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가루 나라가 굴러가는 법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콩가루 나라가 굴러가는 법

sarnia 12 751

 


 



유키 쿠라모토의 로망스를 들으면 

영화 '달콤한 인생'이 떠 오릅니다

그 영화에서 이 음악을 처음 들었습니다

극중 첼리스트신민아가 연주했습니다




기후가 이상해 졌습니다

지난 주 수은주가 섭씨 32 도 까지 치솟았습니다

8 월도 아니고 6 월에 이렇게 더운 날씨는 처음입니다

이틀 정도 비가 와서 조금 시원해 졌는가 싶더니 오늘 다시 29 도까지 올랐습니다.

날이 더워서 그런지 제법 많은 꼬마들이 분수대에서 물놀이를 즐기고 있습니다


7 1 일 

캐나다 생일을 맞아 오랜만에 시청공원에 갔습니다

1867 7 1

오랜 영제강점기에서 반토막 해방이 되어 자치권을 획득한 날 입니다.  

항영 (항일이 아니고) 무장투쟁 노선을 견지한 미국과는 달리

영국과의 전쟁없는 점진적 분리독립노선을 채택하여

실제로는 1951 년에 와서야 

대영제국의 왕국신민신세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국기,그림펜, 지도

FIFA 월드컵 여자축구 응원할때 쓰는 짤짤이 박수기 같은 것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저는 태극기든 성조기든 메이플기든 국기를 생래적으로 싫어하므로 

메이플기는 받지 않고 짤짤이 박수기만 하나 받아왔습니다.  


손잡이를 들고 흔들면 짝짝 짝짝짝 하고 박수치는 소리가 납니다

딱히 가지고 싶은 물건은 아닌데 공짜로 주니까 그냥 받았습니다.

 



 

싸르니아의 짤짤이 박수기

 

 


저 짤짤이 박수기를 보자 불현듯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도대체 이 나라 사람들은 

축구경기든 뭐든 나라간 경기를 할 때 

어느 나라를 응원할까 하는 의문 말입니다

오늘 처음 든 의문은 아니고 예전부터 가져왔던 의문입니다

하긴 아이스하키를 제외하면 딱히 잘하는 국제운동종목이 없으니 

캐나다와 자기네 모국이 스펙터클하게 대결할 기회도 별로 없긴 하지만 

어쨌든 의문은 의문입니다.


참고로,, 

이 나라에는 ethnic 주류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영국계라야 

전체 인구의 20 퍼센트 ( 6 50만 명)을 넘지 않습니다

캐나다 전체 인구 3  6 백 만 명 중 80 퍼센트는 

2 백 여 개국에서 모인 사람들이거나 

그들의 몇 대 안 내려가는 자손들입니다.    


미국처럼 

인종의 용광로 안에서 

미국적 가치로 함께 녹아주십사 하는 요구를 하는 나라도 아니고

각자 자기 츨신국가의 문화와 전통,그리고 언어를 유지하며 

오만가지 색깔의 공존을 추구하는 모자익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멋져보이지만 

또 다른 면에서 보면 영락없는 콩가루나라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는 모국어와 출신국가는 서로 달라도 

오늘만큼은 

한 핏줄을 나눈 가족 처럼 모여서 즐겨봅니다.

  

유모차에 메이플기를 잔뜩 꽂은 여인은 아마도 홍콩 출신 아닐까요? 




머리에 메이플기 두 개를 매단 소녀는 여기서 태어났을지도 모르지만 


아무래도 아르메니안 2 세 정도 되겠지요.


 

 


뒤통수에 메이플기 한 개를 꽂은 이 유모차 아줌마는 서교동 스타일이군요


어떻게 알았느냐구요?

동족은 그냥 알아봅니다

자세히보니 오른쪽 볼에도 메이플을 그려넣으셨군요. 



 

 


이 할머니들은 어디서 오셨는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중국은 중국같은데,, 


 


원피스문양이 특이하다고요?     

캐나다 문화정책인 모자익을 상징하는 복장 같습니다


 

 


 


 


 


이런 나라에서 국가라는 개념은 

민족국가에서의 국가라는 개념하고는 많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민족국가가 아닌 미국하고도 많이 다릅니다

미국은 세계를 자신들의 가치로 통제해야한다는, 

제국의 관념이 지배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자국 국민들에게 애국심을 강조하고 

심지어 자동차 이름에도 애국자라는 단어를 가져다 붙이지만(Jeep Patriot), 

캐나다 사람들에게 국가란 

그저 함께 사는 공동체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 같습니다.    




