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교포들을 위한 서울 맛집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해외교포들을 위한 서울 맛집 <소양교육>

sarnia 16 654


유튜브는 펌
------------------


오래 전에, 소양교육이란 게 있기는 있었다
. 여권을 처음 신청할 때 받는 교육이었다. 나도 받았다. 22 년 전 이야기다. 교육내용은 이런 거였다. 오래돼서 딴 건 기억 안 나는데 두 가지가 기억난다. 외국에서 간첩을 만났을 때 행동요령, 양식 먹을 때 나이프와 포크 잡는 법,


 

암튼 이 포스팅 제목은 그 때 그 시절 해외여행 떠나기 전 필수적으로 받아야 했던 그 <이상한> 교육이름을 패러디한 것이니 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마시길……     

 

---------


 

대한민국 여행 중 가장 큰 즐거움은 <먹는 거>. 우선 <무엇을 먹을까 별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여행을 한결 편안하게 해 준다. 맛집들이 도처에 널려 있다. 가격도 저렴하다. 올 때마다 1000 원씩 오르는 것 같긴 하지만 그래도 아직 외식비는 저렴한 편이다.


 

2049CD3F4EA7292B2FE86E



 

LA 외삼촌이 자기가 발견한 맛집이라며 소개해 준 곳이다. sarnia 는 술을 별로 안 마시므로 북어국도 먹어 볼 기회가 적었다. 첫 날 아침, 택시를 타고 시청옆 무교동으로 향했다. 식당 안은 평일이라 그런지 아침식사를 하는 직장인들로 가득 차 있었다.


 

한 번쯤 가 볼만한 집이라고 생각했는데 두 번 가게 됐다. 두 번 째 갔을 때는 일요일 아침이었는데 문 밖으로 길게 줄을 서 있었다. 일본에서 온 여행자들이었다. 20 분쯤 줄을 서 있다가 겨우 자리를 잡았다.


 

근처에서 빈둥거리다가 점심때는 충무로 근처에 있는 하동관에 갔는데, 세상에~ 바로 앞에 원당감자탕집이 있다. 점심을 두 번으로 나누어 먹을 수도 없고 항상 하던 대로 <어디로 들어갈까 알아 맞춰 보십시오>하다가 <> 자 하나 더 붙이고 <원당>으로 들어갔다. 정말 탁월한 선택이었어   



2019E23D4EA72AF9069FC7
추억의 오무라이스와 돈까스 (돈까스가 뭔지 모르신다면 그냥 포크 커틀릿을 생각하면 된다)

현대백화점 지하에 가면 푸드코트가 있다. 특별한 맛집들은 아니지만 선택의 폭이 넓어서 좋다. 이 곳은 잘 모르고 가면 졸지에 촌놈내지는 간첩이 되기 십상이므로 약간의 <소양교육>이 필요하다.


 

우선 음식은 레스토랑에서 주문하는 것이 아니고 <MENU>라고 쓰여진 간판이 달린 곳에서 주문한다. 그러면 카운터 직원이 영수증과 함께 좌석번호와 음식번호가 적힌 종이쪼가리를 줄 것이다.


 

우선 자기 좌석을 찾아가서 앉자. 한 쪽 벽에는 증권거래소처럼 전광판이 하나 달려있는데, 네 자리로 된 자기 음식번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그 번호가 전광판에 뜨면 해당 레스토랑에 가서 음식을 받아온다. 다른 식당들엔 다 있는 다방커피 무료자판기가 여기는 없다 -_-     


 

14571E444EA72A66302CF8


 

소양교육 하나 더.


 

공항 라운지도 그렇고 시내 식당 카페 같은 곳에 들어가서 뭔가를 주문하면 이런 걸 줄 때가 있다. 아이스하키 할 때 쓰는 puck 하고 무게와 모양이 비슷하다.


 

직원이 이걸 주면 잠자코 받은 후 자리에 앉아 있으면 된다. <이거 안 사요> 라든가 <이게 뭐죠? > 라고 묻는 일이 없도록 하자.  대한민국은 선진국이다. 믿고 기다리면 저게 뭔지 저절로 알게 된다. 때가 되면 저게 혼자 진동을 하고 빽빽 소리가 나는데 이때 놀라지 말고 저 puck을 들고 카운터에 가면 주문한 것을 줄 것이다.    


