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싸운 사람들, 먼저 일상으로 돌아간다.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잘 싸운 사람들, 먼저 일상으로 돌아간다.

sarnia 18 763

===================

 

모범적으로 잘 싸운 주가 있다.

캐나다 BC 주다. 

북미에서 코비드-19 바이러스군단으로부터 가장 먼저 침공을 당한 주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먼저 제한적 완화전략으로의 전환을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그래프 기울기가 현재와 같이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면 5 월 부터 일부 일상활동 재개를 시도한다. 

한국계 등 아시아계 집중거주지역이기도 한 BC 주는 그동안 마스크 착용과 소셜디스턴싱에서 괄목할만한 시민의식을 보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990B39405E9A49B92161DF

환호하는 밴쿠버 시내 St. Paul Hospital 의료진들 (사진출처 AP통신)  

 

 

BC 주는 나라가 아닌 주(province)이기 때문에 한국과 같은 예비 전승국 반열에는 들 수 없지만, 

적들의 가장 집요한 집중공격에도 불구하고 최소의 피해로 전염병을 통제하게 된 눈부신 모범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초기에는 메트로폴리탄 벤쿠버 지역이 이탤리나 중국의 후베이 프라빈스처럼 초토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았다.  

그들은 중국과 이탤리에서 벌어진 일들을 주의깊게 관찰했고, 특히 한국, 타이완, 홍콩을 겸손하게 벤치마킹했다.  

 

BC 주는 캐나다 서부해안에 위치한 주다. 

면적은 약 95 만 평방킬로미터 (한국의 약 10 배)이고, 인구는 약 5 백 만 명이다. 

전체인구의 절반가량인 약 250 만 명이 메트로폴리탄 밴쿠버에 몰려산다. 

 

오늘 현재 BC 주 확진자 수는 1,618 명이고 이 중 983 명이 회복되었다. 

전사자 누계는 77 명이다.

 

캐나다 전체 확진자 수는 31,927 명이고 이 중 10,560 명이 회복되었다. 

전사자 누계는 1,310 명이다. 

 

BC 주의 이웃주이자 싸르니아가 사는 알버타 주의 확진자 수는 2,397 명이다. 

전사자 누계는 50 명으로 치명율은 낮은 편이다. 

 

캐나다의 후베이 또는 캐나다의 신천지라고 불리우는 퀘벡주의 확진자 수는 16,798 명이다. 

인구가 훨씬 많은 온타리오 주 보다도 8,000 명이 더 많고, 

캐나다 전체 확진자의 절반 이상이 퀘벡주에서 발생했다.

퀘벡주는 프랑스어권이다.  

 

 

9938E6385E9A4D0421AA63

 

왠지 웃어도 눈물이 떨어질 것 같은 슬픈 관상의 사진 주인공은 알버타 주 보건 최고책임자 Dr. Deena Hinshow 다. 

현재 알버타 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이다.   

알버타 주 출신은 아니고 노스웨스트 준주 옐로나이프 출신이다. 

옐로나이프는 오로라 구경으로 유명한 동네다. 

BC 주 보다 많은 확진자를 발생시킨 방역실패에도 불구하고, 2 퍼센트 대의 낮은 치명율을 유지하고 있는 점은 평가할만하다.  

 

 

99D9833A5E9A4D231FD98C

캐나다 연방정부 보건최고책임자 Dr. Theresa Tam 이다.

홍콩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자랐다. 

레지던시는 알버타 주립대학 (에드먼튼) 에서 펠로쉽은 UBC (밴쿠버)에서 수료했다. 

모든 사람들을 집구석에 있게 한 이 사람이야말로 현재 캐나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이다. 

3 월 중순부터 강력한 containment strategy(봉쇄전략)를 도입했고, 

미국국경봉쇄를 관철시켜 바이러스 전파를 상당부분 저감시키는데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BC주의 완화전략으로의 전환계획은 그야말로 조심스러운 낙관(cautious optimism)에 기반한 것이다

무턱대고 길거리에 뛰쳐나와 '자유를 달라'며 시위나 하는 미국 미시간 주 (인구 1 천 만 명 중 확진자 30,000 명, 전사자 2,227 명)의 저 바보들과는 상황이나 개념 자체가 다르다.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바이러스군단이 가을에 재침공할 것을 예상하고, 호흡기와 ICU 병상을 미리 충분히 확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것도 병행한다. 

캐나다의 다른 주들은 지금 전략 전환을 조심스럽게 시도하고 있는 BC 주만 바라보고 있는 중이다. 

