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릴까 망설였던 이야기 한 개......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올릴까 망설였던 이야기 한 개......

sarnia 25 1548

유튜브는 펌

-------------------

 

156DBB454EA0A5E226AA06

 

세부(Cebu) 시내 길거리에는 아이들이 많다. 어른과 함께 있는 아이들보다는 그들끼리, 또는 혼자 있는 경우를 더 많이 보았다. 

 

열 살 남짓한 소녀가 세 명의 어린 동생들을 돌보고 있는 것 같았다.

 

부모들은 일하러 간 것일까?

 

잘 모르겠다. 

 

 

112A453D4EA0AC45047631

 

어디서든 구걸하는 아이들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원 페소 플리즈> 라는 입에 달고 다닌다. 섣부르게 한 아이에게 돈을 주는 순간 당신은 어디선가 몰려 온 아이들에게 둘러싸이게 될 것이다. 돈을 주는 것 보다는 먹을 것을 사 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한다.

 

126321434EA0A60C2BF875

 

저 자세로 고개를 숙인 채 미동도 하지 않은 채 앉아있다.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가까이 가서 말을 걸어 보았다.

 

햇볕에 화상을 입은 것 같은데 가까이 다가가자 찌는듯한 더위에 상처가 부패하는지 악취가 진동한다. 아무도 거들떠 보는 사람은 없다. 나이는 종잡을 수 없지만 얼굴이 앳돼 보인다. 열 다섯 살은 넘지 않았을 것이다.

 

그나마 제대로 보도블럭이 깔린 이 곳, 저 철조망너머로는 교회(성당) 건물이 우뚝 서 있다.

 

1125DE424EA0A5B42D0A00

 

표정이 맑다. 그런데 왠지 힘이 없어 보인다.

 

12149D394EA0B5C616C383

 

20 대 초반으로 보이는 이 노점상 청년은 만사가 귀찮다는 표정이다.

 

193F073C4EA092E0026BFA

 

Colon 재래시장 부근 거리에서 만난 이모와 조카다. 온 가족이 함께 노천식당을 운영하고 있단다.

 

모녀인 줄 알았는데 이야기를 나눠보니 이모와 조카 사이다. 

 

조카는 나에게 궁금한 게 많은 모양이다. 어디서 왔는지? 몇 살인지? 직업은 무엇인지? 어디에서 묵고 있는지? 별 걸 다 물어본다. 성격이 밝고 적극적이다.   

 

세부는 작은 도시인데도 지역에 따라 주민들이 외국인 대하는 태도가 확연히 다르다. 당신이 구 시가지나 거주지역에 들어갔다면 따가운 시선이 집중되는 것을 각오해야 한다.

 

<따가운>이라는 말은 <적대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사람들은 순박하고 친절하며 호기심이 넘친다.

 

먼저 웃어주자.

 

그럼 그들도 당신을 향해 활짝 웃어 줄 것이다. 어린 아이가 있다면 아이 엄마에게 양해를 구하고 아이를 한 번 안아줘도 좋다.

 

친구가 되는 것과 적이 되는 것은 첫 만남 30 초 동안 당신이 하기 나름이다.    

 

 

125403394EA0932B058AF5

 

왼쪽 짧은 머리는 이 거리에서 처음 본 외국인이다. 이 거리에 외국인은 거의 없다. 아마 올 일이 없을 것이다.

 

거리를 걸어가다가 소매치기나 날치기를 당했다면 그건 당신이 잘못이다.

 

명심하자.

 

그들이 당신의 소지품을 노리고 있는 게 아니라 당신이 지금 그들의 구역을 침범한 것이다.

 

이 거리에는 당신의 목걸이나 지갑 따위를 지켜 줄 경찰은 존재하지 않는다. 필리핀의 치안개념은 <1 % 의 재산에 대한 경비> 개념이지 민생치안이 아니다.

 

1459D8364EA0B6190B160D

177D603A4EA09361135AA2

낡고 초라한 건물들이 늘어서 있는 이 곳은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 된 유서 깊은 거리들이다. 멀리 산토니뇨 성당의 첨탑이 보인다.