 


 

1903C3434EA72B44012DFD



 

홍대앞은 참 신기한 곳이다. 새벽 여섯 시인데 한 낮인 것처럼 거리가 붐빈다. 이 곳은 가끔 아침식사를 하러 들른 곳이다. 묵은 김치 말고 새로 담근 김치(뭐라고 부르는지 잊었음)가 아주 맛있는 집이다. 파를 담은 통은 달라고 해야 준다. 그래서 첫 날은 파 없이 먹는 설렁탕인 줄 알고 파 없이 먹었다. 설렁탕은 원래 검찰청이나 경찰서에서 조서 꾸미고 난 뒤 시켜먹어야 제 맛이라고 한다.



 

144F7C424EA729FF037382


 

갈치조림이다. 보기에는 엉성해 보여도 엄청 맛있다. 선택 성공이란 이야기다. 갈치조림으로 유명한 식당들은 남대문 시장에 모여있다. 점심시간에 가면 빈자리 찾기가 힘들다. 2 인분이 기본이므로 혼자 가면 받지 않는데, 우와!! 주인아줌니가 나는 들어오란다 ^^    

1502E3434EA72BC3020CF5


인사동에서 픙문여고쪽으로 길을 건너자. 정독도서관으로 올라가는 길을 따라 삼청동 총리공관과 감사원을 거쳐 가회동 북촌마을에 이르기까지가 몽땅 카페와 식당 거리다. 과거에는 보안구역이라 일반인 출입이 통제됐던 이 길이 지금은 멋진 산책로로 변해 있다. 근데 이 길은 혼자 걷기엔 좀 멀다. 길동무 하나를 만들어 같이 가면 좋을 듯……


 

삼청동 수제비는 너무 줄이 길어 안 들어갔다. 대신 근처 카페에서 핕빙수 큰 거 하나 사서 길동무와 나누어 먹었다.


 


 

123A5E404EA729D22C70FE



며칠 지내다 보면 가끔 한국음식에 질릴 때가 있다. 그럼 돈까스 집에도 한 번 들러보자. 어린 시절을 한국에서 보낸 분이라면 커틀릿 요리는 아무래도 한국식 커틀릿이 입맛에 맞을지 모른다.   


 

170145434EA72BFA036EC5


몇 년 전 까지는 종로 3 가 뒷골목에 생선구이 백반집이 많았는데 지금은 거의 동대문 시장 쪽으로 옮겨갔다. 이곳은 아직 남아있는 종로3가 생선구이집이다. 안동에서 먹은 유명한 자반구이보다, 내 입맛에는 이 집이 나은 듯 했다. 우선 안동 유명한 집에서는 자반이 반토막이었는데 이 집에서는 한 마리가 온전히 나온다.


 

171859464EA72C4D2C57D6


 

종로3가 피맛골 근처에 <예산집>이란 간판을 단 허름한 지하식당이 있다. 돌솥비빔밥 (이라기보다는 볶음밥) 과 돼지두루치기 도토리묵 등등해서 5000 원이다. 이제는 대한민국에서 5000 원짜리 메뉴 찾기 어렵다.   


 

197DAD434EA72C7804034E


 

강남역 6 번 출구와 7 번 출구에는 <소렌토>라는 파스타 집이 있다. 사실 한국에 와서 무슨 파스타를…… 뭐 이런 생각도 있겠지만 한 번쯤은 들를만하다. 대신 가급적 점심때 가자. 저녁때 가면 당신 생애에서 제일 비싼 파스타를 맛 볼 수도 있다. 얻어먹는 경우라면 언제라도 좋다.


 

이상은 대체로 1 만원 내 (소렌토 제외)에서 해결 가능한 식당들이다. 비싼 레스토랑은 터무니없이 비싸다. 코스 요리도 아닌 버페를 10 만 원 받는 곳이 있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음식을 맛으로가 아닌 멋으로 먹는 수요가 많아서 생긴 거품 가격인데 당신이 쓸데없이 그 거품비용을 지불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20288E3E4EA72E10050A82


 

순대국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동교동 숙소 앞에 있는 <용마루>라는 프랜차이즈 식당을 한 번 이용한 다음부터 가끔 들른다. 순대도 많고 고기도 많이 넣어 주니까. 소금이 아닌 새우젓으로 간을 맞추는데, 기본 간은 되어 있으므로 미리 맛을 보는 게 좋다.            