-------------------------------------------------------------

-------------------------------------------------------------



, 캐나다를 여행으로 방문하시는 분들을 위해 

새 세관신고서 작성 tip 을 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전 세관신고서에는 

‘I am (We are) bringing into Canada 아래 있는 여섯가지 항목에 

무턱대고 No 에다가 체크마크를 했는데, 

이젠 그러면 안 됩니다


(사진이 흔들렸으니까 사진 아래에 있는 설명을 읽으세요




 

세 번 째 항목이 예전에는


Meat/meatproducts; dairy products; fruits;

vegetables;seeds; nuts; plants and animals or their

parts/products;cut flowers; soil; wood/wood

products; birds; insects


뿐이었다가 보시다시피 아래 문장이 추가되었습니다.


productor by product of any of the foregoing


따라서 여러분이 위 항목에 해당하는 재료의 2 차 가공식품

예를들면 김치,말린호박, 말린고사리, 말린취나물 

심지어 포장지에 밤이 크게 그려져 있는 해태 밤연양갱을 가지고 들어오신다면 

저 세 번 째 항목에 Yes 라고 표기 하셔야 합니다

생선은 상관 없습니다.


저는 이번에 새로 추가된 저 문장을 보고 

저 항목에 대답표시를 안 하고 비워두었다가 입국장에서 물어봤습니다

밴쿠버 국제공항 입국심사관은 한국인 같았는데

여권에 적힌 이름을 보고 한국인 이세요?” 한마디 묻고는 

다른 한국말을 전혀 못 하는지 영어로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습니다. 


한국분이세요? 라는 질문은 들어봤어도 

한국인이세요? 하는 말은 또 처음 들어봤습니다. 


저 항목에 예스 표기하고 

생육이나 생농산물이 아닌 이상 입국심사관은 

저 항목 위에 빨간색 마커로 ‘OK’ 표시를 합니다

입국심사대를 통과하여 짐을 찾은 후 

입국장 마지막 문 앞에 문지기처럼 서 있는 세관 직원에게 저 카드를 주면

세관원은 세 번 째 항목에 Yes 표기를 한 카드를 보고나서  

참 정직하신 분이군요하는 표정을 지으며 빠르게 통과시켜 줄 겁니다.    



12 Comments
매자 2015.07.04 14:07  
세모녀 사건 자꾸 기사가 사라지네요?
글쓰기도 안돼서 댓글로 답니다
중국에선 검색어 1위를 달리고 미국역시 난리난 기사인데
한국발 기사가 한국에서만 막힌 경우는 어찌된건지..
허목사 파워가 대단한건지
뒤에 숨겨진 덩어리들이 대단한건지
기사가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아시는 분 있는지요?
Robbine 2015.07.04 14:34  
태사랑에서 글쓰기도 안된다고요??
네이버는 그렇다치고 태사랑에서도 안된다는건 의외네요.
왜 그럴까요.
이열리 2015.07.04 14:37  
ㅜㅜ
세모녀 세모녀 그러길래 뭐지..했는데
목사얘기보니..그거네요
세모자...입니다. 어머니...아들둘.
CNN에도 제보하고 위더피플에 청원중이죠.
애들이 시티즌이라..
그목사가 하는 양평의 무슨교회 의원 싸이트던가?
새누리당 의원 페이지 난리났었는뎅..
그목사 부자가..거액의 기부를 했나봐요 근래에..
여기저기 연줄도 있고.
네이트 판에서 시작했고 기사 여기저기서 떴었는데
포털은 블라인드 할수 있어요.
알바시켜 일일이 대응하는 눈치구..
대부분 글들은 국내에서 운영하는 서버가 아닌..
페북이나 유튜브에 많은거 같아요.
이나라에서 안된다면 미국법으로라고
그목사 잡아죽였으면 좋겠습니다.
요술왕자 2015.07.04 18:34  
어느 게시판에서 글쓰기가 안된다는 말씀이신지요?
매자 2015.07.04 19:04  
여기 말고 다른 사이트네요
태사랑은 글쓰기가 되네여
곰돌이 2015.07.04 14:48  
캐나다가  실제로 완전히 독립한 해가 1951년도군요..

서류상으로  한나라니..

2차 세계대전때  캐나다가  영국을 열심히 도운게  아니라,  한나라로 싸운 것이겠네요.



모자이크의 나라 캐나다...