 

185A014B4EA09FB2293A70

 

세부는 필리핀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다. 그래서 그런지 작은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대학들이 많다. 내가 아는 세부 처자 (에드먼튼 거주)도 이 도시에 있는 St. Carlos 대학교를 졸업했다고 했다. 대학들은 주로 구 시가지 빈민가에 자리잡고 있다.

 

빈민가? 하긴 세부에 빈민가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경찰과 무장경비들의 철통같은 저지선 뒤에 숨어있는 리조트와 특급호텔, 라훅-비버리힐즈 지역의 <1 %> 거주지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지역이 판자촌이고 빈민가니까......   

 

1657EE4B4EA0998D21FFB4

구 시가지에서 한참을 걸어나오면 거주지역이 시작된다, 대충 이런 모습이다. 도대체 어디가 거주지역이고 어디가 상업지역인지 잘 구분이 안된다. 

 

1852773E4EA23AE71EE8F1

가장 보편적인 세부의 주상복합...... 이런 곳이 널리고 깔려있다.

 

11440B344EA0B8BD1FE1E5

출근시간이다. 주민들이 지프니 정류장을 향해 가고 있다. 아침부터 웃통을 벗어부친 사람들도 많다.

 

<No Shirt No Service> 이런 말이 세부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1154334D4EA0CAC9347C1D 

1971834D4EA0CB130428EB

134AB5474EA0CA59076DE3

흠, 이번에는 조수석에 누군가가 미리 앉아있다. 할 수 없이 뒷 자리 맨 앞에 앉았다.

 

자, 모두 주목해 봐요~~ 내릴 때 차비는 나한테 주세요. 잔돈 준비해서, OK?

 

지프니가 태국 쏭태우와 다른 점이 있다. 소통을 시작할 수 있는 매개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매개란 다름아닌 승객들간의 요금 전달이다. 요금과 거스름돈을 서로 전달하면서 현지인 승객들과 자연스럽게 눈을 마주치고 인사하고 대화할 수 있다. 더구나 태국과는 달리 이 나라에서는 영어가 통한다.    

 

1758A7504EA09AEB184FF7

 

차도 한 가운데로 신문과 생수, 까치담배등을 파는 행상들이 몰려다닌다. 그들 대부분은 이 시간에 학교에 가 있어야 할 소년들이다.

 

 

12402B4C4EA09420098676

 

여기는 숙소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SM Mall 이다. 세부에는 두 개의 몰이 있다. SM 과 아얄라가 그 곳이다.

 

세부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사람들이 있다면 다름아닌 Security Guards 다. 이들은 모두 권총과 테이저건 등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1 % 와 99 % 를 가르는 최전선은 바로 이 무장 경비원들이 지키고 있는 것 같았다. 희한하게도 세부에서는 정작 경찰을 보기가 어려웠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사복경찰들이 눈을 부라리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곳곳에 깔려 있는 무장경비 (armed security guards)들이 출입자들을 통제하고 있었다.

 

진짜 세부를 보고 싶으면 저 계층 경계선을 넘어 바깥 세상으로 나가야 한다.

 

샹그릴라나 힐튼 리조트는 세부가 아니다. 그곳들은 그냥...... 외국인 수용소라고 해 두자.

 

-----------------------

 

무엇을 할 것인가?

 

니꼴라이 쩨르니셰프스키의 책 제목도 아니고, 레닌이 했던 유명한 질문도 아니다. 세부 (정확한 발음은 씨부에 가깝다)에서 첫날 밤을 보낸 담날 아침 숙소 침대에서 잠을 깨자마자 스스로에게 한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모법답안은 이미 귀가 아프도록 들었다.

