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의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글이지만...... 가을여행 이야기 (12)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약간의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글이지만...... 가을여행 이야기 (12)

sarnia 21 981

 

유튜브는 펌

------------------------------------------------

 

17356C024CE857D11AD79C

 

처음에 제목을 이렇게 정했었다.

 

'외설적이지만 착한 식당 외서댁 꼬막나라'

 

꼬막 식당 이야기가 맨 뒤에 등장하긴 하지만, 이 글에 이런 제목을 다는 건 사기성 호객행위라고 생각했다. 미련없이 그 제목을 지워버렸다. 그리고 아무 제목도 정하지 않았다.

 

이 포스팅 대한민국방에 올릴까 하다가 마음을 바꾸었다. 정치 이야기도 아니고 사회 이야기도 아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방에 입장하기에는 자격 미달이다. 그렇다고 역사이야기라고 하기에도 함량미달이다. 그냥 여행기라고 해두자. 

 

기밀자료도 30년이 지나면 보안이 해제된다. 30 년이 지난 후부터는 기밀자료가 아닌 역사 사료로 취급하는 게 관례다.소설 태백산맥의 시대배경은 한국전쟁 전후다. 한국전쟁은 끝난 지 57 년이 경과했다. 따라서 한국전쟁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때 어떤 입장을 지지하더라도 주저하거나 겁먹을 필요가 없다.

 

한국전쟁은 어디서 일어난 전쟁이었을까? 두말할 것도 없이 한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이었다. 근데 싸움의 주체가 좀 애매하다. 이 전쟁은 처음엔 남한과 북한간의 전쟁인 것처럼 보였다. 약 보름이 지난 후엔 북한과 미국간의 전쟁이 됐다. 1950 7 10 일 대전협정으로 작전권이 미군사령관에게 넘어갔기 때문이다. 전쟁 발발 5 개월 후에는 중국과 미국간의 전쟁으로 또 전쟁주체가 바뀌었다.

 

1953 7 27 일 조인된 정전협정의 주체는 유엔군을 주도한 미합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이다. 대한민국은 형식상 (technically) 이 협정의 주체가 아니다. 기분 나빠도 할 수 없다. Technically 그렇다는 것이지 실제로는 전쟁주체로 인정해 주니까 크게 기분 나쁠 건 없다. 정전협정과정에서 대한민국이 왕따를 당한 책임은 전적으로 이승만에게 있다. 그는 개뿔도 가진 것 없는 주제에 끝까지 북진통일을 주장했다. 이 때문에 미국정부는 이승만의 대통령직 축출을 고려하기도 했다.

 

누가 먼저 시작한 전쟁이냐에 대해서는 이런 저런 말들이 많다. 군사적 선제공격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현재로선 북한이 먼저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다는 증거가 압도적이다. 보급물자 조달이 어려운 춘궁기를 전쟁시작시점으로 잡았다는 것과 지상군 전력의 주력이 전차부대인 나라가 장마철을 전쟁시기로 선택했다는 것이 약간 이상하기는 하지만 암튼 드러난 증거가 그렇다니 그런가 보다 하는 것이다.

 

허나 전쟁의 윤리적 책임추궁을 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누가 먼저 주먹을 휘둘렀느냐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어느 쪽이 무고한 민간인을 더 많이 학살했느냐 하는 문제다. 전자를 묻는다면 북한이 할 말이 별로 없다. 그러나 후자를 묻는다면 한국과 미국의 처지가 딱해진다. 특히 미국은 쥐구멍이 열 개라도 모자라다. 단 이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하자. 더 이상하면 이 포스팅은 그냥암꺼나방에서 살아남지 못하기 때문이다.

 

각설하고……소설은 1948 년 겨울 여순항명사건 직후로부터 시작한다. 여순항명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배경 이야기가 필요하다. , 여순이란 안중근 열사가 수감됐던 감옥이 있는 중국 여순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순천의 줄임말이다.

 

아시다시피 1948 5 10 일 남한만의 단독총선거가 실시되고 그 해 8 15 일 이승만을 국가수반으로 한 남한만의 단독정부가 출범했다. 분단이 완전히 고착화 된 것이다.

 

근데……제주도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2 개 선거구에서 5.10 총선거가 무산되고 대규모 인민항쟁이 발생한 것이다. 남한만의 단독친미정권을 수립하려던 미군정의 계획은 큰 위기에 봉착했고 곧 초대 대통령에 오르려던 이승만의 야망역시 무산될 위험에 처했다. 

 

제주도에는 인텔리들이 많았다. 일본과 가까운 지리적 여건 때문에 일본 유학파도 많았고 특히 이차대전 종전 후 일본에서 노동운동 경험이 있는 좌경성향의 활동가들이 많이 들어와 있었다. 이들의 영향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전국에서 총선거 보이코트가 성공한 지역은 제주도 한 곳뿐 이었다. 미군정과 이승만은 이걸 용납할 수 없었다. 섬 주민들과 경찰병력간의 첫 대규모 충돌은 총선 한 달쯤 전인 1948 4 3 일 발생했. 이 날 밤 격노한 시위군중과 야산대에 의해 제주도내 12 개 경찰지서가 불 태워지거나 크게 파손됐다.   

