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기분나빴던 어느 교회에서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참 기분나빴던 어느 교회에서

sarnia 5 782

 

======================================

 

 

992FA83359F5D08C1465A2 

991A1C3359F5D0C006BC1F 

99224A3359F5D0CC0580EF

9995813359F5D151195E21 

99F0A53359F5D10804FF74 

9932983359F5D10B3AC8FC 

9938283359F5D9CF27FED9 

9932763359F5D1141D3860 

99C7223359F5D173153889 

99C5AD3359F5D1961CCADB 

99D8C93359F5D1A21A3D3C 

997CAE3359F5D1AF2763EC 

99C5D83359F5D2600F8FCA 

9991823359F5D1B524824E 

99E5723359F5D1BB1AB784 

997E393359FBC53E0FD256 

99E3273359F5D7241BB162

 

 

 

부석사가 경북 영주시에 있어야 하듯이

경복궁은 북악산 자락 아래 그 자리에 그대로 보존되어야 한다.

유적의 원형보존에만 치중하여 미이라로 만들거나 박제화 시키기보다는

유적 자체를 박물관으로 활용하자는 의견을 지지한다.

 

 

다른 유적들과는 달리 건축물 유적은 원형이나 재료의 보존보다는

건립정신과 의미를 전달하는데 그 본질적 기능이 있다. 

대한민국 대표 유적인 경복궁 전체를 사람이 드나들 수 있는 생활 박물관으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만한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현존하는 건축물 유적의 박물관 전환에 대한 타당성 여부가 확정될 때 까지 국립민속박물관은

원안대로 사대문 안 유적들과 가까운 용산으로 옮겨 중앙국립박물관과 연계운영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유적과 박물관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교체할 수는 있으나 위치를 바꾸는 문제는 신중해야 한다.

세계 어느 나라도 지역균형발전을 이룬다며 유적이나 박물관을 그 유래와 동떨어진 허허벌판으로 옮기지 않는다.

 

대한민국의 지역균형발전론자들 중에는

지역균형을 땅의 면적당 인구 및 시설의 질량이 비슷비슷해야 하는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들 중 상당수는 도시인구집중현상을 증오하기도 한다.

인구와 자원이 집중된 대도시가 어떻게 정보교류를 극대화하고 문명을 확대재생산했으며,

다양성과 개인의 자유, 인권의식을 확산시켜왔는지 이해가 부족한 촌락공동체주의자들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을 세종특별자치시로 옮긴다는 발상을 누가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그 지역과 다른 이해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면 

순박한 무대뽀 지역균형주의자임이 분명하다.  

 

대한민국 인구 절반인 2 천 5 백 만 명이 거주하는 600 년 역사의 수도문명권에서

인구 30 만 명의 신생도시 세종시로 옮길 수 있는 게 있고 옮길 수 없는 게 있다. 


진영논리에 매몰되어

일부 지역이기주의자들이나 엉터리 지역균형론자들의 설득력 떨어지는 논리나 고집에 마음에도 없는 지지를 보내거나 침묵을 지킬 게 아니라

다른 생각이 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말할 필요가 있다.

 

 

99F0053359FE32C63A39C5

 

생활박물관 이야기가 나왔으니까 하는 말인데,

서울 중구 저동 백병원 앞을 지나가다가 박물관으로 삼기에 안성맟춤인 멋진 교회 건물 하나를 발견했다. 

사실 이 교회 안으로 들어섰을 때 무척 기분이 나빠지는 것을 느꼈었다. 

출입구 옆에 독불장군처럼 주차하고 있는 저 검은색 렉서스 승용차 때문이었다. 

혹시 장애우 스티커가 붙었있나 보았으나, 그런 것도 없는데 왜 저 승용차가 주차장이 아닌 저 장소에 혼자 주차하고 있는 것인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어쨌든 그건 그렇고,

이 건물은 해방 직후 활동한 극우폭력단체인 서북청년회 (서북청년단이라고 이름이 전해지기도 한)의 산실이 된 곳으로 알려진 바로 그 교회 건물이다.