 

첫 날 호핑투어를 하고, 마르코폴로 호텔에 있는 레스토랑에 가서 상다리가 부러지게 차려놓은 버페를 즐기고, 탑스힐 전망대에서 칵테일을 한 잔 하며 멋진 야경을 감상하고, 담날 아침에는 고속페리를 타고 보홀 아일랜드로 건너가 초콜릿 힐과 타르시어 원숭이를 구경한 다음, 이국적인 정취 물씬 흐르는 로복강 리버크루즈에 참가하고 관광객들을 위해 꽃단장한 채 미리 기다리고 있는 원주민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마지막 날에는 스파에서 황제마사지를 받으며 시간을 보내다가 공항으로 간다……

 

떠나기 전, 세부에 대한 정보들을 검색했을 때 sarnia 는 이 모범답안 이외의 다른 대안이 있다는 이야기를 읽어 본 적이 없었다. 온라인에 차고 넘치는 세부 이야기는 거의 모두 호핑투어와 리조트 라이프, 보홀 투어에 관한 것뿐이었고, 시간이 남으면 마지막 날 자투리 시간을 이용해서 시내에 있는 산토니뇨 성당이나 한 번 들러 보라는 조언이 전부였다.           

 

여행 안내서들마다 한결같이 하는 조언이 있었는데, 시내 유적지를 갈 때는 개별행동을 해서는 안 되며, 지프니 같은 현지인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것 등 이었다.

 

내가 접한 정보들의 의하면 세부 길거리는 소매치기와 강도, 걸인들이 우글거리며 외국인 여행자들의 호주머니나 노리는 위험하기 짝이 없는 곳이었다. 캐나다 외무성 홈페이지에서는 아예 <반드시 가야 할 일이 없으면 가지 말라>는 충고를 친절하게 하고 있었다. 출발 며칠을 앞두고 세부에서 한국 국적의 30 대 사내가 납치됐다가 풀려났다.    

 

의문과 함께 강한 호기심이 들었다.

 

<과연 그게 전부일까? > 

 

창문 블라인더를 걷었다. 세부섬과 막탄섬 사이의 해협이 한 눈에 들어왔다. 오른쪽 망망대해 너머 어렴풋이 다른 섬이 보였다. 보홀섬이었다.

 

벽에 걸린 TV를 켜자 BBC News가 나왔다. 이 나라의 수도 마닐라에서 태풍으로 십 수 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었다. 창 밖을 바라보았다. 바다는 잔잔했지만 짙은 잿빛이었다.   

 

 

1130C5334EA0EB1B0C0CD3

 

 

뭐하지? 하고 딱 5 분 정도 생각하다가 결심했다.

 

다른 사람들이 해 보라고 추천한 것은 하나도 하지 않고. 하지 말라는 것만 전부 해 보기로 한 것이다.

 

내가 청개구리여서가 아니다. <모범답안>에 나와 있는 일정과 장소에 대해서는 똑 같은 이야기를 하도 많이 읽어서 굳이 가 보지 않아도 그 스토리의 전개와 결말이 뻔히 보였다.

 

모든 행동에는 동기유발이 중요한데 뻔한 스토리와 결말을 예고하고 있는 행동에 동기유발이 일어날 리 없었다.  더구나……호핑투어 같은 걸 하려고 스무 시간이 넘게 비행기타고 날아오지는 않았다.

 

그래. 그냥 여기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나 보고 돌아가자.

 

그래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거 같아......


sarnia

 

추신: 올해 여름 동남아를 휩쓴 홍수와 태풍으로 필리핀에서만 400 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경작지의 6 % 가 침수됐다. 곡물가격 폭등은 기정사실이나 다름없는데, 국제곡물독점자본은 또다시 대규모 매점과 투매행위를 반복할 것이다. 세부에서 내가 만났던 모든 사람들이 무사하기를......



