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질녘 공동묘지에 가서 혼자 있어보니......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해질녘 공동묘지에 가서 혼자 있어보니......

sarnia 14 916

오늘은 집 근처에 있는 public cemetery 에 다녀왔습니다. 거기 아는 사람이 묻혀 있는 건 아니고 아주 가끔 해질 녘쯤 가서 어두워질 때까지 무덤들 한 가운데 있는 벤치에 앉아있다 오곤 합니다.   

   

1335110F4C25475C431E22

묘지가는 길. 가장 가까운 cemetry 는 집에서 5 분거리에 있답니다.

 

 

1418A8144C25427940B1C1

 

저는 공동묘지에 가면 왠지 마음이 차분하게 가라 앉습니다. 공원묘지라고도 부르지요. 요새는 밤 11 시가 넘어야 해가 지니까 공원묘지에서 어둠을 맞기는 쉽지 않은 계절 같습니다.

 

 

1153E3114C2542FD643C2C

 

서양이든 동양이든 일반적인 종교유산 중의 하나가 죽음과 대립되는 부정적인 개념으로만 천착시켰다는 점일 것 입니다. 죽음도 삶도 어둠도 빛도 모두 자연의 한 부분일 텐데요. 도대체 인간은 왜 죽음을 두려워하게 된 걸까요?

 

공간적 개념으로서의 천당이나 극락, 또는 어떤 사람의 육체적 부활이나 재림 같은 종교적 위안을 위한 도구들이 오히려, -다시말해- 거꾸로 죽음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부채질하고 죽음을 더 두렵게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아주 잘못된 방향으로 말이지요.   

 

122A8F1C4C25448B55D4EA

 

지난 겨울에 읽은 도마복음에서 얻은 교훈이 있다면 제가 그동안 기독교를 참 잘못 알아 왔다는 깨달음이었습니다. 4 복음서가 작가의 주관적인 해석이 담긴 드라마의 시나리오라면 도마복음은 그 시나리오를 받치고 있는 진짜 귀중한 더큐 자료가 아닐까 합니다. 예수라는 사람의 어록이니까요. 근데 이런 걸 다 아는 기독교 안의 먹물들은 왜 입을 꾹 다물고 있는 걸까요? 왜??

 

묘지 이야기하다가 왜 또 산으로 가는거지? 그만 하지요. (참, 도마복음이라는 말이 생소한 분들도 계실텐데...... 1945 년 이집트의 나그함마디라는 곳에서 발견된 초기 기독교와 관련된 문서랍니다.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문서인데...... 많은 기독교 교회들에게는 매우 위협적인 문서이기도 한 모양입니다. 전 뭐, 무식해서 자세한 건 모르지만......) 

 

13648D1B4C2544D0541B82

 

캐나다의 공원묘지는 변두리에 멀찌감치 처박혀 있지 않습니다. 주택가 한 가운데, 심지어 번화가 바로 옆에 조성돼 있습니다. 소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밤낮 비석을 마주봐야 하는 주택들도 많습니다. 그래도 그 집들이 다른 집들에 비해 집값이 싸다는 소리는 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싸기는커녕 앞이 푸른 초장으로 탁 트여있어 더 비쌀지도 모릅니다.     

 

근데 오렌지색 셔츠에 까만 팬츠를 입고 조깅을 하고 있는 저 여자는 갑자기 어디서 나타난 걸까요. 깜짝 놀라 차를 세우고 사진을 찍었습니다.

 

 

183BA8204C25487732663F

 

묘지 입구인데...... 젠장 제 차가 찍혔네요. 구름이 너무 이뻐서 한 번 각도를 잡아봤는데 사진 나온 걸 보니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풍경도 좋고 날씨도 좋고 사진사 실력도 출중한데 카메라가 후지구나......

 

제 카메라 후지 맞네요.파인픽스 뭔가하는 200 불 짜리 (300 불이었나?)

 

1329BF224C217532241CC5

 

이번에는 밴쿠버 묘지에 가 볼까요? 토요일이었는데 공항이 한적합니다. 에드먼튼 국제공항은 언제나 주말보다는 주중이 더 붐비는 것 같습니다. 밴쿠버로 고고씽~~

  

 

204B161A4C244CC31C61C9 

 

역시 밴쿠버는 사는 사람도 죽은 사람도 중국계가 압도적이군요.  