 


 

 

 

 

 

 

18 Comments
필리핀 2020.04.18 11:21  
카나다 총리는 와 그런데요?
국민은 가택연금 시켜놓고
지는 가족여행 가다니...
이웃나라 또람프 닮아가나요?
sarnia 2020.04.18 11:34  
그것보다 더 웃긴 뉴스 있어요.
트윗에 문재인 대통령의 재선(re-election)을 축하한다고 했대요.
한국이 내각책임제 하는 나라인 줄 안건지 잠시 착각을 한건지는 모르겠어요.
그 말 빼고 나머지는 진지한 메시지였는데..
냥냥 2020.04.18 11:51  
ㅋㅋㅋ
돌이킬 수  없는 sns실수.
sarnia 2020.04.18 12:12  
전 보지도 못했어요.
금방 지웠다고 하는데, 어느새 트윗이 돌아다니고 있네요.
=============
부인이 감염되어 둘 다 자가격리 했었는데 완치판정받고 나서 퀘벡주에 있는 별장에 간 모양이군요.
별장이 주경계에 있는지 오타와에서는 27 km 밖에 떨어져있지 않은데, 부활절휴가 자체보다는 주경계를 넘어 퀘벡주로 갔다는 게 쟁점인 것 같아요.
주경계를 넘는 여행을 하지 말라고 권고한 적이 있거든요.
필리핀 2020.04.18 12:01  
저도 그 트윗 보고
아직 철부지구나 생각했어요
카나다 총리도 그렇지만
프랑스 대통령도 믿음이 안 가요
정치는 연륜이 필요한 분야인데
정의감만 있다고 되는 건 아니지요
sarnia 2020.04.18 22:17  
영화 아이리시맨에서 지미호파가 캐네디가 당선되는 걸 보고 화를 내며 이런 말을 했어요.

“쟤가 아이리시라는 것도 좋고 카톨릭이라는 것도 상관없어, 그런데 딱 하나 안 되는 종류가 있어, 부잣집 애새끼들은 안 돼’

트루도는 말하자면 금수저 출신 (아버지가 피에르 트루도 전 수상)인데, 40 대라는 어린 나이와 맞물려 철딱서니가 없다는 비판을 종종 들어왔지요.

아무리 그래도 노망난 트럼프에 비할 바는 아닙니다.
 
지지율 폭락하고 전염병 창궐에 대한 책임이 자기에게 떨어질 판이니까, 황급히 그 책임을 국제기구에 돌려대는 거 보세요. 정말 비겁한 놈 입니다.

사실 미국은 역설적이게도 이 전염병 사태로 이후 가장 큰 혜택과 호황을 누리게 될 거의 유일한 나라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 엄청난 인명피해을 야기한 주범은 미국 대통령 자신 입니다.
그의 범죄적 직무유기와 잘못된 선동(독감론)이 미국의 비극을 초래했으니까요.
그를 반대하건 지지하건 미국에서 그거 모르는 사람 없습니다.
필리핀 2020.04.19 06:12  
저는 또람프는 인간 취급 안합니다
이명박+박근혜 캐릭터에요
sarnia 2020.04.19 06:50  
박근혜는 모르겠는데, 이명박하곤 닮은 점이 많죠.
같은 ‘도둑놈과’니까요. 
무대뽀 이기주의자에 자뻑 이승만하고도 닮은 점이 많아요.
(정치 이야기 아닙니다. 흘러간 사람들 인물평입니다)

어차피 전염병에 대한 최종책임은 각 나라가 지는 겁니다.
누가 일부러 만들어 뿌린 게 아니라면요.
미국과 유럽 대부분의 나라들은 정부도 정부지만 시민들이 반성할 점도 많아요.
캐나다도 마찬가지예요. 사람들이 이제야 정신을 차리고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군요.
필리핀 2020.04.19 08:10  
코로나 초기에 마스크 안 써도 된다고 떠들던 사람들...
지금쯤 반성은 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자기 혼자 잘못되는 거야 상관없지만
왜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민폐 끼치는 짓을 하는지...
sarnia 2020.04.19 09:12  
사실 마스크에 관해서라면 민간인들보다는 WHO 와 각국 보건당국 책임이 커요.
소모품인 마스크를 전부 쓰게되면 공급문제가 생길것 같으니까 애매모호한 매뉴얼로 사람들을 오도했잖아요.
오도라기보단 일종의 misleading truth죠. 

WHO 마스크사용방법을 보면 이게 쓰라는건지 말라는건지 제대로 알기가 어렵게 되어있고,
마스크 잘못 사용하면 안 걸릴 병 걸려 죽을 수 있으니까, 너는 될 수 있으면 쓰지 말라는 소리같기도 하고.