 

제주도에 있는 경찰병력만으로는 진압이 불가능하자 미군정은 서북청년단을 투입했다. 서북청년단은 북한에서 월남한 청년들의 조직이었다. 그 상층부는 극우 백색테러조직이고 그 하층부는 건달 과 깡패들이 모인 껄렁패 집단이었다. 이들은 경찰과 합세해 섬주민들을 무자비하게 도륙했다. 섬 주민들도 앉아서 당하지 않았다. 그들 역시 자경단과 무장유격대를 조직해 이들에게 대항했다.

 

그 해 여름 내내 이 섬에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잔혹한 방법으로 살해된 시체들이 썩는 냄새와 피비린내가 진동했다. 급기야 미군 공군전력이 동원됐다. 미군 전투기들은 마을 상공을 날아다니면서 무차별 공중사격을 퍼 부어댔다. 미군폭격기들이 마을 전체를 잿더미로 만들어버리기도 했다.

 

그 해 여름 제주도에서는 섬 주민의 3 분의 1 에 해당하는 8 만 여명의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다. 4.3 자료는 부지기수로 널려 있으니까 그 피해상황을 알고 싶으시면 직접 조회해 보시면 된다.

 

예기치 않은 섬 주민들의 거센 저항에 당황한 미군정과 그 해 8 월 출범한 이승만 정부는 제주도에 지상군 투입을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제 14 연대에 제주도 출병명령을 하달했다.

 

그런데…… 이 부대의 장교와 하사관 그리고 사병들이 이승만 정부의 제주도 출병명령을 거부했다. 출병명령만 거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반란을 일으켜 여수와 순천을 장악하고 인민해방구를 선언했다. 여수 순천과 인근 보성 광양 고흥 등에 그 지역 지식인들과 학생, 좌익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즉시 인민위원회가 조직됐다. 인민위원회는 친일경찰과 관료, 악덕지주들을 색출해 처단했다. 혼비백산한 미군과 이승만 정권은 이 지역일대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해 일주일 만에 사태를 평정했다.

 

좌익 조직과 반란군이 산으로 퇴각하자 계엄군과 경찰 우익폭력단체는 좌익 잔류자들과 그 동조자들을 사냥하기 위해 집집마다 이잡듯 뒤지고 다니기 시작했다. 체포된 수 백 명이 재판과정도 제대로 거치지 않고 즉결처형 됐다. 이 지역의 좌익활동가들과 지식인 학생 들 상당수가 무기를 든 채 계엄군과 경찰 그리고 반공청년단을 피해 부근 야산으로 피신했다. 그들은 이 곳에서 야산대 즉 게릴라 활동을 시작했다.

 

 

바로 이 시점. 1948 년 여순사건 진압 직후 퇴각한 보성-벌교 지구 좌익 활동가들의 이야기가 태백산맥의 출발점이다. 

 

소설 태백산맥은 바로 여기서부터 그 기나긴 이야기를 시작한다     

 

휴, 드디어 이 소설의 출발점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설명 끝났다.

 

12626C304CE868586F5B86

 

 

제 1 권의 제목은 '한(恨)의 모닥불'

 

ㅎㅎ 제목부터가 역시 문학적이다. 전혀 센세이셔널하지 않다는 말이다. sarnia 같은 사람은 아마 제목만 보고도 졸음이 올만큼 지루한 제목이다. 역시 소설가는 거짓말을 잘 못 하는 것 같다. 내가 보기에 소설가들은 제목을 잘 뽑는 전문가들은 아니다.

 

삼천포 시민들에겐 또 미안하지만 잠깐 삼천포로...... 

 

제목에 관한 에피소드 하나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다.

 

아주아주 오래 전에 한국에 살 때, 어디선가 소설책 두 권을 공짜로 얻어온 적이 있다. 하나는 '고등어'라는 제목이었고, 또 하나는 '감색 운동화 한 켤레' 라는 제목이었다. sarnia 는 이런 제목에 전혀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지라 오래도록 이 책들을 한 구석에 오랫동안 처박아두고 읽지 않았다. 그런데 나중에 이 두 소설 모두 두 번 이상 읽었을 것이다. 직품성이니 구성이니 완성도니, 그런 건 잘 모르겠고 그냥 재미있었으니까 두 번 이상 읽었을 것이다. 비슷한 시대 비슷한 생각을 공유한 비슷한 또래들의 이야기 였으니까. 고등어 겉표지를 넘기면 승용차 운전석에 요염하고 시니컬한 표정으로 앉아있는 작가 공지영 씨의 사진이 나오는데 고등어를 다 읽고 나서야 그 사진의 의미를 눈치챘다. 아마 이분은 운동권에 몸담았던 시절 칼같은 선배들로부터 이런 소리를 많이들었던 것 같다.

 

"운동이 니 장식품이냐?'

 

여기에 대해 공지영 씨는 소설가로 성공한 뒤 이런 식의 대답을 '보란듯이' 하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 그러는 당신들 한테는 운동이 뭐 였는데, 교조적 원칙주의자들. 잘 났어 정말~" 

 

아님 말고.

 

자자, 다시 태백산맥으로 돌아와서......    

 

지금 sarnia 의 수중에는 그 소설이 없다. 십 수년 전에 읽은 열 권 짜리 대하소설을 기억만에 의존해서 평론을 하는 건 무리다. 따라서 이 소설 평론은 하지 않겠다. 다만 이 소설이 담고 있는 비극적인 역사의 현장인 벌교 땅을 밟아본 감회를 생각나는대로 이야기하고 싶었다는 것 정도로 이해해 주었으면 좋겠다.