제 주변에 계셨던 분도,  캐나다에 기술이민 가시던데....

가셔서 잘 사시길...
sarnia 2015.07.05 00:49  
일단 1867 년 이후에는 자치령이 됐으니까 2차대전과 한국전쟁에는 독립적 주권을 가지고 참전한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951 년에는 국명에서 자치령이 빠지고 캐나다가 정식 국명이 되었습니다. 영국 추밀원 (Her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 을 제끼고 캐나다 대법원이 최고사법기관으로 확립된 건 그보다 2 년 전인 1949 년 일 겁니다. 명목상 국가원수로 되어 있는 여왕 (엘리자베스 II)이나 총독은 있으나마나한 존재고, 아마 캐나다 국민 태반은 총독이 누구인지도 모를 겁니다. 저도 잘 모릅니다. 10 년 전엔 웬 중국 할머니였다가 몇 년 전엔 흑인 방송인 출신이었다가 지금은 둗도보도못한 백인 할아버지가 총독실에 앉아있는 걸 사진으로 보았습니다.

기술이민,, 아마 독립이민이라는 카테고리로 불리울 겁니다. 곰돌이님께서 아시는 분은 영주권을 받고 오시는 거겠지요.

요새 영주권 등 체류지위를 확실하게 획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작정 온 가족을 데리고 오는 한국인들이 많은데, 보기가 위태위태하고 불안정합니다. 제 집에도 지난 겨울 그런 분이 몇 달 묵었었는데 결국 한국으로 돌아갔습니다. 하는 말을 찬찬히 들어보니 한국에 있는 이주공사한테 많은 부분을 속은 것 같더군요. 이민은 참 어려운 결정인데,, 경기가 좋지 않고 이민법이 복잡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영주권이 아닌 단기 워크퍼밋만 가지고 이주를 하시는 분들은 신중해야 합니다.
kairtech 2015.07.04 17:52  
밴쿠버섬에사는친구만나고
쿠바가려던계획이
임플란트공사로 무산된후
다시 계획을 짜보려해도
작년 올해  미X녀 ㄴ 때문에 내 비지니스가  개판이되어버려
요즘은  올겨울 추울때 비싼 기름보일러 때는대신
따뜻한  중국 윈난성 멍라라는곳으로 피한갈생각에 잠겨지냅니다

SARNIA 님 계시는곳도  겨울엔 무척 춥겠죠?
sarnia 2015.07.05 00:53  
친구분이 빅토리아나 나나이모 아니면 토피노에 사시겠군요. 혹시 호텔이나 모텔같은 것을 경영하시는 분인가요? 그 섬에 사시는 한국분들 중 숙박업을 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쿠바는 미국 관광객들이 밀어닥치기 전에 빨리 가 보시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제가 있는 곳은 겨울엔 춥지만 친구분 계시는 곳은 제주도보다도 따뜻한 곳 입니다.
추위 때문에 고생한 기억은 없어서 겨울 기후에는 불만 없습니다.
오히려 여름에 너무 더워진 게 조금 불만이라면 불만 입니다.

kairtech 님은 휴가가 무척 긴 것 같습니다.

---------------------------------------

본문 내용 중 세관신고픔목 내용을 조금 바꿨습니다. 김 미역 등 해조류-seaweed-는 신고대상 아닙니다.
kairtech 2015.07.05 19:09  
휴가가 아니고 반백수입니다  ㅜ ㅜ
Bukit 2015.07.09 16:23  
시민권 있는 교포들이 더 갑질하던데 ㅋㅋㅋ 미국교포들이 하던 소리가 생각나서요

"너 미국시민권 있냐? 나 미국시민권자야, 미국왔으면 조용히 있다가 돌아가야지 어디서 큰소리야?"
참새하루 2015.07.15 23:29  
제목만 보고서 왜 저는 대한민국부터 떠올렸는지...

개인적 아나키즘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국가중 하나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어렸을적 부터 신물나게 국민교육헌장과 애국가를
불러온 세대에게는 그저 먼나먼 신기한 나라 같습니다

7월 1일에 저는 로키빙하를 보는 날이었는데
비지터 센터에서 다들 깃발 하나씩 들고 다니는것 보고
국경일인줄 알았는데 그게 캐나다판 건국일이었군요

동족은 동족을 알아본다~~ 에 급공감도 합니다
우리는 중국 일본 한국인을 본능적으로 구별해 내는데
말로는 설명이 안되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