 

 

1821151B4C244D2321C0A4

 

Tony 27 세에 죽었네요. 병사했는지 아니면 사고로 죽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비석에 새겨진 문구가 인상적이라 오랫동안 서 있었습니다.

 

두 개의 하트 안에 들어있는  아빠’ ‘엄마라는 글자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습니다. 

 

‘토니야 너를 엄마 아빠 가슴속에 묻을께라는 문구는 먼저 간 자식에 대한 마음을 나타내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1552BF1E4C244D9E22D58D

 

이 중국사람은 무슨 사연으로 마흔 셋에 홀연히 떠난 걸까요? 좀 더 있다가 가도 되는데......

 

 

1630481E4C252B41149964

 

 

157A49024C256680B92DC3

 

19438B054C256603709A0A

 

Canadian goose 는 사람을 무서워 하지 않습니다.

 

 

1217BC1C4C2177DC2A0AF0

 

원래 스타벅스 커피 안 마시는데 밴쿠버 숙소 부근에는 스타벅스 뿐이군요. 그렇다고 커피 사러 다시 차 몰고 몇 킬로미터를 나갈 수도 없고……

 

스타벅스 커피는 정말 제 취향 아닌 거 같아요. 

 

암튼 여러분도 시간 나시면 해질녘쯤 공동묘지에 가서 명상에 잠겨보세요. 기분이 아주 좋아진답니다. 나만 그런지 모르지만...... (내일 아침 축구보려면 일찍 자야겠죠.) 

 

14 Comments
핫산왕자 2010.06.26 13:01  

ㅋㅋㅋ요상한 취미를 가지셨네용~29.gif


낮도 아닌 해질녘에 인적 없는 공동묘지 한가운데 벤치에 앉아 명상에 잠기다...??

태국도 묘지 만들고 비석 세우는 사람들은 중국계가 압도적이지요.

검색해보니 캐나다에 13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중 알버타주에 5개가 있다지요

S님~ 오렌지색 여자...혹 구신 아닐까... 5.gif

sarnia 2010.06.26 13:57  

ㅎㅎ 여기 사는 저도 잘 몰랐던 사실을 핫산왕자님께서 더 잘 알고 계시네요. 캐나다에 있는 유네스코 문화 유산하면 떠 오르는 것이 퀘벡 시의 old city 정도고요. 알버타 주는 밴프국립공원 등 7 개의 록키 국립공원을 묶어서 하나, 그리고 공룡서식지였던 알버타 남동부 정도로 알고 있는데 나머지는 잘 모르겠어요. 나중에 찾아보지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다음 주쯤에 휴가를 며칠 내고 산에 다녀올까 합니다. 평원에는 유채꽃이 만발할 때가 됐는데 평원에서 볼 수 있는 광경, 즉 새까만 먹구름과 한쪽의 푸른 하늘, 그리고 끝없이 펼쳐진 샛노란 유채밭은…… 그냥 감동 그 자체지요. 태사랑에서 활동하시는 전문 사진작가들이 한 번 오셔서 찍어가셨으면 좋겠는데……    

제가 이상한 경험을 한 적이 한 번 있는데 치앙마이 도이수텝 계단을 찍었을 때 사진찍을 당시에는 보이지 않았던 고산족 남매가 사진에 나왔던 적이 있습니다. 정말 놀랬지요. 저 오렌지색인지 오륀지색인지 셔츠 입고 있는 여자도 같은 과 아닐까여~ 모르겠어요. 

참 몇 달 전 만우절 날 올렸던 아랑 귀신 이야기, 그건 100 % 구라였구요 (밀양 아랑각에 가긴 갔었습니다) 근데 그 때 어떤 분이 제게 알려주신 칸차나부리 여자 귀신, 그 실화같은 이야기를 이번에 태국가서 꼭 알아보고 싶습니다. 20.gif
   
구엔 2010.06.26 14:28  
저는 Tim Horton보다는 Starbucks가 좋습니다. 커피를 강배전 계열로 배워놔서 그런가 봅니다. 팀 호튼은 몇 번 마셔봤지만, 제 취향은 아니더라고요. 오히려 동네에 있는 자가배전 커피집이 더 맛나기는 합니다만, 그거 마시러 차 몰고 나갈 정도의 커피광은 못되네요. 글 잘 봤습니다.
sarnia 2010.06.26 14:42  
어, 미국 사시는 줄 알았는데 Tim Horton 을 아시네요.

