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읽어보셨나요?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로마인 이야기 읽어보셨나요?

Recca 11 276
제가 어렸을 때, 참 책을 안 읽었던 거 같아요. 지금도 잘 읽지 않지만......
초등학생 때 독후감 숙제나 위인전 읽고 본받고 싶은 사람에 대해 글 쓰라고 하면 참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아는게 없었으니깐요..
 
지금에서야 시오노 나나미 작가가 쓴 '로마인 이야기' 를 읽어 보고 있는데, 원래 역사 이야기를 좀 좋아하던 터라 재미있게 읽고 있네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포에니 전쟁', '한니발' 등 평소 들어봤거나 아예 처음 듣거나 한 이야기들이 많네요^^  
이거 다 읽고 나면, 유럽 쪽 여행 떠날 때도 뭔가 더 알차게 갔다올 수 있을 듯 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읽어보세요!
11 Comments
이열리 2013.10.22 18:06  
가수는 노래로
배우는 작품으로
작가는 출판으로...
책내고 반응 좋으면 좋지여...
글치만 책내고 말아먹은 작가도 많은데...
글타고 그런작가는 작가가 아니라눈것도 아니지만
책이 잘되면 후속에 더 정진해서 살아가야 되건만..
책에 힘입어 잡소리를 하는거 같아서...
애써 내논 책에 스스로 먹칠을 하는거 같아...
늦은 나이에 별꼴 다보는거 같아서 안타깝네요
motu 2013.10.22 18:47  
역사 소설을 좋아 하신다면,
중국의 김용소설과
프랑스의 베르베르 소설을 추천합니다.
두 작가는 자신이 만든 모든 소설이 엮여있습니다.
천재작가죠.
Robbine 2013.10.22 20:06  
베르베르는 프랑스에서 보다 한국에서 더 유명해서 한국을 되게 좋아한다고 들었어요. 우리나라 사람들 정서랑 베르베르 작품세계랑 통하는 면이 있나봐요.
루나tic 2013.10.23 14:00  
응 그렇다고 하더라~ㅋㅋㅋ첨엔 되게 신기해했다고 하던데..난 이분 단편은 몇권읽었는데..장편은..ㅋㅋㅋ 개미 사두고 안보고 있는.. 봐야 하는데...ㅎㅎ
Robbine 2013.10.22 20:08  
시오노 나나미..ㅋ 중학교 1학년 때 였나? 읽으려고 1권 빌렸다가 초반 어려운 이름들에 지쳐서 시험기간과 함께 멀어졌던 책이네요 ㅋㅋ 워낙에 유명한 책이라 한 번 읽어보려고 했는데 당시는 제가 한참 만화책이라는 신문물을 접할 때라서 ㅋㅋㅋ 아직도 못읽었네요 ㅋㅋ
누텔라 2013.10.22 22:05  
로마인 이야기는 역사책이 아닌 소설책이라는걸 감안하시고 보셔야해요.

역사적 사실과 동떨어진 내용이 하도 많아서....

역사왜곡 취미 가지는건 진짜 일본애들 종족 특성인가?
호루스 2013.10.22 22:27  
로마인 이야기 마지막 권을 빼고는 다 소장하고 틈 날때마다 읽고 또 읽고 합니다.

마지막 권을 사지 않은 이유는 로마의 멸망이 너무나 안타까워서 차마 읽지 못하기 때문일 정도로 로마인 이야기에 푹 빠졌지요.

좋은 책이긴 하지만 조심해서 읽어야 할 책이기도 합니다.

로마인 이야기라는 한계이긴 하지만, 그녀의 저술은 로마인을 중심으로 서술하여 마치 선과 악의 대립처럼 로마와 기타 제국을 해석하는 맹점이 있습니다.

무슨 중국의 중화사상을 보는 것 같기도 합니다.

또한 반기독교적/ 반여성적 서술의 시각이 보입니다.

그녀의 개인적 시각이 아닌 가치관을 로마 역사 해석에 녹여넣고 있지요.

마지막으로 반민주적 시각입니다.

현재가 아닌 그 시대의 시각으로 보아달라는 설명을 넣지만, 결국 로마 역사가 쇠퇴하게 된건 개나소나 다 로마인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카라칼라 황제의 로마 시민권 확대 정책) 대표적인 예일 것입니다.

그러면서 현재 대의민주주의의 투표율이 낮은 것을 교묘히 대비시키지요.

로마 역사를 쉽게 풀어쓴 것은 그녀의 공이지만 그녀의 이야기 재주에 감탄만 할 것이 아니라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대화라는 카의 말을 명심하면서 읽어야 할듯 합니다.
Recca 2013.10.23 09:42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역사'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도 주관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네요. 제 생각을 가지고 읽어봐야겠습니다!
참새하루 2013.10.23 13:52  
로마 멸망의 시작은 시민권 남발이지만
마지막 결정타는 기독교였다는 반기독교적인 시각을 보인 작가의 해석도
용감하더군요
포맨 2013.10.23 11:24  
주관은 개입될수밖에 없지만 되도록 관련정사(그것도 여러권읽어서 크로스체킹...사학계저자들도 주관이 있으니까요)균형잡힌 시각이 중요하겠지요.
잘 알고 계시네요.

나나미 할매는...로마사를 대중으로 끌여들인 공로자임과 동시에 로마사를 환타지로 만든 ...아수라작가십니다^^...물론 재미로 읽기엔 부족함 없지요. 저 역시 무지잼있었습니다.
 정사의 고루한 문체가 아니니까요^^
참새하루 2013.10.23 13:50  
시오노 나나미의 소설 로마인 이야기에 푹 빠져서 전질 들여놓고
그외 발표된 소설책도 다 소장하고 있습니다
재미없는 역사를 소설로 끌여들여 대중화한 공로는 인정해야 할것입니다
제가 젊었을때 이 소설을 접했더라면 아마 고고학이나 역사학자가 되었을지도
모를만큼 흥미진진하게 읽었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