 

133560024CE8583217FEE0

sarnia 는 경전선 기차를 처음 타 봤다. 광주-송정에서 별교까지...... 철로변으로 펼쳐지는 풍경이 아기자기하고 예쁘다. 굴곡이 많아 기차가 천천히 달린다.   

 

원래는 부전(부산)까지 가려고 하다가 한 순간에 마음을 바꾸었다. 태백산맥 귀신이라도 씌웠던 걸까? 만우절이라면 귀신이 불러서 갔다고 해도 무방할텐데.

 

아고, 그러고보니까 밀양 영남루를 까먹고 안 갔네. 아랑 누님 미안해요. 바람맞혀서......

 

145C35054CE8588B1605D7

이 동네는 모텔도 진보적이고......

 

165B68054CE859341E8B27

미용실도 진보적이다.

 

이 진보적(?) 인 동네 아이들은 62 년 전 이렇게 외치고 다녔을까?

 

"인민유격대 화이팅"

 

 

 

196DBA1E4CE8AAB32B1BE7

1553422E4CE86796454934

 

이런 말을 읽은 기억이 난다. 순천에서 인물 자랑하지말고 별교에서 주먹 자랑하지 말라고......

 

그래서 그런지 대한민국 형님들 중에는 벌교 출신이 많단다.

 

137E87244CE873A565AFB9

대한불교천태종 제석산 흥교사

 

sarnia 의 종교배경은 기독교다. 그런데도 교회보다는 절에 들어설 때 마음이 편해진다.

 

언제부턴가 일요일에 교회에 가느니 차라리 팀홀튼이나 스타벅스에 가서 커피마시면서 음악 듣고 책 읽는 게 정신건강과 인격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게 됐다. sarnia 는 유신론 무신론 이런 것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인격신의 존재란 어차피 sarnia 의 머리로는 이해가 불가능한 영역이다. 좀 쉽게 말하면 말도 안된다는 이야기지. sarnia 의 관심은 하나님 등등 초월적 신이 있느냐 없느냐 이런 게 아니라 자아의 본질과 기원에 관한 것이다.

 

혹시 무당 소화 누님은 뭔가를 알고 있지 않았을까. sarnia 는 염상진 아저씨나 김범우 아저씨같은 인물보다는 소화 누님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뭔가 더 알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 자꾸 떠 올라서......

 

1154882E4CE867FB3654BA 

172B35274CE87735436A9D

 

부용교는 소화다리라고도 부른다. sarnia 는 지금까지 소화다리를 소설속의 인물 소화 (무당의 딸 빨치산 정하섭의 애인) 와 관련이 있는 줄 알았다. 근데 그 소화가 아니라 일왕 소화에서 따온 이름이었다.

 

여순 사건 당시 인민재판에서 사형이 선고된 친일경찰, 관료, 우익단체 회원들이 이 다리에서 살해돼 다리 아래 개천으로 버려졌다. 계엄군이 진주한 후에는 그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이 많은 수의 좌익활동가, 학생, 그리고 무고한 민간인들이 잔혹하게 살해돼 역시 이 다리 아래로 떨어졌다. 이 작은 개천은 시체로 뒤덮히고 강물은 피빛으로 변했다.

 

바로 여기가 밤이면 경찰과 우익청년단의 눈을 피해 남편과 자식의 시체를 수습하려 몰려든 아낙네들의 숨죽인 통곡소리로 가득했던 그 비극의 현장이다.

 

164E26324CE8667F42F8CE

 

남도여관이다. sarnia 의 기억으로는 서북청년단 출신 경찰간부 임만수가 이끄는 토벌대 지휘본부가 숙식을 하던 곳이다. 나중에 들어온 올곧은 성격의 계엄군 지휘관 심재모로부터 불벼락을 맞고 모두 여관에서 쫓겨난다. '지금이 어느땐데 경찰 토벌대가 여관잠을 자고 여관밥을 먹느냐' 는 이야기였지. 맞죠?      

 

 

125B02054CE858E421D5B7

염상진이 이끄는 유격대와 벌교의 경찰병력이 격렬한 총격전을 벌이며 일진일퇴를 거듭하던 본정통 거리다. 염상진의 동생 염상구는 동네건달이다. 어려서부터 똑똑하고 공부 잘했던 형 염상진에 대한 열등감과 증오심이 동생 염상구로 하여금 정 반대의 길을 걷게 만든 것일까? 그는 청년단 감찰부장이 되어 벌교의 좌익 가족들을 괴롭히고, 형 염상진과 총구를 맞 겨눈다.    

 

염상진 염상구의 비극은 소설 속 이야기만이 아닌 엄연한 현실 이야기 이기도 하다. 현대사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손정도 선생을 기억할 것이다. 손정도 선생은 창덕학교 설립자 강돈욱과 조선국민회를 결성했던 김형직과의 인연으로 강돈욱의 외손자이자 김형직의 아들인 소년 김성주 (후에 김일성으로 개명한 북한 주석)의 후견인을 맡았던 인물이다. (아이러니 하게도 북한 주석 김일성은 기본계급, 즉 노동자 농민 출신이 아니다. 기독교적 종교 배경을 지닌 짱짱한 부르조아 인텔리겐차 집안 출신이다)

 

이 손정도 선생의 큰 아들은 대한민국에서 초대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고 손원일 장군이고 작은 아들은 재미교포 친북인사 고 손원태 박사다. 큰 아들은 남쪽의 국립묘지에 작은 아들은 북쪽의 애국열사릉에 각각 묻혀있다. 염상진 염상구 형제 이야기에 비견될만한 한반도의 비극을 상징하는 형제이고 그 형제의 아버지가 아닐까     

 

 

126D751E4CE8A5A2556E67

무당 소화 누님 집 뒤에 보이는 건물이 조정래 문학관이다.

