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nia 의 고딩시절에는......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sarnia 의 고딩시절에는......

sarnia 17 1157

어젯밤 태사랑에 올라있는 예전 글들을 쭉 읽어봤는데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이런 저런 주제들을 둘러싸고 토론이나 말다툼한 글들도 많았는데 그런 글들은 더 유익하고 재미있게 읽었답니다. ^^

 

어느 분이 담배를 끊은 경험이 있는 분 있으면 조언을 해 달다는 글을 올리신 걸 보고 마침 경험담을 써 놓은 것이 있어 잊어먹기 전에 올립니다.

 

--------------   

 

1978 년.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의 시대 배경이기도 한 이 해엔 나와 우리나라에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요?


( 아, 참. 여기서는 우리나라 이야기 중 일부는 생략 할랍니다. 대한민국방으로 이사가기 위해 보따리를 싸야 할 수도 있으니까요^^) 


우선 내가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해가 이 해군요
. (고 1 인데 좀 이른가요?) 이 나쁜 습관은 내가 담배를 끊은 2003 년까지 무려 25 년 간이나 지속되었습니다.

 

담배를 끊게 된 계기가 좀 색다릅니다. 그래서 다른 이야기 하기 전에 이 에피소드부터 잠깐 소개합니다. 

 

끊으려고 계획했던 것도 아니었습니다. 어느 날 뜯은 담뱃갑이 주머니에 들어 있는 걸 모른 채 다른 옷들과 함께 세탁기를 돌린 것 입니다.

 

엉망이 된 옷가지에서 담배 피스들을 일일이 제거하고 다시 라운드리를 마치는 데 세 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젖은 상태에서는 담배 피스들을 제거할 수 없어 우선 dryer에 넣고 한 시간쯤 돌려 완전히 말리기부터 해야 했습니다.

 

열이 머리 끝까지 뻗친 나는 카튼에 남은 담배 나머지 일곱 갑을 들고 나가 길거리에 있는 어느 홈리스(노숙자) 에게 주어 버렸습니다. 당시 담배 일곱 갑이면 70 불쯤 했을 겁니다. 여기 담배 비싸거든요.

 

그리고 결심했습니다. 다시는 내 돈으로 담배를 사지 않겠다고.

 

그 날부터 지금까지 7 년 이상 담배를 입에 대 본 적이 없습니다. 끊은 것 맞지요?

 

누구나 그런 건진 모르지만 나는 고딩 시절 추억이 가장 생생하고 즐겁습니다.

 

우리는 토요일 마다 담배연기 자욱한 학교 앞 튀김 집 골방에서 소주를 마셔가며 쩜 십 짜리 고스톱을 쳤습니다. 막판에는 언제나 ‘섯다’나 ‘짓고 땡’으로 돌렸지요.

 

한 번은 내가 주동이 되어 여러 명과 어울려 당시 주변이 허허벌판이었던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에 쳐들어가기도 했습니다.

 

혹시 그 해 봄에 말썽이 됐던 현대아파트 특혜분양사건에 항의하기 위해서 간 것 아니냐구요?

 

그건 아니고 거기 사는 탤런트 정윤희 씨를 보러 가기 위해서였지요.

 

몇 번 갔는데 경비 아저씨에게 쫓겨 난 다음부터는 가지 않았습니다.

 

대학가요제와 해변가요제에서 주옥 같은 가요들이 쏟아져 나온 해도 1978 년 입니다. (, 지금 배경음악으로 흐르고 있는 영 사운드의 ‘등불’은 이 해에 나온 노래는 아닌데, 이 시절에 내가 좋아했던 노래 중 하나입니다). 1978 년 이전에는 통기타 아니면 남진 나훈아 풍이나 트로트가 주류였습니다.

 

대통령님이 거의 모든 인기가수들과 작곡가들을 잡아들이고 그들의 노래를 방송금지 시키는 바람에 참 들을 노래가 없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당시 대통령님은 키가 작고 까무잡잡했는데, 늘 쓸쓸하고 우수에 젖은 눈빛을 하고 있던 분이었습니다.

 

비슷한 인상이 갑자기 잘 안 떠 오르는데……  , 영화 색계의 남자주인공이 그 분의 전체적인 인상과 비슷한 것 같군요. 만주국 정보기관의 리장군역으로 나온...... 양조위던가요?   


이 영화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두 주인공의 마지막 정사장면이 아니라, 스파이로 판명된 애인을 사살하는 서류에 서명을 할 때 그의 가라앉은 눈망울에 살짝 비친 이슬이랍니다 * 

1860C6264BB95E770165AD
   

어쨌든 그 때 그 대통령님이 가수들을 무대에서 쫓아낸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말이 많은 데 저는 그냥 이렇게 이해합니다.

