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크루이스 풍경중독에 대하여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레이크루이스 풍경중독에 대하여

sarnia 13 855

--------------------------------------------------------

 

2572474B579405F5327D50

 

 

이른아침의 레이크루이스를 보기 위해 새벽 세 시 삼십 분에 집을 나섰다. 

밖은 아직 깜깜한 어둠이었다. 

밤 열 한 시까지 훤하고 새벽 네 시면 동이트는 에드먼튼의 여름에 이런 깜깜한 밤이 있다는 게 생소한 느낌이 들었다. 

2 번 고속도로에 들어서자마자 하이빔과 안개등을 켜고 121 km/h 에 순항속도를 고정시켰다. (제한속도 110km/h + grace limit 10 %)

출발한지 한 시간 쯤 지나자 북동쪽 하늘에 동이 트기 시작했다. 다섯 시간이 지난 아침 여덟 시 삼십 분 경에 레이크루이스에 도착했다.  

 

 

 

2760AD48579406700624DA 

 

 

1990 년 6 월 어느 날 처음으로 마주친, 그 깜짝 놀랄 정도로 아름다웠던 풍경반사가 너무나도 '충격적인 기억'으로 각인됐기 때문일까?

레이크루이스 단 하나를 보기 위해 가끔 이렇게 먼 길을 달려가곤 한다.  

 

오늘도 실패다. 

바람이 부는 날이라 물색이 탁했고 풍경반사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실망감이 들지는 않는다. 

다른 록키의 호수들에서는 결코 느낀 적이 없었던, 저 차갑게 가라앉은 풍경에서 뿜어져 나오는 엄청나게 강한 기(energy) 가  

다른 감정을 느낄 여백을 전혀 남겨놓지 않고 나의 심장을 압도해 버리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26 년 동안, 세어보진 않았지만 줄잡아 백 번 이상을 왔는데도 신기하게 올 때마다 마치 처음 본 느낌을 받곤한다. 

 

문득 유키 구라모토가 첫 상면한 레이크루이스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을까 궁금해진다. 

깊은 영감을 얻었다는 레이크루이스와의 첫 상면 이후 저 작곡가는 레이크루이스에 몇 번 이나 더 다녀갔을까? 

저 사람도 여기 올 때마다 싸르니아처럼 매번 마치 처음 본 것과 같은 새로운 감흥을 느꼈을까?     

 

 

2524024C5794062E326A1D

 

276B0E4C5794063202AAA4

 

231A6C4C579406353876D6

 

2565F54C5794063B052390

 

253B294B5794060705B193

 

235F57485794065F078572

 

2265AC485794066302D87A

 

251577485794066635E089

 

255B55485794066C0A215B

 

2566114857940673025B17

 

 

사실 경치라는 게 보통 소문이나 사진보다는 못한 게 상례인데,, 

레이크루이스는 그런 상례를 우습게 뒤집어버리는 보기 드문 장소들 중 하나다. 

 

타지마할이 대칭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면,

레이크루이스 역시 그 매력의 핵심은 조화와 균형이라고 해도 좋을 듯 싶다. 

인공적 균형과 자연의 균형이라는 점이 각각 다를 뿐이다.

 

누가 싸르니아에게 레이크루이스에서 받은 느낌을 말로 표현해보라고 주문한다면,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

 

 

잔혹할 정도로 차갑고 고요하다.      

 

 

 

27628C485794068F0538CC

 

 

열 시가 가까워 오자 단체여행객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 온 단체여행객들은 저렇게 모여서 가이드 설명을 듣는데 여념이 없다. 

검색하면 다 알 수 있는 뻔한 내용들이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이며 세계 10 대 절경 중 하나이며 호수 이름은 루이스 캐롤라인 알버타 공주의 기븐네임을 딴 것이고, 이 호수가 있는 주 이름은 그 여자 서방 이름을 딴 것이며 앞에 있는 산 이름은 빅토리아 할망구 이름을 딴 것이다 등등. 

 