 

 

1870562F4CE867064FF736

 

혹시 아직 태백산맥을 안 읽어 보신 분들에게는 일독을 권한다. 소설이라기 보다는 수기에 가까운 이 태 의 남부군과 함께 대한민국 현대사의 일면을 생생하고 적나라하게 관찰할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생각한다. 작가들의 '사상'이나 이념적 경향성이 마음에 안들면 거꾸로 읽으면서 간접적 팩트 (소설이니까) 를 건져보려고 노력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같다. 참고로 sarnia 가 현대사와 관련된 팩트들을 가장 많이 건져올린 곳은 극우 활동가가 된 전직 기자 조갑제의 취재자료들이다.   

 

 

12759F304CE89B54549C48

소설 속 외서댁은 유격대 강동식의 아내다. 청년단 감찰부장 염상구는 좌익가족을 수사하고 감시한다는 명분으로 예쁘게 생긴 외서댁을 괴롭히고 강제로 성관계를 한다. 쉽게 말해 빨갱이 아내를 협박해 강간을 한 것이다. 몰래 하는 것도 아니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외서댁과 의 섹스를 자랑하고 다닌다. 그리고는 외서댁과의 섹스를 꼬막맛에 비유한다. 이 식당이름 외서댁 꼬막나라는 소설 속 섹스의 느낌에서 그 컨셉을 가져왔을 것이라는 게 sarnia 의 짐작이다. 그게 아니라면 소설 속 인물 외서댁이 이 식당 원조 할머니가 아닌 다음에야 '꼬막' 과 연결될 이유가 전혀 없다.

 

204FD8324CE89BAD4FE510

이 식당 맛도 압권이고 친절하기도 했다. 꼬막정식을 처음 접하는 sarnia 는 당연히 먹는 법을 몰랐다. 그래서 먼저 나온 꼬막찜을 먼저 모조리 까 먹었다. 그것을 본 주인 아주머니가 서빙하는 안경 낀 청년 하나를 야단쳤다.

 

아따, 이 셜 아자씨 꼬막을 다 까 잡솨버렸네, 이 아자씨한티 설명 말씀 안 드렸다냐?”

 

그리고는 한 접시 서비스로 더 가져다 주셨다.

 

꼬막찜은 먼저 까 먹는 게 아니라 나중에 밥과 김이 담긴 큰 그릇이 나오면 거기다 양념과 함께 넣어서 비벼 먹는 거란다. 젠장, 그걸 알았나.

 

일인당 만 원이다. sarnia 가 대한민국에 머무는 동안 한 식사 중 top 5 안에 들어갈만한 식사였다고나 할까.

 

가격대비로만 따지자면 단연 top 1 이다. 세 명이 한끼먹고 40 만 원이 날아간 남산 중턱 여관밥집에 비한다면야......

아, sarnia 가 갔었던 그 남산 중턱 여관 밥집. 지난 번 '쥐20' 인지 뭔지 할 때 오바마가 통째로 빌렸다고 한다. 산 중턱에 요새처럼 자리잡고 있어 경호도 쉽고 여차하면 가까이 있는 미군부대로 튀기도 수월하고 해서 거기 처박혀 있었던 모양이다. 

자고로 나라가 착해야 그 나라 대통령 명줄도 안전한 법인데, 오바마 형 안됐어, 정말...... 


14440E264CE8958419EB2B

 

sarnia 는 그 날 저녁 순천만에서 오랜 시간을 보냈다. 해가 질 무렵부터는 비가 오기 시작해 제법 많은 비가 내렸는데 그냥 내리는 비를 맞고 산책을 했다. 2000 원 짜리 플라스틱 비옷을 하나 사기는 했는데 바람이 많이 불어 무용지물이었다. 할 수 없이 비옷으로는 카메라 가방만 감싸고 나는 그냥 비를 맞으면서 걸었다.

 

근데 이 포스팅이 역사 이야기인지 소설 이야기인지 아니면 식당 소개인지 긴가민가한 분들을 위해 다시 말하지만, 그 세 가지 다 아니다. 그 세 가지가 함께 에덴의 동쪽 ost 와 공존할 수 있는 여행기다. 여.행.기.!!

 

-----------------------------------------------------------------

참, 제주 4 .3 항쟁을 다루고 있는 위키에서 아주 기본적인 오류를 발견했다. 당시 제주도 주둔 9 연대장 김익렬 중령의 계급을 중장으로 잘못 표기해 놓은 것이다. 당시 연대장은 중령 계급으로 보임됐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위키의 대수치이니만큼 빨리 교정하기를......

 

중령은 Lt. colonel 이다. Lt. General 은 중장이고.

