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펌글~ 태국의 현실?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네이버 펌글~ 태국의 현실?

아이패드 12 2171

네이버 카페에서 펌글입니다...태국도 살기 참 빡빡한나라네요.ㅎㅎ(주제와 맞지 않으면 옮겨 주세요~)

태국은 동남아의 경제대국이다.

적어도 동남아에서 만큼은 그렇다.

캄보디아도, 라오스도, 미얀마도 태국 바트화 경제권이다.

그렇다. 태국은 동남아 국가들중 가장 부자인 나라이다.

 

그러나, 최근 태국의 정치상황은 불안하다.

앞으로 꽤 오랫동안 태국은 정치적으로 불안할 가능성이 높다.

태국 정치의 키를 오랫동안 쥐었던 태국 국왕도 노쇠하여 오늘내일 하고 있는  상황이고,

태국의 군부도 과거같은 막강한 힘을 갖고 있지 못하다.

반면에 태국민들의 민주화에 대한 에너지는 그 어느 때보다 왕성하다.

앞으로 태국 정치상황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다보면 한편의 흥미진진한 드라마 못지않은 극적인 반전을 볼 수있을 듯 싶다.

 

태국의 현 정치적 불안은 무엇으로부터 비롯되었는가?

태초의 얕은 지식인지 몰라도 부의 편중화가 극대화되는 현실에 대한 서민층의 분노표출이라고 

단정하고 싶다.

 

전 태국 수상인 탁신 이전에 누가 태국 서민층의 쓰라린 아픔을 달래주었단 말인가?

 

사회안전망의 일환으로 탁신 전 수상은 태국의 기득권층으로부터 포퓰리즘이라는  비난을 받아가면서

의료보험등 태국 서민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정책을 펼쳤다. 

 

탁신 이전 위정자들은 대부분 군부에서 나와 하나같이 기득권층인 왕족, 불교세력, 그리고, 태국의 경제를 쥐고 흔드는 화교들과 적당히 긴장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이면서 물 밑으로는 서로의 이익을 도모하면서 그들의 배를 불리기에만 급급했기에 오늘을 사는 태국 서민들은 그토록 부패를 저질렀던 탁신임에도 그의 컴백을 부르짖고 있는 것이다.

 

탁신의 귀환을 외치는 빨간색으로 대변되는 UDD의 정치적 배경은 흔히 이산(Isan)지방으로 대변되는

태국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인 북동부지역과 치앙마이등 북부지역이다. 

그들은 태국 경제개발에서 항상 소외된 지역으로 한국의 전라도 같이 농업이 주를 이루는 지역이다. 

태국 서민들은 현실이 얼마나 고달프기에 그토록 부패를 저지른 탁신을 다시 찾고 있단 말인가?

 

 

태국의 빈부격차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한국에도 있는 스타벅스 커피전문점에서 아르바이트하는 점원들이 하루 10시간이상 일하면서 받는 1일 임금이 200밧, 우리돈 7천원 정도에 불과하다. 식당에서 서빙하는 종업원들이 받는 1일 임금역시 1일 200밧 수준이다. 좋은 대학을 졸업해도 혈연,지연등 인맥이 없으면 좋은 직장을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한달 임금이 방콕은 7천밧-1만밧, 지방은 6천밧-8천밧 수준이다. 우리돈 20만원에서 30만원정도 수준이다. 그렇다면 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얼마인가?

현재 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6천달러정도로 보고 있다. 한국의 삼분지 일 수준이다.

 

결국, 태국 대졸자들의 평균 월급은 한국의 "88만원 세대"로 대변되는 현 젊은이들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은 결국, 한개의 직업으로는 도저히 희망이 없다는 것을 알고 두개 세개의 직업을 가지고 있다.

투잡(Two Jobs)은 방콕 젊은이들에게 흔한 현실이 되고 있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개선될 가망이 없는 태국의 현실에 그들은 숨쉬기조차 힘든 것이다. 그들 중 상당수는 희망을 접고 될대로 되라 하는 식으로 살고 있다.

 

남자들은 나아지지 않는 현실에 돈을 저축하기보다는 내일을 생각하지않고 있으면

써버리는 소비적인 생활에 젖어있다.

여자들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태국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여성들의 자포자기한 삶이다.

대학을 졸업해도 1개월 월급이 30만원도 안되는 상황이고, 그것 마저도 구하기 힘든 현실이기에 결국

손쉽게 돈버는 방법을 찾는다. 상당수가 가장 쉽게 돈 벌수 있는 방법은 술집에서 일하는 것이다.

 

이들의 수입은 일단 대졸자들 수입 두배이상이다. 몸매좋고 얼굴만 이쁘면 다섯배이상도 쉽게번다.

아무리 일해도 개선되지 않는 현실에 자포자기한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방콕을 중심으로 푸켓,치앙마이, 크라비등 어느 곳을 가도 대학생들을 유흥가에서 발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심지어,  치앙마이의 어느 태국인 여행사 사장은 말하기를 1천밧에 치앙마이 대학생을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말할 정도이다. 치앙마이 대학은 한국으로 말할 것 같으면 지방의 경북대나 전남대정도의 위상을 갖는 명문대학이다.

 

반면에 태국의 부자들은 한국의 부자들이상으로 부자이다.

태국 부자들은 방콕이 그들 생활의 중심이다.

태국의 방콕은 아시아에서 홍콩다음으로 벤츠와 BMW가 많은 도시이다.

방콕 랏차다 지역을 대표로 방콕 곳곳에서 성서에 나오는 소돔과 고모라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향락산업의 극치를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 향락시설의 주차장은 오늘도  벤츠와 BMW로 채워지고 있다.