오늘 마트갔는데 인종,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하나같이 다 마스크를 쓰고 있네요.
마스크 없다고 아우성이더니 다 어디서 났는지 모르겠어요.
하긴 뭐 나도 종류별로 다 있으니까..   

소셜디스턴싱 때문에 줄을 2 미터 간격으로 서야하고 점원이 앞 손님 계산 다 끝내고 콘베이어 소독할 때까지 자기 물건 못 올려놔요.
계산하는데 30 분이나 걸렸는데 그동안 감자탕 세트 산 거 상하지 않았을까 걱정이 되었어요.
sarnia 2020.04.19 01:30  
그건 그렇고,

그 많은 사람들이 마냥 집구석에 들어앉아만 있다고 누가 밥을 평생 떠 먹여주는 게 아닌만큼,
이제 조심스럽게 저위험군 부터 제한적 일상활동을 시작해야 하겠습니다.
먼저 오프닝하는 주들이 어떻게 하는가 잘 보고 살살 따라하면 될 듯.

앞서서 가나니 산자여 (조심해서 살살) 따르라.
타이거지 2020.04.19 05:05  
Today..my study!!
캐나다 BC=잘 싸운 주=모범주=희망주=sarnia 님이 사는 알버타의 이웃주.
그리하여....살아 숨쉬고 있다면....보고..느끼고...비 케어플 하면서..워치 아웃 하면서..
살살~따르다 보면..해방의 기쁨과 함께..고투 에어포트 ㅠㅠ 언능 갈 수 있다!!
캐나다 총리는,철딱서니가 엄따.
노망난 또람프는 비겁하기 까지 하다!!
거지 공부 끄읏~!! ㅡ..ㅡ"
그건 그렇코....
사계의 눔부신 영상속에..잔잔히.심금을 울리는 에버그린...어~흑! ㅠㅠ
떠나고 시퍼..미쳐 버리기 일초 직전이지 말입니다 ㅠㅠ
sarnia 2020.04.19 05:49  
한국이 희망국.
끝까지 잘 해 주어야 합니다.
비씨가 희망보이고 오프닝 준비한다니까 연방정부에서 다른 주들과 보조맞추라며 압력이 들어오는 모양이네요.
이럴 땐 할 수 없이 우수반 돌반 나눠야지 무턱대고 다함께 가다간 전부 돌 되는 수 있는데요.
오늘 연방정부에서는 김 빼는라 미국국경봉쇄 30 일 더 연장한다고 발표하네요.
저 홍콩계 아줌마가 또 역할을 한 게 틀림없어요.
오케이, 미국국경봉쇄는 저도 찬성합니다.
그런데 저 아줌마 솔직히 별로입니다.
언제는 판데믹이 캐나다로 확산될 위험이 low 하다고 하더니, 갑자기 전부 집구석에서 나오지 말라는 강경봉쇄론을 펼치고..  왜 그런 입장변화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Chief Public Health Officer of Canada(연방공중보건최고책임자)가 공식직함인데 보건장관은 온데간데없고 판데믹과 관련해서는 정부결정에서부터 일일브리핑까지 혼자 다 하는 것 같아요.

다들 우왕좌왕 하고 있지만, 지금 농장주들이 가장 아우성이예요.
농장일손들은 거의 다 신참 외노자들이 맡아왔는데 그들이 못 들어오니 갑자기 일손이 절대부족해 진거지요.
임시실직에 들어간 사람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그들은 농장일 안 합니다.
정부에서 시키는대로 부부가 집구석에서 놀고 있으면 통장으로 4 주에 4 천 불 씩 따박따박 들어오는데 누가 땀 뻘뻘흘리며 농장일을 하겠어요?
뭔가가 잘못 돌아가고 있어요.
이런 상황 오래 갈 수 없어요.
제가 지난 번에 맥시멈 16 주 라고 했는데, 그 안에 무엇이든 결단을 내려야 합니다.
타이거지 2020.04.19 07:03  
I know myself^^!
sarnia=우수반.
타이거지=똘반.
그래도 나누기는 할 쭐 알져?! ㅡ..ㅡ"
아는게 없으니,함께 할 순 없어도..태사랑 우수반원들에게 기웃거리고,
꼽사리 껴서..보고 느끼며 배우는 재미로 삽니다^^! ㅡ..ㅡ"
울 국민 모두의 희망이 조속히 이루어 지도록 간절히~기원하며..
사르니아님이..환한 미소로..한국의 가을 정취를 만끽하기를..바라겠습니다^^!
sarnia 2020.04.19 09:04  
올해에 한해,, 여름이라도 좋습니다 ^^
그 혹독한 한국의 여름더위가 지금의 답답함보다는 훨씬 나을 것 같아요.
지난 가을여행의 기억이 마치 몇 년은 지나간 일 같네요.