 

말 나온 김에 형제의 비극에 버금가는 동기의 비극을 소개한다, 바로 4.3 항쟁 당시 제주도에 주둔하고 있던 진압군 사령관 제 9 연대장 김익렬 중령과 남로당 제주도당 조직부장겸 유격대 사령관 감달삼 (본명 이승진) 의 이야기다 이 두 사람은 같은 시기에 일본 후쿠야마 예비사관학교를 다닌 동기다. 뭐, 썩 친한 친구라는 말은 없지만 같은 조선인으로서 서로 알고 지냈던 모양이다.

 

4. 3 당시 김익렬 중령은 사관학교 동기이면서 적의 수장인 김달삼과 협상해서 사태를 평화적으로 수습하려는 노력을 벌였다. 제주도를 야만인들이 사는 섬 정도로 보고 초토화 작전을 구상하고 있던 미군정에 의해 김익렬이 제 9 연대장 직에서 해임되면서 양측의 평화협상 노력은 물거품이 된다.    

 

아래는 잘못된 계급표기 기록이 있는 위키 본문

 

http://en.wikipedia.org/wiki/Jeju_Uprising

 

Lt. General Kim Ik Ruhl, commander of the South Korean force on the island, attempted to end the insurrection peacefully by negotiating with the rebels. He met several times with rebel leader Kim Dalsam (South Korean Worker's Party Member) but neither side could agree on conditions. The government wanted what amounted to a complete surrender and the rebels demanded disarmament of the local police, dismissal of all governing officials on the island, prohibition of paramilitary youth groups on the island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General Kim Ik Ruhl was suddenly recalled to Seoul over his conciliatory approach with the rebels and was surprised when his replacement mounted a sustained offensive against the rebels by the end of the summer.[4]

 

21 Comments
바다연꽃 2010.11.22 11:08  
15년 전에 읽은 태백산맥의  모습들이 사르니아님 때문에
눈에 선 합니다.

항상 좋은 글과 그림 너무 고맙습니다^^

외서댁 꼬막에서  갑자기 유격대 생활중 외서댁이 몰래 실례를 (?) 하는 과정에서
실탄이 발견되는 장면이 생각나네요 ㅎㅎㅎ 

참 그리고 밀양에 언젠가 오면 연락 한 번 주세요
맛있는 돼지국밥 한 번 사겠습니다
sarnia 2010.11.22 11:58  
제 기억에 가장 남는 것은 정하섭의 아버지 그 술도가 사장이 염전이 농지개혁에서 제외된다는 말을 듣고 양수기를 동원해 멀쩡한 논에다가 바닷물을 끌어들여 지목변경을 하는 장면입니다. 아마 분노한 소작인들에게 맞아죽지요? 염상진 형제도 그렇지만 그 정하섭 부자도 완전 대비되는 등장인물 캐릭터지요. 아, 이지숙 선생과 안상진(안창민?) 선생도 기억나는군요. 그 사람들이야 전형적인 인텔리 좌파들이고.....

바다연꽃 님 뵈러라도 밀양에 한 번 가야겠는데요^^. 작년에는 박차정 여사 묘와 김종직 생가를 가려다가 시간이 없어서 못 가고 영남루에서 엉뚱하게 박시춘 씨 생가만 보고 왔지요. 그 고장은 참 어러 방면으로 뛰어난 족적을 남긴 분들이 많이 태어난 곳 같아요.   

고맙습니다^^
세븐 2010.11.22 13:43  
참..편하게
사람맘 샤방..샤방하게 만드는 재주가 있으십니다..ㅎㅎ^^

전,,
야! 왠 글쟁이 이케 매력적이얌..
사진빨에 필 받아.. 간고등어 한마리 꿰 찬 기억이 새록새록 합니다..긴글 짧게 읽어서 죄송^^

참 특이한 종자..조갑제..
sarnia 2010.11.22 23:33  
안녕하세요^^ 무거운 주제지만 가볍게 쓰고 싶었습니다. 제가 태어나기 전 이야기라 그럴 수 있었는지 모르지만 어차피 여행기 안으로 녹여 내려야 했기에…… 지난 번 광주 이야기는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아마 좀 더 가까운 역사여서 그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조갑제는 전형적인 이념장사꾼이지요. 김정일 정권 팔아 먹고 살다가 나중에는 낙태 동성애 형법제도 극우민족주의 이런 이슈를 들고 나와 속을 계속 썩일 거라고 봅니다. 선진국 어디에나 극우 지지층이 15 퍼센트 정도 존재하는데 이 지지층이 사라지지 않는 이들의 망동(?)도 계속되겠지요. 애효~
세븐 2010.11.23 13:32  
태사랑 그리 즐기지 못합니다.
시간도.. 재미도 전만 못하구요..

그럼에도 님의 글에서
지난 일들을 생각하고 그립기도 합니다.

특히나..
음..충북 옥천에 묻힌..절친 황인하의 모습을 가끔 봅니다.
인천NCC 시절부터 .. 참 요즈음들어 너무 많이 보고 싶어지지만...
농눅 2010.11.22 17:54  
이글을 보니 설레며 3일 밤낮 태백산맥을 읽고 그 길로 달려가 전권을 샀으나 다시는 읽지 않고 고이모셔 둔 태백산맥 책이 다시 저를 부르네요 ^^
sarnia 2010.11.22 23:34  
제가 소설 별로 읽지 않는 편인데 이 장편 대하소설은 두 번 이상......