    


190B42434EA72CBD3BE598


 

북미와 대한민국은 커피 문화가 조금 다른 것 같다. 블랙으로만 마시는지 맥카페나 스타벅스가 아니면 크림과 설탕을 구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비싸다. 3000 원이 기본이다. 맥카페나 던킨도우넛 같은 다국적 브랜드는 그래도 우리 동네와 가격이 비슷하다. (1500 )


 

, 맥카페 이야기 나와서 생각났는데, <롯데리아>라는 햄버거 프랜차이즈에 가서 <불고기버거> 드셔보기 바란다. 정말 죽인다. 이거 우리 동네에 가져와서 팔아도 인기폭발할 것 같다.


 

사실 이 햄버거 일부러 먹으려 해서 먹은 거 아니다. 어느 날 아침 아침식사 할 곳을 찾는데, 이상하게 근처에 식당 문 연 곳이 없었다. 눈에 띄는 <롯데리아>에 들어갔다.


 

아침식사 메뉴 뭐 있어요? 하고 묻자 종업원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 잠깐 바라보더니 <햄버거 있습니다, 고객님> 한다. 젠장, 누가 그걸 몰라서 묻나? 아침부터 무슨 햄버거 하고 그냥 나오려다가 귀찮아서 그냥 시킨 게 <불고기버거>였다. 정말 대박이었어……        


 

, 내가 전에 왔을 때 못 본 건지 아니면, 새로 생긴 건지 확실치 않은데 <PARIS BAGUETTE>라는 이름의 웬 빵집이 동네방네마다 하나씩 생겼다. 숙소 앞에도 하나 생겼는데, 단팥빵과 슈크림 여기서 매일 두 개씩 사 먹었다.


 


 

164A683F4EA72CEF31D134

오늘은 무궁화호 타는 날.


 

부산에서 안동으로 가는 중앙선 무궁화호 열차카페에서~~   

1430563A4EA72E4F1219E5


 

things_06.gif?rv=1.0.1 대한민국 여행기였습니다 : ) things_06.gif?rv=1.0.1


또 다른 대한민국 여행기는 이곳에 가두어 놓았어요. 흑흑~  
https://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korea&wr_id=1845



16 Comments
K. Sunny 2011.10.26 13:15  
하하하 재밌게 읽었어요. 나온지 얼마 안됐는데도 벌써 일부 내용은 '아, 그렇구나...' 하게 되네요. 푸드코트랑 하키 진동기요 ㅋㅋㅋ
bf 메뉴 질문에서.. '아 나는 가면 절대 뭐 물어보지 말아야지.' 라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캬캬캬
갓 담궈 먹는 김치는 겉절이 라고 해요 ㅋㅋㅋ
sarnia 2011.10.27 12:17  
그러고보니 우리는 같은 타향살이 신세네요^^
저걸 하키 진동기라고 부르나요? 사실 2 년 전 쯤 첨 보았을 때 뭔 용도로 쓰는건지 짐작은 했는데, 진동볼륨이 너무 크게 울리는 바람에 놀라서 떨어뜨릴 뻔 했어요.
K. Sunny 2011.10.27 12:41  
(저는 본적도 없어요.... ㅜㅜ
구리오돈 2011.10.26 13:52  
저도 신선설농탕 자주 가는데요, 이집 덜익은 김치는 겉절이를 주는 게 아니고요,
담근 지 얼마 안 된  김치를 줍니다.
많이 익은 "묵은지"통을 깍뚜기 통과 함께 주지요.
먹고싶은 만큼 덜어먹는 시스템이예요.
이집 김치맛이 정말 좋아서 우리식구 외식하러 자주 가거든요.
김치와 국물은 더 달라고 하면 무료로 주니까 부족하시면 말씀하세요~
sarnia 2011.10.27 12:20  
묵은지는 너무 시어서 잘 못 먹었어요.
<홍대점>이라고 써 있는 거 보면 지점이 다른 지점도 있는 모양인데 다른데선 본 기억이......
부추도 있었나? 아니면 부추는 북어국집 반찬통 안에 들어 있었던 건가~ 헷갈리네요.
구리오돈 2011.10.27 18:36  
체인점이라서...서울, 경기만 해도 꽤 많죠.
얼마전까지 그곳에 재료를 대주던 물류센터에서도 일을 했었기에, 대충 알죠.
부추는 없고요, 안익은김치, 묵은지, 깍뚜기 이렇게 세종류입니다.
저는 기본 설렁탕 6,000원짜리 주로 이용합니다.
곰돌이 2011.10.26 18:26  
정말...