먼 나라에서 어렵게 와서 머무는 시간도 짧을텐데, 그런 강의듣는데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다는, 유키 구라모토처럼 무슨 '영감'이라도 하나 씩 얻어갈 수 있도록, 적어도 레이크루이스에서만큼은  여행자들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한 자유를 주는 배려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13 Comments
미미르2016 2016.07.24 12:52  
와.. 정말 아름답네요!! 절로 감탄이...!!
참새하루 2016.07.24 17:06  
저런 천국의 절경을 앞마당에 두신듯
마음 내킬때 마다 가서 볼수있는
sarina님은 전생에 큰덕을 쌓으셨나 봅니다
레스또랑 2016.07.24 18:36  
아 좋네요 사진도 노래도....
참새하루 2016.07.25 00:44  
일년에 몇번 보기 힘든
물색과 산의 반영이 조화를 이룬다는
그런날을 보는것도 큰 행운일듯합니다
사진에서 보듯이
약간은 구름이 낀 두터운 질감의 색감이
레이크루이스에게는 제격이란 생각이 드네요
빨간 카누가 있는 사진이 제게는 최고 점수를 드리고 싶습니다
카누 빌려 타는데 얼마일지 몰라서 못타본게 후회되네요
sarnia 2016.07.25 01:33  
오, 근데 저는 저 커누가 맘에 안 들었습니다.
바람이 살살불어 호수의 거울현상이 가뜩이나 희미해졌는데 저 커누때문에 물결이 더 일었으니까요 ^^
보통 늦은 오전붙 커누영업을 시작했는데 저 날은 좀 더 일찍 시작했네요.
티하우스까지 두 시간 정도 걸리는 하이킹도 좋습니다. 오래돼서 하이킹 시간은 확실하지 않은데 저 빅토리아 글레이셔를 좀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습니다.
분위기 망칠까봐 앞에 있는 샤토 레이크루이스 호텔 사진은 일체 올리지 않았는데, 그 호텔 로비에서 커다란 창으로 호수를 감상하며 즐기는 티타임도 괜찮구요.
참새하루 2016.07.25 17:37  
에구 그저 스쳐 지나가기 바쁜 나그네의 일정에
sarnia님 처럼 하이킹에 티타임은 그저 그림의 떡일 뿐입죠
루이스레이크의 여러가지 모습들
한밤중에 밝은 달이 걸린 호수의 반영도 멋질것 같고
정오의 파란 하늘이 비친 거울수면의 모습도 멋질것 같습니다
제목을 중독으로 쓰셨는데
이런 잔혹할 정도로 차갑고 고요한
매력이라면 중독될만 합니다
sarnia님은 로테에게 첫눈에 반해서
사랑에 빠진 베르테르처럼
루이스양에게 푹 빠지신듯... 
그나 저나 일년만에 들어보는
피아노연주곡 다시들어도 좋습니다
sarnia 2016.07.25 11:34  
본문에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바로 집습니다. 캐나다 사시는 어느 분께서 알버타가 여자이름 아니냐는 질문을 하셔서 공주의 가계를 다시 찾아보니 그의 남편 이름은 John Campbell, the 9th Duke of Argyl 로 Albrata 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지 않네요. 흔히 루이스 공주의 sur name 이 Albrata 라 으례 남편 성을 따랐겠거니 하고 그렇게 알려져 왔던 것 같습니다.

Alberta 라는 이름은 Albert 의 feminine name 으로 루이스 공주 이름 중 하나인데 아마도 그의 아버지이자 빅토리아 여왕의 남편 Albert 에서 상속된 이름 같습니다. 알버타 주 이름의 기원에 대한 설명에는 그냥 루이스 캐롤라인 알버타 공주의 이름에서 따 왔다고만 되어 있습니다.

암튼 캐나다에서 영국계 인구는 20 퍼센트 미만이고, 알버타 주민 대다수는 주 이름의 기원이 영국공주의 이름인지 어느 도시 뒷골목 빵장수 이름인지 관심도 없겠지만 서부 주들의 지명은 아직 영국 식민지의 잔재들이 많이 남아 있는 편 입니다.
참새하루 2016.07.25 17:42  
저는 알버타 하면 소고기 햄버거가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
그이름이 공주 이름에서 유래한것이었군요
영제국이 한창 잘나갈때 세계 곳곳에 지들 맘대로
지명에 자기 이름을 붙이고 다녔으니 한편으론
식민침탈의 아픔이 느껴지도 합니다
원래 그곳에 살던 인디언들은 어떤 이름으로 불렀을까 싶기도 하고요
캐나다 인구중에 영국계가 20퍼센트 밖에 안된다니 그것도 놀랍네요
프랑스와 영국
먹는놈이 장땡인 시절의 산물이 캐나다라는 나라였을까나요
sarnia 2016.07.26 08:44  
전에 알았었는데 잊어버려서 다시 찾아봤어요. Lake of the Little Fishes (작은 물고기들의 호수) 라고 불렀다는군요. 스토니라는 이름의 종족명을 가진 First Nations 가 부른 이 호수의 이름입니다. 여기서는 native people 을 부르는 헌법적 공식명칭이 First nations 입니다. 캐나다에 첫번째로 정착한 민족이라는 의미입니다.
근데 아무래도 저 차가운 물에서 물고기가 살 것 같지는 않군요. 본 적도 없는 것 같고요.
어랍쇼 2016.07.26 02:54  
구름이 너무 이뻐서 풍경반사 됐다면 정말 멋진 사진이 나왔겠네요.
여긴 열대야에 폭염에 축축 늘어지는데ㅜㅜ
그래도 사진보니까 잔혹할 정도로 차가운
느낌보다는 시원하네요~~
꽃하나만 더 더해져도 사진의 느낌이 완전 달라지네요.
sarnia 2016.07.26 08:49  
그렇군요. 점점 더워지는 거 같아요.
누구한테 들은 이야기로는 곧 서울에 파인애플 가로수가 생기고 산 속에서는 버마비단뱀이 출몰할지도 모른대요.
친구가 지금 한국에 갔는데 더워서 아무데도 안가고 숙소에만 처박혀 있다고 하는군요 -_-
옛날에는 8 월 말에는 (처서 지난 후) 선선해졌는데 이제는 9 월 말까지도 더우니,,
일년내내 한국의 10 월 같은 날씨만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참, 저 꽃 양귀비예요. poppy 라고 하는데, 호텔 뜰에 저 꽃이 많아요.
쿠니사랑 2016.07.26 15:55  
아 진짜... 저 올해 7월에 록키 근방 여행갔는데 진짜 인생여행이었어요 ㅜㅜ
특히 레이크루이스는 사랑입니다. ㅜㅜ
저 무조건 신혼여행 록키 근방으로 갈거에요 꼭!
이야기꽃님 2016.07.29 06:43  
너무 가보고싶은 곳이에요. 유기구라모토덕분에...알게된 곳인데..언제가...가볼일이 있겠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