재미있었으니까요^^. 황석영의 장길산도 도중에 읽기를 멈출 수 없게 만드는 마력이 있는 것 같습니다. 김성종의 여명의 눈동자는 1991 년 송지나가 각본한 mbc 창사특집 드라마가 훨씬 잘 만들어졌다는 게 제 생각이구요^^
죽은시인의수학 2010.11.22 20:26  
태백산맥이 저런 이야기들로 꾸며진 소설이었군요. '빨치산'이란 단어가 등장한다는 사실 정도만 알고 있었습니다. 나이 차가 많이 나는 누나들이 애용했던 책이라 어릴 적부터 미술 책 보듯 표지 구경은 많이 했습니다 ^^.

4.3 사건이란 것은 더 했습니다. 전혀 몰랐습니다... 2009년 여름 제주도 드라이브 중에 4.3 기념관을 들르기 전에는요. 공짜로 구경할 수 있다는 말에 웃으면서 들어갔다 정말... 눈물을 감추지 못하고 나왔습니다. 여운이 남아 기념관 옆에 마련된 기념비들과 기념 공원을 걸으며 흐르는 눈물을 말렸던 기억나네요. ㅜㅜ

아...
센세이널하지 않는 제목 이야기에 이어지는 센스 있는 삼천포 농담!
그리고 공지영씨의 말투가 묻어나는 대사는 압권이였습니다. 하하 ^0^
덕분에 오늘도 태사랑에 들린 보람이 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Sarnia님.
sarnia 2010.11.22 23:34  
제가 제주도 4.3 기념관을 아직 못 가봤습니다. 전쟁 중 비극은 전쟁 중이어서 그렇다고 하지만 4. 3 은 다르지요. 전쟁도 아닌 상황에서 전체 도 인구의 3 분의 1 이 사망했다는 건 도저히 이해도 용납도 할 수 없는 일이니까요.

보도연맹 사건은 더 비극적입니다. 약 10 만에서 20 만 명에 달하는 좌익전향자들을 전쟁이 발발하자마자 전국 경찰서와 교도소에서 불문곡직 사살해 버렸지요. 여기에 대한 자료는 대통령 직속기구였던 ‘진실과 화해위원회’에서 조사한 결과도 있고 위키에서 bodo league 를 검색하면 자세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시인님, 이젠 다 나으셨는지요^^
죽은시인의수학 2010.11.23 13:09  
아직 실밥은 못 풀었습니다만 거의 다 나은 듯 ^^
인터넷 속도가 좀 풀리면 sarnia님이 가르쳐 주신 자료들도 검색해봐야겠습니다.
4.3 기념관은 참 잘 만들어진 듯 했습니다. 사건 전말에 대한 애니메이션 자료, 피해자 인터뷰 자료, 희생자가 난 지역들의 재구성, 그리고 전체적인 분위기 모두 처음 접하는 저에게도 확 와 닿았으니까요. 제주도 가시면 꼭 한 번 들르시길 추천합니다.

아차...전에 누님과 함께 만나는 다른 형님들과 제주도에서 모임을 하자는 의견이 있었는데 같이 가서 본다면 더더욱 좋겠군요!^0^
나마스테지 2010.11.23 16:56  
에~~해수욕장 바로 있는 콘도있슴돠. 서울 큰형님도 가시면 좋겠네요.
실밥 잘푸세염~자알~
sarnia 2010.11.23 23:20  
'서울 큰 형님'은 이번 포사격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나마스테지 2010.11.23 23:51  
전화 함 때려야게써여^^
plantubig 2010.11.24 10:21  
서울토박이인 제가 연고가 없음으로 인해 가 볼일이 별로 없었던 지역이
강원도, 제주도, 그리고 전라도 지역과 경상도 지역이였지요.

1980년대 초반,  박경리씨의 토지(완결이 안되고,,,,서희가 북간도 떠나는 시점까지)를,,,,
그러다가....1988년인가,,89년인가 ,,이 태씨의 '남부군'이란 책을 읽고,
마침내 마음에 큰 소용돌이가 일었지요.
그런 마음의 소용돌이는
문 순태씨,한 승원씨,조 정래씨, 이청준씨, 고 은씨등 호남출신 제3세대  문인들의 책을 찾아 읽으며
표현하기 어려운 막연한 것들이 소용돌이를 넘어 그리움으로 변했읍니다.

특히  이 태씨의 남부군과 이 병주씨의 '지리산'을 다시 읽어보고
마음속으로 전주 근교 회문산 지역과 지리산을 그려 보았읍니다.
마침 그무렵...'로자 룩셈부룩의  생'을  읽었던 시점이라,
게다가,,,빨치산들의 그 처절한  겨울산 투쟁을 한번 체험 해 보고 싶기 까지 했었지요.
무엇이 그들을  이념에 미치게했는지,
스스로 빠르티잔이 된건지,,아님  등 떠밀린건지,,,,
무엇이 그들에게  빠르티쟌이 되도록 종용했는지,,,궁금하고 알고 싶더라구요,,,

그리고 책속의 배경이 된 마을을  꼭 한번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읍니다.

그때 제 차가 아주 다 썩은 제미니 였는데,,,
외삼촌께서 타시던 현대 프레스토를 저를 주신다기에  프로스토와 함께 길을 떠났지요
종로구청앞 지도책만 팔던 종로인장에서 산 지도책과 함께요...

그 이후로도  책속의 배경이 되었던 지역을 찾아가는 즐거움은 
저에게 일을 할수있는  에너지가 되었답니다~.

