용한다는 걸 순간적으로 깜박한거죠.
이런이름 2019.06.24 16:23  
속도 이야기를 보니... 알버타 주 캘거리에 갔던 적이 있는데 주유소에서 기름값을 처음 봤을 때 '거의 공짜' 라는 느낌이였습니다. 그런데 가격 단위가 갤론이 아니라 리터더군요. 갤론으로 환산해 보니 오히려 약간 더 비쌌었습니다.
sarnia 2019.06.25 08:51  
오늘 gas price 는 리터당 95 센트 (미화 72 센트) 였습니다.
필리핀 2019.06.23 11:43  
살기 편한 도시의 선정 기준에는
"1)사회안정도(범죄, 테러, 문화충돌 등으로부터의 안전 등)"과
"2) 의료체계"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을 겁니다.
저는 아직은 공기 맑고 한적한 산골을 선호하는데
저보다 나이 드신 분들은
1)과 2) 때문에 대도시를 강력하게 선호하더군요.

글구 서울이 등수에 들지 못한 건
서구적 취향이 반영되었기 때문일 거예요.
약간 다른 비유이긴 하지만,
제가 말레샤를 여행하면서 실망한 것중 하나가
말레샤의 인도문화였는데,
서양인들은 오히려 그것에 열광하더군요.
그때 서양인과 동양인의 취향이
확실하게 다르다는 걸 알았으며
그 이후로도 여러 차례에 걸쳐 확인했지요...
sarnia 2019.06.23 12:47  
한적한 산골을 선호하시는군요.
저는 대도시를 선호합니다.
예전에 어느 글에서 그 이유를 이렇게 이야기한 적이 있죠.

"대도시를 좋아한다. 도시가 인간소외를 낳는다는 말 따위는 믿지 않는다.
오히려 그와는 정반대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
도시는 문명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돈된 환경을 선사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도시가 인간에게 선사하는 가장 귀중한 선물은 바로 '자유'다."

https://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freetalk&wr_id=199557&sfl=wr_name%2C1&stx=sarnia&sop=and&page=2
sarnia 2019.06.25 11:54  
아, 그리고 서구적 취향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라는 말씀에는 그게 맞는지 틀리는지 제 의견을 이야기할 정보는 없지만 그냥 약간의 사족을 부치면,

거주인구로만 따졌을 때 Top 10 개 도시 중 4 개가 비서구형 도시고, 1 개가 비서구형으로 접근 중인 도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도쿄, 오사카는 당연히 비서구 도시고,

밴쿠버(광역 250 만 명)와 토론토(광역 600 만 명)에 거주하는 비서구권 출신 인구비율이 60 퍼센트 가까이 되니 (임시체류자 서류미비자는 뺀 공식통계니까 실제로는 더 높겠죠) 그냥 비서구 도시로 치면 적당할 것 같고, 캘거리 역시 백인이 아닌 인구가 43 퍼센트니 비서구형 도시로 접근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리치먼드 시 인구 중 79 퍼센트가 비백인이라는 통계를 보고 조금 놀랐는데, 리치먼드에 있는 우리 회사 밴쿠버지사 직원들 중 백인들이 드문 이유를 이제야 알았네요. 비백인을 가리키는 말로 visible minority 라는 말을 쓰는데 이런 도시들에서는 non-white majority 라는 역설적인 단어를 사용할 판 입니다.

본문 순위조사를 한 EIU 본거지 영국의 런던도 60 퍼센트 이상이 외국출신 시민들로 채워져 있고 런던시장도 파키스탄계니 도대체 서구적 취향이라는게 어느만큼까지 작용을 하는지도 의문입니다.

암튼 순위조사의 의미가 있든없든, 단일 ethnic 도시 또는 외국계가 들러리로 적당히 섞여사는 다문화 흉내도시가 아닌, 이런 초다문화도시들(super-multicultural cities)이 살만한 도시 취급을 받는 건 인류의 미래를 위해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pig 2019.06.24 10:07  
대도시 중형도시 기준이 뭔지 궁금하네요. 인구수라면 호주 3개도시 시드니, 멜버른, 애들레이드 그리고 비엔나도 인구 백만이 넘어가서요. 그리고 규모로 따지면 시드니와 멜버른은 토론토보다 크거나 비스한 규모이며 수년간 탑텐에 들었던 도시입니다.
sarnia 2019.06.24 10:54  
그렇네요.
인구 100 만에서 200 만 명 내외를 Top 10 에 단골로 등장하는 중형도시로 보고 글을 썼는데, 제가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던 호주의 두 대도시를 빼놓고 지나갔습니다.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지적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토론토를 대도시로 분류했으면 시드니와 맬버른도 당연히 대도시로 봐야 겠지요. 
그렇다면 인구 500 만 명급 이상 대도시가 세 개가 아닌 다섯 개가 Top 10 안에 들어가 있는 셈이네요.
물에깃든달 2019.06.24 12:59  
저는 그 후쿠시마 사고 후에도, 도쿄가 살기좋은 도시로 선정되었다는게 의아하네요; 방사능이 몇년사이로 없어지는 그런게 아닐텐데요... 대략 반감기 생각하면... 말잇못...
즐거워라~ 2019.06.24 14:34  
많은 분들이 우리나라가 방사능수치가 더 높다는 등 일본의 방사능 위험을 낮게 평가하시더군요. 뭐가 진실인지 우기고 따질만한 지식은 없지만, 그렇게 근거리에서 거대하게 사고가 터졌는데 벌써 멀쩡하다는게 그냥 믿기지 않아서 개인적으로 일본은 죽을 때까지 가지 않을 생각입니다만(거기 아니라도 여행할 곳은 많고도 많으니), 우리나라만 해도 매년 수백만명이 일본에 여행을 간다고 하는 걸 보면 사실 여하를 막론하고 그 부분은 고려들을 잘 안하나봅니다.
sarnia 2019.06.25 08:12  
제 말이 딱 그 말! 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저도 제 통념에 맞지 않는 의외의 결과를 보고 이 글을 올렸습니다. 저는 후쿠시마 사고보다 대도시라고 하는 보다 일반적인 demerit 에 주목했지만 말이죠.