 

예술적 소양이 뛰어난 분답게 자기가 손수 ‘새마을 노래’를 작사 작곡했는데 사람들이 자기가 만든 새마을 노래는 안 부르고 대중가요를 더 좋아하는 것에 몹시 서운하셨던 모양입니다.

 

저는 그 심정 이해한답니다^^

 

암튼 그래서 대학가요제와 해변가요제에서 좋은 노래들이 쏟아져 나오기 전까지는 주로 CM Song (commercial music)이 대중가요 역할을 대신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CM Song 타이틀 매치는 주로 정윤희를 모델로 내세운 해태와 서미경(후에 서승희로 개명)을 모델로 내세운 롯데의 각축이었습니다.     

 

그 중 가장 인상적이고 멜로디가 좋은 CM Song 가사 몇 개만 소개해 드립니다.

 

‘멕시코 치클처럼 부드럽게 말해요. 롯데껌 처럼 향기롭게 웃어요

쥬시 후레쉬-후레쉬 민트-스피아민트- 롯데껌

좋은 사람 만나면 나눠주고 싶어요. 껌이라면 역시 롯데껌”

 

아름다운 아-가씨. 어찌 그리 예쁜가요.

아가씨 그-윽한 그 향기는 뭔가요.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아카시아 껌”

 

하늘에서 별을 따다 하늘에서 달을 따다 두 손에 담아- 드려요오란씨

아름다운 날들이여 사랑스런 눈동자여 오오오오오란씨 오란씨 파인

 

꿈을 꿨어요 포니 포니 갖고 싶어요 포니 포니

아름다운 포니 포니 나의 사랑 포니 포니

현대 포-니 포니

 

가사들이 참 순박하고 직설적이지요?  

 

포니는……

 

현대자동차(지금의 현대차)가 단군이래 처음 제작했다는 대한민국산 자동차 이름입니다.


그 때 어리긴 했지만 제 기억이 맞다면 1976 년 이었을 겁니다. 
 

당시 시판가격이 한 200 만 원쯤.

 

당시 짜장면 한 그릇이 150 원이었고 요새는 4000 원쯤 하나요?

 

그렇다면 그 때는 제너시스 값을 내야 엑센트 (베르나?) 라도 몰고 다닐 수 있었나 보네……

 

 

 

 

 












 

       

17 Comments
이리듐 2010.04.05 11:51  

껌 광고송은 다 아는데.. 포니는 모르겠어요..
포니는 저도 타고 다니던... 차라 잘 알고요...
포니 픽업도 있었답니다..

포니전에는 브리샤가 있었는데.. 알고보니 브리샤는 기아자동차꺼네요..
당시엔 기아니 현대니 개념이 없던 어린때라서...

sarnia 2010.04.05 12:24  
포니광고송은 제가 중학교 다닐 때 나온 것 같아요. 1976 년.

알리와 이노끼가 권투+레슬링을 한다고 도꾜 경기장에서 생쑈를 하다가 관중들로부터 거센 야유를 받던 해 였죠. Monteal 올림픽에서 양정모 선수가 올림픽 사상 첫 금메달을 받은 것도 같은 해고.....(1936 년 손기정 선수는 일본국적으로서 금메달을 받았으니......)

브리사는 기아차 제미니는 새한자동차(지금의 GM 대우)에서 조립한 차로, 그리고 포니는 현대에서 직접 설계해서 만든 차로 알고 있는데 놀라운 사실은 포니는 몰라도 포니2 는 캐나다에서 아직까지도 굴러다닌다는 겁니다. 

저는 포니 택시는 타 봤어도 포니를 직접 몰아본 적은 없는데 한국에 있을 때 그 후속편인 포니 엑셀 (1986 년식)을 몰고 다닌 적은 있답니다^^
   
sinjiya 2010.04.05 15:51  
내용이 뭐가 뭔지....좀 애매모호...

글고 담배 고1이면 그때 당시에 그리 빠른건 아닌듯..

보통 좀 노는 남자들은 중학교때 배우고..빠른애들이 국민학교때 이겠지요..

고1 때면...담배는 벌써 마스터 했고...고1때 배우는 애들은 이제 막놀려는 애들이 주로..

노는 애들은 미팅과 나이트 한창 다닐때 인것 같은디...ㅠㅠ

그대 당시 이태원 나이트 올나이트...새벽마다 뱀쇼등등...양키 푸잉들 전라쇼....등등
sarnia 2010.04.05 22:04  
논문이 아니라 잡담이라그렇답니다^^.

