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트화 가치가 떨어지다보니...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바트화 가치가 떨어지다보니...

호루스 12 763
그냥 제 주관적인 오해일수도 있지만 전보다 사고팔고나누기 란에 바트를 팔겠다는 글이 좀 더 많이 올라오는 것 같네요.
 
또 예전에는 득달같이 사겠다는 댓글이 붙었는데 요즘은 어째 잠잠.(물론 전화로 통화해서 그런 것일수도)
 
바트가치가 떨어지면 여행자 입장에서는 즐겁겠지만, 반면으론 태국 물가가 6~12개월 정도 시차를 두고 오를 거라는, 그래서 태국인들의 삶이 힘들어 질거라는 예상도 가능하죠.
 
근데 과거 27원 얘기하는 분도 있는데, 제 경우는 30원 정도가 기억인데, 그간 바트가 많이 올랐죠.
 
그간 우리나라 돈만 똥값이 된걸까요, 아니면 바트 자체가 가치가 올랐던 걸까요?(달러 대비 강세)
 
바트 자체가 강세였다면 태국이 경제 발전을 착실히 한 것일테고, 우리나라 돈값이 똥값인 거라면 이건 다 누구 때문이겠죠.(정치 논쟁이 될까 저어하니 알아서들 상상하시길)
 
그런 자료를 찾아볼만한 곳이 있었으면 좋겠는데, 달러는 몰라도 바트는 우리나라에선 거의 아웃 오브 안중일테니...
12 Comments
뮤즈 2013.09.03 12:41  
우리나라 얘기하면 정치논쟁으로 번질수 있을거 같아서 그부분은 저도 패스를 하고...ㅎㅎㅎ
태국뿐만 아니고 환태평양아시아권은 전체적으로 환율이 다 떨어지는 추세라더라구요
특히 호주달러가 1000원이하로 떨어진거 보고 깜짝 놀랐네요.
유럽지역을 제외하면 여행좋아하는 분들께서는 지금이 아주 좋은 시기인듯해요
호루스 2013.09.03 20:42  
호주도 약세라니 의외네요.

거기도 경제 상황이 안좋은가보네요.
레디고 2013.09.03 13:57  
그런가봐요~인도에서 시작된 경제 위기가 인도네시아를 덮치더니 자꾸 퍼지는 것 같습니다.->그냥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저도 여름에 발리에 2주 정도 있었는데 하루가 다르게 달러화가 오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던 적이 있었어요..! 지금 발리 가시면 기존보다 환율 이익 많이 보실 듯해요..
호루스 2013.09.03 20:44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을 위험한 국가로 보고 있다고 언론에서 본듯합니다.

이러다 미국이 돈줄 꽉 죄면 제2의 동아시아 외환위기 올까 걱정스럽네요.

적절한 약세는 여행하는 입장에서 즐겁지만, 아예 망조가 들 정도가되면 어느 나라건 고통이 심할테니까요.
적도 2013.09.03 18:42  
통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가의 이자율, 인플레이션, 무역수지, 정치적안정, 통화량, 국제유가, 경제성장률 등등이랍니다.
  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4%목표에, 정책금리 2,75%로 한국과 비슷합니다. 물론 경제 성장률은 한국이 3%정도이지만요.
 제생각엔 태국의 무역적자가 올 1/4분기 약 80억불이고, 한국은 2/4분기까지 200억불의 무역흑자입니다.
 여행자입장에선 원화의 강세가 유리하므로, 그렇게 되길 바라지만 수출을 하는 사람 입장에선 원화강세는 독소이기도하고, 또 소비자 입장에선 수입가가 비싸져 불리하기도 합니다.
  태국 자체의 무역수지로 바트화 강세를 이끌기는 어려울듯하고요, 해외투자가 늘어나면 모를까 현재로서는 바트화가 당분간 떨어질듯합니다.
 여기엔 지난해 근로자임금의 급작스런 상승도 한몫하는것 같습니다.
 한화가 약세라고 무조건 나쁜 것만은 아니고 생각합니다. 또 강세라고 무조건 좋다라고도 생각 안하고요.
현재는 조금씩 강세쪽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것은 일본의 의도적인 엔화 팽창 정책 때문이기도합니다.
 환률예측은 주가예측 만큼이나 어렵습니다. 제가 전문가도 아니고요.

 그런데 이것만은 확실합니다!
  무역적자는 계속되지만, 성장률 괜찮고 그런데 통화가 강세가 계속된다면 외환보유고의 부족으로
헷지펀드의 먹이감이 되므로( 외환보유고 부족 상태로) IMF 같은 곳에 도움을 받게됩니다.
호루스 2013.09.03 20:40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본문중에 원화강세일 경우 수입가는 내려가는거 아닌가요?

수입가가 비싸진다는 건 좀 이상한데요?
날자보더™ 2013.09.03 21:12  
공감이에요.
지금 유가가 당최 내려가지 않고 있는데 아무리 반영유격이 있다고 해도 너무 요지부동이네요. 원화약세일때는 하루하루 오르던데 말이죠.
적도 2013.09.03 23:30  
유가는 시리아사태와 맞물린듯해요!
적도 2013.09.03 23:25  
다시 읽어보니 제가 잘못썼네요!!원화강세일땐 당연히 수입가가 내려가서 수입품의 묵가가 떨어집니다.
시골길 2013.09.03 19:37  
38.4원에 사서...쓰다가 남겨 온 3,800밧트가 잠자고 있습니디만... 현재 시세론 약 8,500~9,000원정도 손실이네요.. ㅡ,.ㅡ
호루스 2013.09.03 20:44  
손절을 할지 홀딩을 할지 선택의 기로에 서신듯...
은지님 2013.09.05 17:04  
지금 바트를 사야하는걸까요??ㅋ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