저도 커피광은 아니고 얼마전까지만 해도 내 돈 내고 일부러 사 마신 적도 별로 없는 것 같은데 요새는 그냥 매일 한 잔 정도씩은 마시게 되네요.

팀은...... 지금은 안 좋아하고 맥도널드 커피가 제 입맛에는 맞는 것 같습니다. 특히 아침에 big breakfast 와 함께라면 금상첨화......
구엔 2010.06.27 01:53  
Tim Hortons 널렸습니다. 아침 메뉴 소시지 샌드위치인가를 커피 포함해서 $1.99엔가 파는 프로모션을 했었지요. 저는 요새 맥도날드가 any soft drink any size $1을 하길래, unsweetened ice tea에 빠져들었습니다. 신기하게도 가루가 아니고, 차를 내려서 아이스티를 만들어 주네요. 고마울 따름이지요.
sarnia 2010.06.27 02:21  

그렇군요. 예전엔 미국에서 팀 못 봤습니다. 아마 Major share holder 인 Wendy's 가 퍼트린 모양이네요 ㅎㅎ. 저도 어제 맥도널드 아이스커피가 99 센트하는 광고를 보았습니다. 팀 이이스캡이 2 불이 넘는걸 생각하면 파격적인 가격이지요. 저는 팀에서 아침식사는 안 합니다. 팀에서 breakfast 용으로 쓰는 home style biscuit 은 버터를 발라먹을 땐 좋은데 breakfast 용으로는 별로인 것 같아서요. 해쉬브라운도 무슨 과자같고...... 커피포함해서 4 불 넘는데 차라리 2 불 더 주고 A&W 에서 old style 로 해 주는 아침식사가 훨 나은 것 같아요.   

구엔 2010.06.27 03:32  
아, Wendy's옆에 Tim Hortons가 있는 이유를 이제야 알았습니다. sarnia님 덕분에 많은걸 알게 되네요. 저는 A&W의 99전짜리 corn dog을 아주 좋아합니다. 싸구려 제 입맛에는 딱이거든요.
7월 중순의 Banff는 어떨까요? 가게되면, 에드먼턴까지 함 달려보고 싶단 생각이 문득 문득 드네요.
sarnia 2010.06.27 04:01  

개인적으로 9 월의 록키를 좋아합니다. 청명한 하늘과 빙하 에메랄드빛 호수의 완벽한 조화는 아무래도 9 월과 10 월이 제격이지요. 6 월 초 까지는 산상호수가 완전히 녹지 않고 7~8 월은 수증기 증발량이 많은데다 산불이 나는 곳도 많아 청명하지 않은 날이 많은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여행객들로 너무 어수선하기도 하구요.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그 계절에는 밴프나 재스퍼에서 박당 200 불 이하 짜리 숙소를 구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닐 겁니다. 레이크루이즈나 모레인레이크 같은 곳에서는 빈자리 찾으러 주차장을 뺑뺑이 돌며 시간낭비할 수도 있구요. 그래서 저는 반드시 그 시기에 와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9 월 말이나 10 월 초를 추천한답니다. 다만 이 시기에는 다소 추운 날씨와 예기치 않은 눈이나 빙판길 같은 리스크가 존재하긴 하지요. 동부에서 자동차로 오시려면 넉넉잡고 2 주 여정은 잡아야겠지요. 혹시 RV 를 가지고 계시면 한 번쯤은 해 볼만한 도전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거꾸로 캘거리-토론토-사니아를 주파한 적이 있지요. 1 년 근무하고 다시 알버타 주로 돌아갈 때는 자동차를 기차편으로 먼저 보내고 우리는 비행기로 돌아왔습니다.

 

그 다음으로 긴 자동차 여행은……밴쿠버를 출발해서 시애틀로 들어간 후 5 번 주간고속도로를 타고 포틀랜드와 세크라멘토를 거쳐 샌프란시스코를 왕복한 여정일 겁니다. 골든케이트를 지나 서해안을 끼고 태평양을 좌측으로 바라보며 올라가는 해변도로도 압권이지요. 너무 피곤해서 다시 동진…… 그냥 주간고속도로타고 돌아왔습니다. 혼자 하려니까 힘들더군요. 장거리 자동차여행이란 시간과 체력이 동시에 받쳐주지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이 많은 것 같아요. 록키에 오시면 연락 주세요.    

