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사랑 해외교포 회원님들만 보세요^^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태사랑 해외교포 회원님들만 보세요^^

sarnia 6 779

작년에 써서 몇 군데 올렸었는데 태사랑에도 외국거주자들께서 많으신 것 같아 올려봅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한국에서 기차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KR Pass를 소개합니다. 아마 알고 계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모르고 계신 분들도 있을 것 같아서…… 저도 이런 게 있다는 걸 작년 9 월에야, 그것도 아주 우연하게 알게 됐습니다.

 

KR Pass란 한국에서 외국인과 외국영주 교민들만 사용할 수 있는 기차표인데 (미국의 암트랙과 개념이 비슷한) 한국 국내에서는 구입할 수 없고 반드시 입국 5 일전까지 Korail Web 이나 해외 여행사 등을 통해 구입해야 합니다.

 

3 일권 5 일권 7 일권… 등이 있는데 이 기간 동안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를 무제한으로 타고 다닐 수 있구요, 가격은 3 일권이 7 5900 . 참고로 서울 부산 KTX 왕복요금은 일반실 기준으로 9 만 원이 넘습니다.  한번만 사용해도 본전 뽑고 남는다는 말이죠.

 

문제는 코레일 한글 사이트에 KR Pass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것입니다. (어디다가 보물찾기처럼 몰래 숨겨 놓았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못 찾았습니다.)

코레일 웹을 레이아웃한 피플들은 아마 외국인은
100 % 영어 사이트를 찾을 것 이라는 착각을 했던 모양입니다. 이 패스의 이용자격이 있는 수 백 만 해외교포들이 한국 기차표를 온라인으로 사면서 영어 사이트에 들어갈 것이라고 생각했거나, 아니면 해외교민들 따위는 안중에 없었거나 둘 중의 하나란 이야기겠죠.

국내인들이 이 패스를 부정사용하기라도 할까봐 쉬쉬 하느라고 그랬는지, 또는 한국철도 management 에는 모두 사대주의자들만 모여 있어서 그랬는지 아무튼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나도 코레일 한글 사이트에만 들락거릴 때는 몰랐었는데, 작년에 한국 가기 열흘 전쯤 한글이 깔려있지 않은 회사컴퓨터를 이용해 korail 을 쳤더니 KR Pass에 대한 정보가 가장 먼저 떠서 이런 정보를 알 수 있었습니다.

 http://www.korail.com/servlets/pr.pr16200/sw_pr16211_i1Svt

 

아무튼 캐나다 돈 약 70 불 정도를 내고 제가 이용한 루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날 서울-밀양 KTX 밀양-진영 무궁화호, 진영-밀양 무궁화호, 밀양-서울 KTX

 

둘째 날 용산-익산 KTX 익산-전주 무궁화호, 전주-익산 무궁화호, 익산-용산(장항선 경유) 새마을호

 

셋째 날 서울-부산 KTX 왕복 

 

주말이나 연휴에는 KTX를 제외한 기차에 입석 손님들이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가 놀란 것은 새마을호에도 입석손님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이게 번거롭다고 생각되면 특실을 타면 됩니다. 특실을 탈 경우 따로 낼 요금은 특실-일반실 잔액의 50 %. 아마 몇 천 원 정도 될 겁니다.

 

이용자격 조건은 이렇습니다. 반드시 외국 여권 소지자나 한국 PR 여권(영주권자용 거주여권) 소지자여야 하고 입국 5 일전까지 해외에서 결제한 뒤 받은 e-ticket을 가지고 전국 각 기차역에서 validation을 받으면 됩니다.

 

Validation을 받을 땐 반드시 예약할 때 번호를 입력한 여권과 예약할 때 사용한 신용카드를 역 직원에게 제시해야 합니다. 외국 국적 소유자라 하더라도 한국에 6 개월 이상 장기체류하고 있는 사람은 KR Pass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군요.

 

요건이 되는 태사랑 회원님들은 앞으로 한국 방문할 때마다 이 패스를 하나 씩 구입해 가시면 아주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차여행을 많이 하시는 분들은 말할 것도 없고, 딱 한 번만 부산에 다녀와도 본전을 뽑고도 남으니까요. 
 

추신: 제목을 해외거주에서 해외교포로 바꾼 이유는 유학생, 주재원 등 시민권-영주권자가 아닌 해외 장기체류자들이 이용자격이 있는지 확실하지가 않아서 입니다.  

15536D154AEB986A06B2A0
KTX특실은 좌석만 악간 넓다 뿐이지 안락함에서는 옛날 새마을호와 비교가 안되는군요. 그래서 텅텅 비어가는건가?  
6 Comments
참새하루 2010.02.26 14:10  
아 진작에 알았더라면 유용하게 사용할 정보였는데 아깝네요
전 2박 3일 렌트카로 부산 경주 동해안을 돌았는데
총비용이 기름값 포함 40만원이 넘더군요
다음번 우리나라 여행때 유용하게 사용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왕 정보 킹!!!
maui 2010.02.26 14:24  
6월에 놀러갈때 꼭 준비해야겠네요.

KTX 넘 타보구 싶어요.
시골길 2010.02.26 14:26  
영주권자 혹은 외국인(외국여권 소지자)에 한하는 프로그램이지요... ^^
일본의 JR패스 , 유럽의 유레일 패스와 같은 취지, 같은 사용자 제한이 있습지요..
전설속의날으는까칠한닭 2010.02.26 14:46  
태국은 이민이 없어서..


그람 귀화해야 하는디...

걍 아시아나 타고 다녀야겠네요~!



정보는 킹 왕 짱인데요...


땡큐 막 짜우~!
청년간호사 2010.02.27 01:29  

좋은 정보네요... 태국에 있는 친구들에게 알려줘야겠습니다

깜따이 2010.03.06 08:09  
내국인은 왜 안되는지? 찾아 봐야겠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