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찌 받은 것도 십일조를 내야 하나요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뽀찌 받은 것도 십일조를 내야 하나요

짤짤 2 517

예수 사후, 그를 따르던 제자들과 추종자들은 그리스도 공동체를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면서

<제 재물을 조금이라도 제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는> 생활을 했습니다.

<밭과 집 있는 자는 팔아 그 판 것의 값을 가져다가

사도들의 발 앞에 두매 저희가 각 사람의 필요에 따라 나눠줌이더라.>

물론 협동과 무욕으로 충만할 것 같은 이 집단에도 오점은 있었습니다.

몰래 뒤로 재산을 빼돌리고도 자기는 전부를 바쳤노라고 주장하는

사례들이 있었던 것입니다.

아나니아와 그의 아내 삽비라가 그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그들의 거짓말을 알게 된 베드로는 두 사람을 꾸짖었고,

그들은 그 자리에서 거꾸러져 죽었다고 성서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그들은 수치스러움에 자결을 했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거짓말쟁이를 가리키는 속칭으로도 쓰이는 아나니아(ananias)

히브리어 이름 하나냐의 그리스어 형태입니다.

구약에 이 이름으로 언급된 사람들 중 가장 비중 있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예레미야 시대의 예언자 하나냐가 

거짓 예언으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는 것은 참으로 흥미로운 일입니다.

 

자신의 거주할 집을 제외한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노라고 공언하신 분이 계십니다.

차명으로 부동산 같은 건 보유한 적이 없다는 말씀도 하셨지요.

국내에서 손가락 안에 드는 대형교회의 장로를 지내신 분이 하신 말씀이니 믿어야겠지요.

건설업에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리베이트의 메커니즘에 대해 알고 계실 겁니다.

속된 말로 <뽀찌>라고 하죠.

건설업계에서 잔뼈가 굵으신 그분께선 누구보다 그 생리를 잘 아시리라 믿습니다.

단군 이래 최대의 토목사업을 추진하신 분이니 더 이상 말하면 입만 아프겠지요.

이 나라를 하느님 성전에 바치겠다고 공언하실 정도로 믿음이 강직한 그분께선

당연히 청렴과 도덕성을 겸비했을 것입니다.

그런 분께서 더러운 뒷돈을 받아 챙겼을 리는 만무하지만,

혹여 그것이 사실로 드러났을 때

그분께서도 아나니아처럼 그 자리에서 거꾸러져 죽게 될까요.

만약 그렇게 된다면,

어느 분 말씀처럼 저도 지인들에게 떡을 돌리겠습니다.

아주 공갈 염소똥, 1원에 이자 붙여 열두 개!

 

여기서 제 궁금증을 자극하는 것이 있습니다.

<뽀찌> 받은 것도 <십일조>를 내야 하나요?

아니면 부끄러운 돈이니 쥐구멍에 꿍쳐놓아야 하는 건가요?

 

 

2 Comments
깡샘 2018.02.21 21:24  
구약에 드려졌던 인간의 헌금이나 제물은 자신의 '속죄'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인간의 모든 죄의 값을 십자가에서 치루셨기 때문에 인간은 더 이상 자신의 죄의 처리를 위해 구약에서 처럼 헌금이나 제물을 드리지 않아도 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헌금의 의미도 '하나님이 우리의 삶을 주관하신다'는 '인정'함으로 마음으로 드리는 것입니다. 헌금을 하고 싶지 않다면 하지 않아도 아무 상관이 없고, 구원과도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결국 십일조라는 것도 하나님을 인정함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지 않아도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참고로 십일조는 아직 한국에서만 굉장히 중요하죠. 다른 나라에서는 '기부금'이란 명목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짤짤 2018.02.22 00:25  
족장 시대나 부족국가 시대에 유대인들이 그들의 신인 여호와께 바치던 것들은 세금과 헌금이 혼합된 의미였습니다. 당시는 제정일치 사회였기 때문입니다.
내세의 구원이라는 사상이 도입된 시기는 기원 전 5세기 무렵입니다.
그 전까지는 당대의 삶에 충실하면 그만이었습니다.
바빌로니아 시대에 볼모로 끌려갔던 사람들이 속속 귀환하면서 유대의 사제들은 대대적인 성경 편집작업에 돌입하게 됩니다. P본과 E본과 J본을 합해 구약을 집대성하는 것이었지요. 이 과정에서 구원이라는 사상이 도입되었고, 그 이유는 그만큼 절박했기 때문입니다.
<온갖 잡신들을 믿는 이방인들은 잘 먹고 잘 살면서 우리를 지배하는데, 유일신인 여호와를 섬기는 우리는 왜 이 모양 이 꼴로 살아야 해?>라는 유대인들의 민심을 다독일 수 있는 사상이 필요했던 것입니다.
성경은 16세기에 걸쳐 씌어졌지만, 그 이론적 토대가 완성되기까지 또한 그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지금까지도 그 연구는 계속되고 있고요.

이런 고리타분한 얘기를 하고자 했던 게 아닌데...
그냥 한 인물을 맥주 안주 삼아 질겅질겅 씹고 싶었을 뿐입니다요. ㅠㅠ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