 

      

Charlie 2010.06.26 16:46  
묘지에 가게되면 삶과 죽음을 생각하게되는 이유로 머릿속이 순식간에 철학적으로
변화하는게 아닐까요? 물론 감성적으로 변할수도 있지만..

어느종교인이든 죽음에대한 두려움은 동일한듯합니다.
다만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새로운 출발의 시작점이라 생각하는 차이는 있지 않을까합니다.
sarnia 2010.06.27 01:16  

진지한 답글 감사합니다. 실은 이 포스팅은 글 보다는 사진을 올리고 싶어서 달았습니다. 요새 포샵에 재미가 들려서요. (그렇다고 성형수술한 사진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저 가볍게 보톡스만 살짝......)<?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그렇겠지요. 작은 변화도 설렘과 두려움을 동반하는데 죽음이야 더 말해 무엇 하겠습니까?

 

서양이 우리와는 죽음을 대하는 문화가 많이 다르기는 합니다. 감정이 매우 절제돼 있다는 느낌을 주는데, 정이 우리보다 모자라서라기보다는 삶과 죽음을 지극히 당연한 자연의 한 부분으로 수용하는 정서가 좀 더 강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저는 처음에 서구사회의 근간인 기독교라는 종교에서 말하는 부활 같은 믿음이 죽음을 비교적 담담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이유인가 생각했다가 전혀 그게 아니라는 걸 알았지요.

 

캐나다의 주류 교회는 신도들은 고사하고 clergy 들 조차 부활이니 천국이니 기적이니 하는 개념들을 실제 일어났거나 일어날 사건으로 믿지 않습니다.            

 

어느 통계를 보니까 캐나다인의 80 % 가 기독교인(개신교+가톨릭) 이라고 나와 있는데 이건 아주 잘못된 통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혼식과 장례식을 위해 집전기관인 교회에 등록한 사람 (수 십 년 전에 부모가 대신 등록해 준 경우나 자기의지와는 관계없이 유아세례를 받은 경우를 모두 포함해서) 의 비율이 그 정도라면 모를까 실제로는 교회든 절이든 모스크든 종교시설에 정기적으로 종교예식을 위해 출석하고 있는 인구는 극소수일 겁니다. 저만해도 와이프가 캐나다 United Church 의 공식 clergy (minister) 임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일년에 딱 두 번 갑니다. 부활절 과 추수감사절 때 칠면조 요리 먹으러요.

 

이제는 삶과 죽음의 문제를 기성종교(어느 종교를 막론하고)의 전통적 교의가 만들어 놓은 내세, 천당, 부활, 재림 등등의 말로 더 이상 설명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부적합한 개념으로는 더 이상 설명이 안 되니까요. 위안을 받는 건 받는 거고 설득이 안 되는 건 또 다른 문제인 것 같습니다.         

 

1:2 ……졌군요. -_- 나이지리아 할머니 슈팅 사건으로 심장마비 걸릴 뻔 한 이후에는 축구 안 보고 자주 스코어만 체크하는데 지금부터 동영상 들어가 한 번 볼까요??  

포맨 2010.06.27 17:37  
군시절 새벽에도 따땃하고 허리안 백이는  묘 봉분 사이에서 잠도
잘 자시던 분들이 왜들이러십니까...
(주특기: 묘 밑으로 비트파기...18.gif)
sarnia 2010.06.27 23:50  

포맨님은 공수나 해병 아니면 특공여단 (또는 특공연대) 출신인가봐여~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아니면 요즘 일반부대에서도 담력훈련 하나요? 56.gif54.gif

포맨 2010.06.28 15:46  

여기서 잘난척하면 매장인걸 깜빡했습니다.
다들 하시는줄 알았습니다,.49.gif

sarnia 2010.06.29 03:02  

too sad. i cannot read/write in korean again with my office com. 

but i guess your cat was crying for some reason mr. fm
 
make her or him happy please...... like this  51.gif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