그런 사실이 있다는 걸 누가 일부러 캐낸 것도 아니고, 지난 2000 년 작고한 이 교회 원로 목사가 스스로 자랑처럼 고백한 말이다.  

마침 바로 옆에는 일제강점기부터 인권탄압으로 유명했던 중부경찰서가 찰떡궁합처럼 함께 붙어 있으니,

정부가 해당 교회 교인들의 동의와 중구 구민들의 공청회를 거친 후 건물들과 토지를 매입하여 해방전후사 인권박물관 중 하나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생각일 것 같다. 

 

99480E3359FE3E3411CE65

 

옛 서울역 건물은 박물관이 아니라 미술관이 되었다고 한다.

역이었다가 미술관이 된 오르세 미술관을 본 딴 것이라는 비판도 있으나,

본을 땄든 어쨌든 나중에라도 잘 운영되고 관람객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면 그걸로 성공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물론 서울역 미술관이 오르세 미술관처럼 성공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저 교회 십자가를 보자마자 정신이 혼미해지며 누가 가르쳐주기라도 한 듯 번개처럼 떠오른 내 '느낌'대로라면,

저 교회와 중부경찰서를 한데 묶어 현대사 박물관으로 삼을 때 세계적인 인권박물관으로 반드시 대성공을 거둘 것 같다.  

 

 

해당 교회 교인들과 경찰청의 결단을 기대한다.  

 

https://thailove.net/bbs/board.php?bo_table=freetalk&wr_id=161140&sfl=wr_name%2C1&stx=sarnia&sop=and&page=3

 

# 위 링크는 이 교회와 관련된 사건을 다룬 글 (3 년 전)

 

 

 

5 Comments
참새하루 2017.11.05 17:16  
해동 화엄종의 본산 영주 부석사를 다녀오셨군요
가을이 막 무르익어가는 계절에 단풍 구경은 잘하셨는지요
영락교회 한경직 목사를 비롯한 비슷한 교계 지도자들이
한국 교회의 초석을 닦았음에 오늘날 한국 개신교계가 있겠지요

자라난 나무를 보면 예전에
그 뿌리를 심은 사람을 알수 있듯이요

sarnia님 말씀대로
중부경찰서와 영락교회를 묶어 인권박물관으로
남산과 서빙고는 인권박물관 분점으로 역사에 남기면
더 좋겠습니다
서울역이 미술관이 되었군요 언제?
서울역에서 몇번이나 기차를 탔지만
구건물이 미술관인줄은 몰랐네요
sarnia 2017.11.05 22:56  
아마 꽤 되었을걸요. 역사 앞에 강우규 열사 동상이 있는데, 저 건물 근처에 잘 가지 않게 되는 이유는 주변 분위기가 별로여서일 겁니다. 보수단체 집회도 많이 열리구요.
작년 봄엔가 남영동(구 치안본부 대공수사단 분실)에 가봤는데 관리가 전혀 안 되고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은 좀 나아졌으려나요.

아침인데, daylight saving time 이 끝나니까 해가 일찍 뜨는대신, 이제 네 시 반이면 어두워지는 계절이 되었군요.
Pole™ 2017.11.06 17:18  
영락교회야말로 서북청년단의 산실이자 이 나라 수구친일개독세력의 총본산이라고 할 수가 있죠
고구마 2017.11.06 23:42  
와....사진의 색감이 그야말로 어마어마하네요.
오늘 홍수를 피해 인근도시로 피신해서는, 방안에서 줄곧 빗소리만 듣고 있다가 첫번째 사진 보니까...
울컥합니다. ㅠㅠ
sarnia 2017.11.07 10:52  
이 글은 당초 세종특별자치시의 존속여부에 대한 토론의 출발로 삼으려고 대한민국방용으로 작성했다가, 사진도 멋지고 하여 그저 잔잔한 여행기 비슷하게 내용을 축소-순화하여 이 곳에 올린 것 입니다. 그러다보니 본문 (국립민속박물관에 대한)이 누구에게 하는 이야기인지 다소 뜬금없어진 감이 있는데, 도종환 시인 선생과, 그와는 별도로 일부 수도이전론자들을 염두에 두고 작성했다는 것 정도는 알려드려야 할 것 같군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