평가항목에 어떤 metrics 를 적용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기때문에 EIU 순위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지금 제가 이의를 제기할 수도 반론할 수도 없습니다. 그저 그렇다니까 그런가보다 할 뿐 입니다.

다른 기관의 다른 조사결과를 비교해봤는데, 2015 년 Monocle's 조사에서는 도쿄가 아예 1 위를 차지했군요. 비엔나가 2 위를 했고, 멜버른, 시드니, 밴쿠버가 그 뒤에 쭈루루 줄 서 있고요. 후쿠시마 사고가 난지 4 년 후에 이루어진 이 조사대상에는 교토와 후쿠오카 등 모두 세 개의 일본도시들이 들어갔는데 후쿠오카가 12 위 교토가 14 위를 해서 세 도시 모두 상위권에 진입해 있네요.

지금은 그들이 무슨 근거로 이런 결과를 도출해냈는지에 대한 궁금함이 먼저 생깁니다. 제가 동의하느냐 여부는 그 다음 문제구요. 마찬가지로 제가 이런 순위조사가 의미가 있느냐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나중 일 입니다.
이런이름 2019.06.24 13:46  
살기 좋은/편한 도시 순위는 개인의 생활방식과 취향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문제이고 심지어는 유행을 타기까지 해서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 편입니다.

목록에 포함된 미국내 도시 중 4 곳에서 살아 봤고 언급되고 있는 북미의 도시 대부분을 방문해 봤던 경험과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이 목록은 잡지책에 지면을 채우는 용도 이상의 가치는 줄 수 없군요. 실제 용도도 그럴 걸로 생각합니다.

큰 의미가 없음에도 별별 것에 순위를 매기는 행태가 흔하긴 하지요. '순위'라고 하면 피식 웃으면서도 한번쯤은 봐주니까요. 맛집 순위라는 것처럼 말입니다.
두산 2019.06.25 12:41  
동감합니다.
그리고 우리랑 문화나 사고방식이 다른
그들만의 잣대로 평가한 것이기에 우리랑은 안맞는 부분이 많죠.
sarnia 2019.06.25 08:23  
그건 그렇죠. 순위조사가 의미가 있는지 여부는 제가 논할 수 없지만, ‘내가 살고 싶은 도시’와 이런 조사결과가 전혀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은 맞는 말씀입니다. 비엔나가 가장 살기 좋은 도시라고 해서 제가 그 도시에 가서 살고 싶은 마음은 하나도 없는 것처럼요. 심지어 가까이에 있는 Top 랭크도시 캘거리나 밴쿠버에 가서 사는 것도 내키지 않아요. 

캘거리에는 9 년 살아봤지만 지금 살고 있는 도시보다 나무도 적고 삭막해서 별로라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 살고 있는 에드먼튼은 순위조사대상도시가 아니지만, 만일 조사대상이었다면 30 위권 밖일 겁니다.

미국 Mercer 는 조사기준은 비슷한데 평가방법이 EUI 와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소득대비 집값 같은 것도 주요 factors 중 하나로 본 것 같구요. 미국도시 랭크는 reasonable 한데 (최고점 샌프란 23 위 최저점 디트로이트 72 위), 서울이 디트로이트보다 못한 77 위로 나오는 군요. 조사대상 231 개 도시들 중 77 위니까 상위 3 분의 1에서 약간 뒤로 밀린 정도이지만 어쨌든 서울이 디트로이트보다 저평가된 건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이런이름 2019.06.26 01:31  
별 의미가 없는 순위라고 생각하지만 서울의 낮은 순위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 분들이 계셔서 지극히 개인적이고도 짧은 생각을 적어봅니다.

낮은 순위에 대한 개인적인 답은 시장원리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소비층이 누구냐에 따라 진열하는 상품이 달라집니다. '애초에 누구를 위해 이런 순위를 만들었을까?'를 생각해 보면 서울의 순위가 왜 낮은지 이해가 되지 않을까요?

물론 여러 항목에서 나온 점수를 합산한 공정한 결과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항목들을 선정한 사람들은 누군가요? 경제지표상의 물가상승률과 시장에서 느끼는 물가 차이를 경험해 본 분들이라면 지표항목이라는 것의 허실에 대해 수긍하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일본은?' 하는 의문이 뒤따라 올 수도 있겠지요. 토큰(token)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