 

부자들은 대저택에서 매반이라고 불리우는 가정부를 여럿두고 호사로운 생활을하는 것은 기본이다.

그들의 자산은 서울 강남 부자들의 자산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방콕의 신흥부유층들도 서민들의 싼 임금을 최대한 활용해서 요지의 부동산을 싹쓸이하면서

부의 바벨탑을 쌓고 있다.

 

겉으로는 계급이 없다고 하나,계급이 분명히 존재하는 나라,

10%정도에 불과한 사람들이 90%이상의 부를 거머쥔 나라,

왕을 중심으로 하는 왕족, 군부와 경찰 고위간부, 고위관리, 엄청난 부동산을 소유한 불교세력, 금융과 호텔등 관광산업을 장악한 화교재벌들이 상류사회를 이루고 있는 나라가 바로 태국이다.  

 

태국의 이러한 현실을 생각하고 있노라면 한국이 비슷하게 닮아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태국은 상속세가 거의 없는나라이다.

양도세등 부동산 거래세가 미미한 수준이다.

정치를 하는자들이 항상 기득권층에서 나왔기에 모든 정책이 부자들을 위한 정책으로 흘러가고 있다.

결국,부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부자가 더 부자가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고착화되고 있다. 가난한 자가 더 가난해질 수 밖에 없는 사회구조이다.

 

태국은 가난한 자가 부자의 대열에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가 점점더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부자들이 그 사다리를 걷어치우고 있는 느낌이다.부의 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부는 대대로 세습되고, 가난은 대대로 물려받고 있다.

 


#2010-05-24 15:48:51 지역/일반정보에서 이동 됨]
12 Comments
샤논 2010.05.24 14:22  

흠흠.. 아는 이야기야.. 하면서 읽어내리다가.. 한국이 닮아가고 있다는 말에 쇼크네요...

포맨 2010.05.24 14:35  

조단위 세금탈루자에다가, 책임지지도 않고 안전한곳에 숨어서 조종하는 프로파간다의 대가이자, 자신의 입지강화와 추종세력을 만들고자 파벌주의와 지역주의를 부각시킨 전직 맨시티구단주이자 졸부망명객과...
감히 어느분을 동급으로 비교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저 짧은 글줄에 태국인,동남아인들의 내세관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글을 쓰기엔 비유과 비교가 무리스럽네요.
어느나라나 단점만 부각시키면 복지국가들도 한페이지 채울수 있습니다.

아.. 물론 이런글도 있으니 참고하라고 퍼오신글인걸 잘 압니다...
게시글상이니 오해하지 마시라고 첨언합니다...^^

...가만보니...대한민국방으로 스탑오버 가능할수도 있겠네요...-_-  
 
아이패드 2010.05.24 15:42  

사실 아시아 어느나라인들 윗글과 크게 다르겠습니까 ..다만..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나라인 태국의 내면의 모습이 여행자로 바라보는건 만큼  아름답지 만은 않다는는걸 느끼게 해주는 글이라서요...^^ 왜 그렇게 빨간샤츠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싸웟는지 조금은 이해가 갑니다..

요술왕자 2010.05.24 15:49  
원글의 출처(주소)를 명시해 주세요.
Pole™ 2010.05.25 14:31  
하루 빨리 돈을 벌어야겠네요.
찬락쿤 2010.05.25 15:43  
I don't agree with this opinion. Takshin took a bribe already and make many tax cheating. Even  he were  a very excellent leader, why his government cannot seize the authority anymore. Think about this matter.
착한혁이 2010.05.26 19:29  
I agree you'r opinion. Takshin took a bribe.
Pole™ 2010.05.27 01:02  
with가 빠졌네요^^
고로 2010.05.26 00:23  
한 나라의 사회를 다른 나라의 잣대로 판단해서는 안됩니다.
착한혁이 2010.05.26 19:30  
한국사회에서는 열심히 노력하면 맨손에서 부자가 되기가 쉬운 편이나 외국의 경우는

어렵죠. 더구나 외국인이라면... 저는 지금 브라질로 이민을 가려고 준비중에 있는데

물가가 너무 올라서 지금의 상태라면 가기 힘들것 같습니다.ㅠ.ㅠ

더 열심히 일해서 돈을 벌어야겠네요...ㅠ.ㅠ
위싸누꺼다이 2010.07.17 23:33  
자기 그릇 크기 만큼 보는거죠.
예전에 미군 양키들이 한국 여자들 보기를 술집 서빙 보는 애들만 봐오면서
한국의 수준이 어쩌고 여자가 어쩌고 하는거랑 똑같아요.

지금 위에 있는 글은 틀린 의견은 아닙니다...
단.. 1990년대에 태국 현실일뿐... 2000년.. 2010년도의 태국 현실은 아니란걸 잊지 말길 바랍니다.
평상시 주변에 만나는 태국인의 (보통) 임금이 6만밧(240만원)... 15만밧(600만원).. 쉽게 볼수 있고...  왠만한 20대 중반의 젊은이들 초봉이 2만5천 이상가는(100만원) 사람이 평균적이죠.
그 와중에 세븐에서 일하는 일당 350밧짜리 10대 아가씨들만 보고 .. 태국을 평가하는건 ..
우리가 범하는 실수라고 봅니다.
법정 2010.08.26 08:39  
태국 국민소득이 4400불인데 20대 중반의 젊은이들 평균초봉이 100만원?? 말이 안되는데요?
평상시 한국에서 만나는 한국인의 (보통) 임금이 250~600만원인데 태국이랑 똑같네요?
너무 애써 포장하시는듯...

이거야말로 너무나 지나친 일반화의 오류인데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