25 Comments
이본좌 2011.10.24 13:41  
페이스북을 통해 알게된 세부쪽 페친들이 있는데, 그들은 과연 어떤 일상을 살고 있을지 궁금해지네요. 대학을 나온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좀 더 나은 삶을 살고 있는건지도 궁금하고., 세부를 그저 휴양지로만 생각했었는데.. 그간 앞만 보고 살다가 잃어버렸던 소중한 뭔가를 다시 찾은 느낌이랄까.. 글 잘 읽었습니다.
sarnia 2011.10.25 06:30  
저는 세부에 대해 아는 게 없었습니다. 마젤란 이야기 조금, 유명한 휴양지, 그 정도였지요. 많이 배우고 온 것 같아요.
빅토스 2011.10.24 16:41  
오래전 태국 이전에 필리핀을 겁도없이 배낭여행하면서 엘리도, 보라카이 등의 자연환경에 감탄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스노클링만을 보자면 태국은 쨉이 안되죠. 거기다 정말이지 영어도 다 잘하죠. 그런데 지금 필리핀을 가지않고 태국가는 이유는 직간접 경험에 의해 위험하다고 생각하고있어 필리핀에서는 너무 조심스러워져야 한다는 것이지요. 사진의 앉아있는 소녀, 변화없는 거주지역의 모습이 너무 안타깝네요.
sarnia 2011.10.25 06:31  
저는 기간이 짧아서 그런지 (3 일)  위험을 느낀 적은 없는데 뭐랄까…… 고립감 같은 걸 느낀 적은 몇 번 있었습니다. 특히 주민 거주지 깊숙이 들어갔을 때 집중되는 눈길은 참 저를 당황스럽게 만들기도 했지요.
곰돌이 2011.10.24 16:44  
sarnia 님...

이 좋은글을,  올리실지 마실지  망설이시다니요...^^;;

그냥 올려 주세요 ^^*
sarnia 2011.10.25 06:32  
넵, 앞으로는 망설여지는 거 있더라도 곰돌이 님만 믿고 씩씩하게 올리겠습니다.