뱀쇼에 푸잉쇼라.. 아마 학교마다 노는 문화가 천차만별이었던 것 같군요......
시골길 2010.04.05 20:58  
술은 '캡틴Q' 를 즐겨 마셨심다... 컬러풀 한 표지의 주간지들이 일세를 풍미하던 시절..1권사면 전교생이 통독했다는... ㅎㅎ  
sarnia 2010.04.05 21:57  
캡틴Q...... 그거 마시면 머리 아프고 그랬는데. 난 모범생^^이라 그랬는지 술은 잘 안 마셨던 것 같아요. 담배를 어떻게 끊었나 이야기하려고 한 건데. 54.gif
나마스테지 2010.04.05 22:53  
옛날... (제가 서른일 때)
새마을호에서
휴가나온 듯한 군인
선데이 서울
그 길다랗게 페이지가 쫙 펼쳐지는
그 페이지...
무아지경에서
서울역서 부산역까지
잠도 안자고
열탐하더구만요~
' 저눔아 뇌가 팽창해서 부산 도착하기 전에 터질까 상당 우려되었다는~~~'

담배피는 학생들 중 가~끔
공부 잘하는 학생
있었더랬지요~
그때 그 시절~~~~~~~
sarnia 2010.04.06 11:41  
아, 나마스테지 님.

소식들으셨어요? LHC  빅뱅 시뮬레이션 실험이 성공했다는군요.

댓글에 동영상이 올라가려나?

>>>>
유령 2010.04.06 23:10  
2008년 처음 준공 했을때, 본격 가동되면 지구와 우주에 엄청난 대재앙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이 많았던 LHC가 결국 가동되는군요..

설마 2012년 인류종말론의 주인공이 이 놈 (LHC)은 아니겠죠? ^^
sarnia 2010.04.07 12:11  

전에 과학과 종교문제에 대해서 나마스테지 님과 조금 이야기 한 적이 있는데 이 뉴스가 번쩍 눈에 들어와서 올린 거예요. 대한민국 방에 의견과 함께 올릴까 하다가 포기하고 그냥 TED 동영상만 올렸어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의견을 쓰려면 이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는데, 저 정말 아무것도 모르거든요. 제가 두뇌 용량이 메가바이트 수준이었다면 내가 빅뱅 이후 팽창하고 있는 우주에 살아봐서 잘 아는데하며 뭐라고 뭐라고 주절거렸겠지만 그럴 정도로 모자란 사람은 아닌가 봐요^^.

 

다만 이 실험이 위험관리 측면에서 제대로 결론이 나기 전에 지구상에 같이 존재하는 저개발국들의 동의를 얻지 않고 시작했다는 문제는 두고두고 윤리적 부담으로 남을 것 같아요. 비록 실험이 안전하게 성공하고 인류의 세계관을 뒤바꿀 지식과 철학의 혁명이 이 실험으로 인해 일어나더라도……

그리고 유령님 마침 잘 만났어요. 부탁이 있는데……

 

그 사진 어디서 다시 볼 수 있을까요?

 

그거 때문에 칸차나부리에서 하룻밤 지내려고 생각까지 하고 있거든요……

 




 

나마스테지 2010.04.07 01:47  
개인적으로 기쁜 소식입니당. ^^
sarnia 2010.04.06 12:16  
동영상을 위해 배경음악은 쫓아버렸습니다.

아래 subtittle을 클릭하시면 한국어 자막을 보실 수 있습니다.
초미녀 2010.04.07 01:28  


롯데껌, 아카시아껌, 오란씨 CM송의 가사를 읽으며
멜로디를 따라부르는 저를 발견... ㅋㅋㅋ
저 노래들이 70년대에 나왔었군요!
제가 어린이였던 80년대에 광고를 보며 멜로디를 익혔을테니,
저 광고음악들이 꽤나 장수했네요^^

sarnia 2010.04.07 12:14  

, 저는 잘 기억이 안나요^^. 80 년대까지도 이 광고들을 TV에서 했군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80 년대 저는 20 대였는데 무척 바쁘게 돌아다녔던 때라 TV 시청을 거의 안 했던 거 같아요. 당시 2 개사 3 개 채널 모두가 땡전독감이라는 희귀질환을 앓고 있었을 거에요. 아마 그런 저런 이유로 TV를 안 봐서 그런지 그 시대의 방송문화에 대해 기억에 남아 있는 게 별로 없는데 ㅎㅎㅎ

 
여행기 기다리고 있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태사랑 4 대 작가 님 중의 한 분이시라......^^

김우영 2010.04.07 15:35  

1978년... 크으...

삼청공원에서 가재잡던 기억밖에는...

sarnia 2010.04.07 15:40  
드디어 찾았네요. 올드보이.

상록고등학교가 아니라 재동초등학교 맞죠?
김우영 2010.04.08 01:57  

잉???

저.... 젊은데요 ㅡㅡ

재동초등학교 -> 중앙중학교는 맞습니다만...

태어나길.. 삼청동 ( 용수산자리)에서 태어나서요...

할아버지가 1.4후퇴때 삼청동으로 오셔서...

3대가 삼청동에서 살았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