해외교포들을 위한 서울맛집 소양교육이네요 ^^*
sarnia 2011.10.27 12:22  
소양교육 맞다니까요^^

몇 년 전에도 농담처럼 (다른 내용)올린 적 있는데 <도움됐다>는 인사도 받았답니다. 진짜 

하이파이 2011.10.29 11:05  
하키 진동기를 받으면 울릴때까지 기다려라...낯설은 고향이네요...
설렁탕은 원래...조서 꾸미고 나서 먹어야 제 맛 에서 빵 터짐니다.
sarnia 2011.10.29 15:47  
실은...... 영화 <아저씨>에 나오는 김형사 대사에서 영감을 받은 겁니다^^
김형사가 도주하는 뚱보 앞을 가로막으며 하는 말
"어이. 가서 조서 쓰고 설렁탕 먹어야지"

<아저씨> 이야기하니 <소미>의 명대사가 떠 올라 마음이 찡하네요.

"나 아저씨까지 미워하면 좋아하는 사람 한 개 (한 명이 아니고) 도 없어. 그럼 막 여기 (가슴) 이 아파"
케이토 2011.10.26 20:40  
아아 글고보니 sarnia님 작년 휴가때 제 비장의 맛집이라 소개해드린,
콩비지집 있잖아요 ㅠㅠ 저도 여행다녀와서 너무너무너무 먹고 싶어서 찾아갔더니
없어졌더라구요...저 한창 다닐때도 할머님이 나이가 참 많으셨는데...흑.
이제 그 콩비지를 어디가서 먹나...아쉽습니다 ㅠㅠ...

그리고 저도 첫여권은 22년전에 발급 받았었는데~! 신기해요!
꼬꼬마들은 소양교육 안받아도 됐었나봅니다 :)! (완전 핏덩이여서 기억을 못하는지도...?)
헤헤헤-
sarnia 2011.10.27 12:27  
우리는 신기하게 통하는 게 많았잖아요. 레이크루이즈 부터
ㅎㅎ 농담이고요^^
우리와 같은 <여권동기> 의외로 많을 거예요. 그 해가 해외여행이 자유화된 첫 해로 알고 있거든요.

아, 그 콩비지집 가려고 했었어요. 근데 택시타고 우래옥(콩비지집 바로 앞) 가자니까 기사님이 모르시더라고요. 을지로 4 가지만 골목이라 설명하기가 복잡해 다른 곳 (오장동 냉면)으로 갔지요.
롤러캣 2011.10.28 14:54  
맛집 많네요. 낙지집이나 횟집도 넣어주심 안될까요? 한국갈때 가볼께요. 근데 홍대앞은 한번도 가본적이 없어서 기대되네요
구리오돈 2011.10.28 19:20  
낙지 좋아하시나봐요?
낙지 잘하는 집이 많이 있는데요...
잘한다고 소문난 집이요...대부분이 너무 매워요.
저는 낙지볶음 먹고오면 항상 배탈 난답니다.
매운 거 무지하게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한 요리가 아닐까 싶어요.
sarnia 2011.10.29 01:07  
입맛이 변했는지 매운 거 잘 못 먹게 됐어요. 함흥냉면 짱 좋아했는데 이젠 좀.
낙지볶음도 좋지만 저한테는 연포탕이 특이한 경험이었음~~
회는 서울에 있는 수산시장들도 좋지만 부산으로 날아가서 민락동이나 자갈치로 가서 드시는 게 기분상 더 좋을 것 같아요.
구리오돈 2011.10.29 09:19  
부산에서 회를 먹으면, 콩가루 뿌려먹는 게 너무 맛나던데요...
부산가서 회 먹고 싶네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