코난 2011.10.24 16:59  
사진을 보니 예전 세부에 머물던 때 생각이 아련하네요.
SM몰, 아얄라 센터와 거리의 필리피노의 대조적인 모습을 볼때마다 항상 가슴 한편이 아련하곤 했었는데
소수의 특권층으로 인한 빈곤의 대물림, 희망없는 미래.....
결코 남의 애기가 아닌듯하여 가슴이 아픕니다
sarnia 2011.10.25 06:32  
늦게나마 결집과 연대의 모습이 확산되는 거 같아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지금 전 세계에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99 퍼센트> 운동이 좋은 변화의 동기가 되기를……
K. Sunny 2011.10.24 19:47  
들어만 봤지만.. 알고싶지 않았지만.. 사니아 님의 사진으로나마 잠시 엿보고 갑니다 ,,,
sarnia 2011.10.25 06:33  
많이 통하는 써니님, 언제나 든든해요~~ ^^*
앨리즈맘 2011.10.25 20:50  
슬쩍 보기는 했지만 깊숙히 들어가기엔 인도네시아나 말레이시아 태국보다 어려운 그들의 삶이죠, 어쩜 안다고 제 스스로 크게 다른 상황을 만들수 없으니깐 말입니다, 여행자의 한계를 느낍니다
초록깊은호수 2011.10.24 22:41  
콜론스트리트의 잡설은 캄보디아에서 패키지를 나와 개인 툭툭이를 타고 갔다가 금니를 뽑히거나 성폭행을 당했다는 구설수랑 비슷한 수준으로 많이 들었지요...금귀걸이를 낚아채 갔다거나 총을 맞았다든지.등등...그런 이유로
접근해보지 못한 곳이고 그곳 거주하면서도 단두번밖에 가보지 않은
거리였습니다.사진으로보고 글로 보니 역시 저의 경계속 거리에 지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역시..그들에겐 그냥 사람 사는 동네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글 보고 나니 다시 가고 싶습니다...
초록깊은호수 2011.10.24 22:42  
사진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잠시 추억에 젖어들었네요..
sarnia 2011.10.25 06:33  
세부에 사셨나 봐요. 그러고 보니 세부에 사셨던 분이 많으신 듯, 이번에는 휴양지에도 가 보고 싶은데 워낙 먼 곳이라서 어찌 될 지 모르겠습니다.
젤리캣 2011.10.25 01:03  
외국인의 입장에서 너무 지나치게 감상적인 시선으로 현지인을 볼 필요는 없습니다. 그들 나름대로의 삶이 있는 것이니까요. 외국인 관광객이 현지인을 지나치게 두려워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필요 이상으로 가까이 할 필요 또한 없습니다. 한국에 살면서 길에 다니는 사람들에게 말을 거시나요? 시선을 마주치시나요? 똑 같은 겁니다. 그들의 생활상에 호기심이 있다면 그냥 조심스럽게 살펴보면 그것으로 족하다고 생각 됩니다. 한국인이 세부에 참 많이 보태주고 있습니다. 외국인 관광객으로는 거의 1위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저렴한 비행기 티켓이 많고 현지 물가 또한 태국 보다 저렴하니까요.
sarnia 2011.10.25 06:34  
네. 근데 필요가 있고 없고 라기보다는 현상을 보고 접근하는 방식은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 장르로 달라질 수 있는 거 같아요. 다만 이런 포스팅을 읽고 받아들이는 독자의 입장에서 <이게 전부> 또는 <이것 만이> 하는 시선의 한계는 넘어야 하겠지요. 필자의 몫과 독자의 몫은 항상 따로 있는 법이니까요.
앨리즈맘 2011.10.25 20:51  
따지면 우리가 아는 가장 가난한 나라중 하나인 방글라데시아가 행복지수도 우리 보다 높다고 하니, 전 믿기는 어렵지만,, 그곳에 사는 그나라 아니고서는 판단이 어렵내여,
sarnia 2011.10.26 01:09  
사람들 표정과 관련한 두 나라 (필리핀과 대한민국) 여행소감을 말하자면 세부 사람들 얼굴이 훨씬 쾌활하고 미소가 넘쳤던 것 같아요. 그게 세부 사람들이 행복지수가 높아서 그런건진 잘 모르겠지만, 반드시 외적인 생활환경이 행복의 기준이 아닌 건 분명한 것 같습니다. 요샌 그게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것은 물론이고 <중요한 기준> 축에도 못드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외로운방랑자 2011.10.26 04:10  
57세의여행자입니다
문득저어렸을적생각에 또한오빠생각배경음악에괜시눈시울이붉어지고어려서의배고픔생각이나네요
우리도한때는미군들보면헬로쵸코렛 원기브미하던시절이엊그제같은데........
sarnia 2011.10.26 11:35  
그렇군요...... 저는 저런 집단적인 대규모 빈곤을 목격한 경험은 거의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좀 충격을 받았고요. 시내에서는 그냥 지저분하고 걸인들이 많다는 정도의 인상을 받았지만 거주지역은 또 달랐습니다. 제가 아주 어렸을 시절 청계천 근처에 저런 집들이 많았다고 하는데 본 기억은 없으니......
babae 2011.10.26 19:13  
저도 태국 이전에 필리핀을 여행해서 필리핀엔 향수 같은 것이 있어요.
올 여름 휴가로 코론 다녀왔는데 자연환경이 정말 아름다웠어요.^^
sarnia 2011.10.27 12:49  
아, 정말 멋 있네요. 바위 모양도 신기하고 물빛깔도 이쁘고.
코론~ 전 첨 듣는 이름인데 말씀듣고 방금 사진들 보고 나왔어요^^
나마스테지 2011.10.27 02:13  
요번 타파짠에서...비가 많이 오니까 마사지하시는 분들이 빨리 퇴근하는 거 같더라구요,
저는 거의 1시 예약해서 3시 마치는데, 놋-이라는 59세 아저씨가 저를 마치고 퇴근하시는데..
김완선씨랑 아주 많이 닮은 주인아주머니에게 일당을 받고, 그 돈을 손에 쥐시고는 양말을 신고 계서서 자연히 일당의 두께?가 눈에 들어왔어요...몇사람 시술 하셨는지 모르겠으나
100바트 한장과 퍼런 색깔의 20바트............
sarnia 2011.10.27 12:51  
전시회 잘 하고 있죠. 연기하는 바람에 제가 참석 못해 내내 아쉽네요. 오랜만에 사람들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
나마스테지 2011.10.27 23:51  
네~산하형님이 부일 부국장모시고 또 누굴 델꼬 온다네요~
저도 마니 아쉽습니다. 작품은 별론데 자리를 잘앉혀 볼만하게 되었어요 ㅋㅋ
마치고 사진들 보내드릴께요~~건승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