나중에요. 혹시나 한국전쟁 겪으신 선친과, 일제강점기 관통하신 -얼굴도 뵌 적 없는- 할아버지 만나면 할 말이 생겼어요.
내가 산업혁명 이후 인류최악의 지구재난을 겪고 왔다고.
비육지탄 2020.04.19 10:14  
제가 경제 돌아가는걸 잘 몰라서 그런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현재 국제유가가 완전히 폭락하고 있는 상태고
급전이 필요한 미국은 달러를 마구 찍어대고 있으며
헛다리 행정으로 트럼프 본인도 심각한 정치적 리스크를 안고있는데
미국에 유래없는 호황이 올것이다 거듭 말씀하시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sarnia 2020.04.19 22:07  
좋은 아침.

경제 돌아가는 건 경제학자들도 잘 모르는 것 같으니 제가 뭘 안다고 할 수 없습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미국은 경제작동원리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열외국가인 경우가 종종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것도 대위기가 닥쳤을 때만 말이죠. 

연준이 추진하고 있는 3000조 원 규모의 특별지원예산은 국내용인데, 규모보다도 지원대상이 특이해요. 개인에서부터 파산일보직전의 소상공인, 부실기업 정크본드까지 총망라하고 있습니다. 경기부양이 목적이라기보다는 가계를 지원하고 부실채권을 사전에 제거하는 금융방어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얼마전에 NBEP 인쇄기 풀가동해서 달러를 미친듯이 찍어내고 있을 거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 목적은 위에 언급한 3000 조 특별예산을 위해서가 아니라, 코비드19 이후 전후복구지원과 투자를 위한 것이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고 봅니다.

2008 년 금융위기때 막대한 규모의 양적완화를 밀어부친 적이 있는데, 당시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이 미국과 세계가 언젠가 그 댓가를 치를것이라고 이구동성으로 말했어요. 전문가들의 그때 예측은 틀렸다는 게 증명이 되었죠. 세계는 몰라도 미국은 댓가를 치르기는커녕 이후 10 년 간 호황을 누렸습니다. 코비드19 가 미국에 본격적으로 상륙한 지난 달 초 까지도 말이지요.

지금 연준이 추진하고 있는 전후복구예산규모는 12 년 전 금융위기 때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무제한이라는 정설이 맞을 겁니다. 한 번 경험했기 때문에 무제한 양적완화에 대한 두려움도 별로 없어요.

어떤 사태의 세계재난의 파도도 미국이 타고넘어 결국 건재할 수 있는 이유를 딱부러지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렇게는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미국은 식량, 에너지, 기축통화, 패권을 동시에 다 가지고 있는 나라입니다. 식량과 에너지는 자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 3 대 곡물기업과 금융자본시스템을 토대로 전 세계의 목줄과 돈줄을 다 쥐고 있지요. 그에 더해 군사와 통화패권까지. 인류역사상 이런 파워를 가진 제국은 일찌기 존재한 적이 없습니다. 

미국셰일산업파산 이야기를 하는데, 미국 셰일산업은 2015 년에도 거의 파산했었어요. 파산했다고 인프라와 기술이 함께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나중에라도 다른 오너에게 인수합병될 뿐 이지요.

코비드19 이후에 나라들이 다 문을 걸어잠그고 국제분업구조가 사라질 것이라는 소리를 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건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코비드 이후에도 국제분업구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달라지는 것이 있다면 중국의 위상이겠죠. 미국은 중국의 숨통을 끊어버리지는 않겠지만, 재기불능수준의 2 류국가로 주저앉혀 다시는 까불지 못하도록 족쇄를 채워버리려고 할 겁니다. (뭐 지금도 이류국가이기는 마찬가지지만) 

미국은 달러패권을 기반으로 물에서 건져내야 할 놈과 익사하도록 내버려 둘 놈을 나누어 선택할 것 같습니다. 아마 연초에 통화스와핑을 한 나라들이 전자에 속한다고 보면 일단 무리가 없을 겁니다.
비육지탄 2020.04.20 00:20  
네ㅎㅎ 굿모닝 But 저는 굿나잇ㅎㅎ
한국에선 현재, 적어도 한국경제는 올해 역신장을 기정사실화 하는 분위기고요
미국도 유럽도 장기불황의 우려가 재기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유행어가 또 생각납니다
We'll see what happen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