태백산맥의 주무대인 벌교와 낙안읍성, 구례와 곡성, 화순과 순천도  좋은 여행길 이었지요.

제주도는  현기영씨의  소설 '지상에 숫가락 하나'를 서너번 읽어보고  다녀왔지요.
어린아이의 눈으로 지켜보고 겪었던 제주사태,
제주민의 한이  서린,,,한맺힌 혼백이 떠도는 눈덮인  한라산,,,
그러나 그 한의 깊이를 느끼진 못했었지요(눈대신 비오던 한라는 너무 아름다운 풍광이라서,,)

그런데 이 책은 2008년에 국방부 지정 금서가 되었네요,,,
왜 이토록 아름다운 소설이 금서가 되었는지,,,,ㅠㅠㅠ
출간된 지 10년된 책이  새삼스럽게,,,,북한을 찬양했다는 이유인데,,,
글쎄요,,북한을 찬양한 대목은 눈을 씻고 봐도 못 찾겠던데,,,

요즈음은 이 문열씨의 소설 '변경'의 무대가 되었던  경주 부근 안강과
유 안진교수의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의 무대인 안동과 임하댐 주변을 둘러볼 계획입니다.

멋진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늘 건안하십시요.
sarnia 2010.11.24 11:22  
이념에 미치게 한 가장 큰 요인은 분노일 겁니다. 아무리 정돈된 논리라도 스스로 느껴지지 않으면 자기 생명을 담보로 한 행동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지요. 사람간의 편차도 있겠지만 어떤 한 사람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편차가 더 클 수도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평온한(?) 삶을 사는 지금의 sarnia 는 갈 데 없는 자유주의자지만 1980 년대 한국에서는 레디컬한 사회주의자가 될 수도 있고, 만일 sarnia 가 미국의 침공을 받은 이라크 시민이었다면 테러리스트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극단적인 예이기는 하지만…… 문제는 이념이 아니라 그 사람이 처한 사회-경제적 환경과 정치적 상황 같습니다^^   

태백산맥은 소설이지만 남부군은 수기이지요.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태백산맥보다는 남부군을 아주 중요한 사료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작가 자기 입장에서 어떤 각색을 했을 수도 있지만 그 수기를 몇 차례나 읽으면서 비교적 진솔한 이야기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하긴 저자가 기자 출신이라 ‘글빨’에 속을 수는 있지만 그래도 한계가 있으니까요^^ 이 태는 서울출신인데 실제로 평양중앙통신(조선중앙통신?) 기자로 한국전쟁 종군하다가 전주지사에 머물게 되지요. 인천상륙작전으로 후퇴로가 가로막하는 바람에 전북도당 및 산하 정부기관과 함께 회문산에 입산하면서 유격대로서의 새 인생을 시작합니다. 글 전반에서 엿 볼 수 있는 건 그가 결코 당의 절대윤리를 신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볼셰비키는 될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 이었어요. 그러기엔 너무 자유주의자지요. 다양하고 복잡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지식인이구요.

연말을 앞두고 바쁜데, 오늘은 연평도 사태에 대한 보도나 자료를 찾아보려고 이리저리 검색하고 있는 중 입니다.

겨울산…. ㅎㅎㅎ

오늘 에드먼턴 아침기온이 영하 29 도 체감온도 영하 35 도라는군요. 모레부터 평년기온으로 돌아온답니다 정말 춥군요. 뭐 집 앞에서 회사까지 차를 타고 가고 바깥에서 걷는 시간은 아마 1 분도 안 되겠지만 혹독한 겨울날씨를 만날 때마다 그 겨울의 지리산 유격대를 떠 올리곤 한답니다.

플랜뚜빅 님…건강하세요^^.
sarnia 2010.11.24 11:31  
아, 참 플랜뚜빅 님. 저 내년에 꼭 가 보고 싶은 곳이 있습니다.

평창에 있는 이승복 기념관에 가 보려구요. 저는 사실 아직 이승복 스토리 알려진 말 그대로는 믿지 않습니다.

그 날 공비에게 참살당했다는 아홉살 짜리 그 아이 저보다는 약간 형 나이또렌데...... 직접 만나서 물어보려구요. 눈동자를 볼 수 있는 사진이라도 걸려 있을테니까.
plantubig 2010.11.24 14:14  
저  거기 두어번 다녀왔읍니다.
부근에 아주 좋은 약수터가 있어서 약수터 오가는 길에  들렸었지요.

용평 속사 쪽에서 홍천,인제방향으로 길을 잡고 계방산을 향해 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운두령 넘기 전  계방산 들머리에 이승복 생가가 있읍니다.

이 승복은 저보다 두어살 어린 나이의 소년이었지요.

반공을 국시로 삼았던 6,70년대에 교육을 받은 저는  정말 이승복이 
공산당이 싫다고  외치다 입이 찢어져 죽은 줄 알고 있었읍니다.

모르지요,,,,,,정말 그렇게  총칼앞에서,캄캄한 산간벽지의 어둠속에서,
새벽단잠에서 느닷없이 깨어서,  그 어린소년이 , 겨우 국민학교 2학년짜리 애기가 ,,,
그렇게 당차게 ,,,그런 말을 할수 있었을런지,,,,

그러나, 어쨌든,,,무참히 총칼아래 입이 찢겨 죽은 건 사실입니다.
사진 있읍니다.
그러나 눈동자를 볼수 있는 사진은 아니구요...
오일페인팅 그림으로 그려진 이승복의 얼굴은  볼수 있읍니다~

1968년은  국가에나,,또한 저에게나,,,기억 될 만한 해 였지요.

1968년 1월 21일 124군 부대가 북한산을 넘어 청와대로  무장침투 했던 사건 이후
그해 바로 4월에 향토예비군이 창설되고 그해 12월 인가,,,, 한겨울에 이승복 사건이 터졌죠.

저는 그해,,,,같은반 급우가 장난으로 던진 알미늄 쇠 책바침의 모서리가 제 이마에 맞는 바람에
다행히 눈위로 조끔 빗겨나서,,,눈썹위 이마를 서너바늘 꿰맸던 해 이기도 하구요,~~~ㅎㅎ
그 놈 어디서 뭐 해 먹구 사는지,,,,ㅎㅎ

그리고 그해 요괴인간 벰 베라 베로 라는 만화영화를 텔레비젼에서 방영 해 주었는데,
그거 안보면 다음날 학교가서 친구들과 떠들고 놀수 없을 정도로  대단히 재미있었읍니다.
우리들의 이야기거리의 중심이 바로 벰 베라 베로 였죠~~

사알니아님도 그 만화영화 기억하실거예요~...아니..못하실수도~ㅋ

벌써 40여년전 일이구요~~
이 승복군이  살아 있다면  50을 넘어 초로에 접어 들었을텐데,,,
이승복은 언제나 우리들에게  공산당이 싫다고 외쳤던 어린 아이로 살아있네요~

이승복 스토리의 픽션 논픽션의 진위를 떠나서,
가을여행하기 좋은 곳,멋진곳, 계방산 운두령과 방아다리약수 추천 드려요~~^^/

우연히도  시간이 된다면  몇몇분 같이 가셔도 좋을듯,,,,불러주십시요.
숨 안쉬고 단숨에 휘리릭 달려갑뉘다~~^^/
sarnia 2010.11.24 23:20  
1968 년 이야기 하시니 이문열의 단편 '새지 않는 밤'이 생각나네요. "아아 나는 마침내 영락하고 말았다...... 60 년대 말의 서울' 어쩌구 이렇게 시작되는 그 소설 첫머리 기억합니다. 아마 전차가 없어진 해가 그 해 일 겁니다.

그 해 1 월 저는 첫 번 째 죽을 고비를 넘겼답니다. 말씀하신 124 군 부대 바로 우리동네 코 앞에서 전투를 벌였고요. 안국동에서 우리 집이 거의 유일한 2 층집이었는데 베란다에서 공중으로 솟아오르는 조명탄과 다다다다 하는 기관총 소리를 들을 수 있었지요

근데 그 때 저는 몇 살이었냐...... ㅎㅎ 안동유치원에 다니고 있었답니다^^. 작대기를 들고 몰려다니면서 풍문여고 여학생 누나들 못살게 굴고 도망다니던게 일과였구요^^ (창덕여고가 더 가깝긴 했지만 거긴 아는 누나들이 다니고 있어서......)

벰 베라 베로 기억 나고요. 타이거마스크 도 기억납니다. 근데 저는 조숙해서(?) 그랬는지 만화영화보다는 드라마를 재미있게 봤어요. 언젠가도 한 이야기같은데 장욱제 태현실 박주아 나온 여로, 지투작전 같은 걸 즐겨 봤구요.

해안포 사격문제는 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항상 NNL 과 북측이 정한 해상군사분계선간의 개념갈등이 문제입니다. 자기들 영토 코앞에서 벌이는 군사훈련에 신경이 날카로워 진데다 그 과정에서 그 해상군사분계선 안으로 떨어진 포탄을 선제공격으로 해석한 모양인데 이유야 어찌됏던 탄착점이 부정확한 해안포를 사용해서 민간인 밀집지역에 포사격을 했다는 건 무책임한 행동이지요.   

우연도 좋고 우연을 가장한 필연도 좋고 이승복 기념관 팀을 만들어 볼까요?^^
jjjay 2010.11.26 20:34  
좀더 커서 알게된 사실이지만, 총쌈하러 뛰어다닌 골목골목 앞에
쌀집가게가 김신조 아저씨가 하시는 곳이였다는...~~
오다가다 만났으면 동네 혀엉님 하게 되었겠네요...ㅎㅎㅎ
sarnia 2010.11.27 10:35  
김신조 씨 목사라고 하던데 쌀가게도 한 모양이군요. 김현희야 정체를 알 수 없는 여자지만 김신조는 일단 신분(?)은 확실하지요. 그 사람 첫 기자회견 검색해 보세요. 재미있을 겁니다. "박정희 목 따러 왔시요~"

김신조는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역시 한 번도 얼굴 본 적없는 숙부 (경찰공무원 한국전쟁 중 북에 피랍) 와의 관계로 우리 집하고도 인연이 있는 당시 종로서장이 그 때 전투 중에 전사했지요. 얼굴이 확실히 기억나진 않는데 어렴풋이 기억이 나는군요.
수이양 2010.11.30 10:41  
역사 이야기인지 소설 이야기인지, 어떤 이야기이든 항상 느끼는 거지만 글을 유익한 느낌으로 쓰시네요 ㅎㅎㅎ 오랜만이에요 ^^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