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녘의 느긋한 식사풍경, 치앙마이 '란카우똠'

홈 > 태국게시판 > 먹는이야기
먹는이야기

- 태국 현지 음식과 식당, 한국에 있는 태국 식당에 대한 정보를 올리는 곳입니다.
- 식당정보 올릴때는 식당 이름, 위치, 가격대를, 음식정보 올릴때는 음식에 대한 설명과 먹을 수 있는 곳을 명기하여 주십시오.
- 한인업소는 한인업소 정보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새벽녘의 느긋한 식사풍경, 치앙마이 '란카우똠'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아침 눈을 뜨기 바쁘게 칫솔을 입에 물고 머리를 감고, 아침식사는 시간관계상 생략하고, 푸쉬맨의 도움으로 시간내에 반드시 지하철에 탑승해야만 정해진 출근시간에 가까스로 회사에 도착할 수 있었던 지난 날들. 하루에 가용 가능한 모든 에너지를 토해내고 나서야 퇴근길을 나서면 시간은 언제나 촉박하다.

그리하여 짧고 굵게 마시지 않으면, 사회의 어느 구석으로 조용히 떨려나게 마련이다. 한편으론 그렇게 만취하도록 마셔대지 않으면 하찮은 영혼은 그나마 어디서도 위로받을 수 없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전투적 삶을 외쳤던 80년대 박성화의 노래 '술마시고 싶으면 한번쯤은 목숨을 내걸고 마셔 보아라'가 아무 외침없이 조용히 살아가는 한낱 회사원의 일상이 되어 버렸다.

바로 엊그제 같은 한국에서의 기억이다.

'느긋한 나라'에 살기 시작한 후부터 나도 많은 것들이 느긋해 졌지만, 그중에서도 술먹는 문화가 변한 것을 빼놓을 수 없다. 태국사람들은 대체로 '술에 물탄 듯, 물에 술탄 듯' 술잔의 알콜 도수를 낮춰 마시며 천천히 취한다. 신속하게 취해봐야 남는 시간 별로 할일도 없거니와 자칫하다간 프리미어리그 리버풀과 챌시의 주말경기 후반전을 풀린 눈으로 감상하게 될 수 도 있다. 하여간 느리게 사는 사람들은 술도 느리게 마신다.

그렇게 마시다보면 시간은 어느새 새벽 한시. 술을 천천히 그리고 적당히 마시다 보면 왠지 배가 고픈듯 하다. 술집은 하나 둘 문을 닫고 무언가를 좀 채워야 한다. 느긋한 나라의 술문화는 결국 야식집으로 이어진다. 따끈한 '꾸웨이띠여우'는 그시간의 단골 메뉴가 되지만 가끔은 지겹다. 또 동행이 여럿이면 다음 행선지는 지체없이 '란카우똠'이다.

태국어로 '란'은 '가게'를 말하고 '카우'는 '밥'이다. '똠'은 '끓이다'의 뜻. 종합하면 '끓인 밥 전문집'이 되는 셈이다. 서너가지 반찬을 주문하고 끓인 밥과 함께 먹는 곳이다. 유사메뉴인 '쪽(한국의 '죽'과 비슷)'도 있지만, '쪽'은 보통 반찬을 두고 먹지는 않는다.

치앙마이에는 이와같은 '란카우똠'이 여럿 있다. 대체로 해가 지고 어두어지는 저녁에 문을 열어 새벽 4시를 전후해 영업이 끝난다. 가게마다 맛과 메뉴구성이 비슷하지만, 치앙마이 사람들 사이에서 '란카우똠'의 원조로 통하는 곳이 따로 있다. 타페로드 중간쯤에서 우회전, 약 50미터를 못 가면 우측에 빨간색 간판의 식당 하나가 환하게 불을 밝히고 있는데, 가장 유명한 '란카우똠' 중 하나다. 가게 이름은 '란댕'.

이 식당은 같은 자리에서 30년 넘게 유지하고 있으며, 식당 주인은 태국피가 전혀 섞이지 않은 중국인이다. 현재는 2세들이 가세, 새벽녘 거침없이 몰려드는 손님들을 맞고 있다. 때론 빈자리가 없어 밖에서 기다려야 할 만큼 사람들이 붐빈다. 치앙마이에 정착해 온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이 식당은 잘 알려진 곳인데, 한국사람에게 부담없는 음식의 맛에 더해 어떤 종류는 한국음식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파퐁파이댕'이라 불리는 태국 야채볶음을 비롯, 돼지고기 튀김 요리인 '무텃', 마늘짱아치 '까티얌 덩'은 '란카우똠'의 주요메뉴. 특히 배추 시래기 삶은 것과 같은 '짭차이'는 깜짝 놀랄만큼 한국적이다. 이렇게 서너가지 반찬과 함께 '카우똠'을 주문하면 종업원은 으례 두당 두세 그릇의 '카우똠'을 내준다. 식사량이 적은 사람도 '카우똠' 두그릇 정도는 금방이다. 서너명이 그렇게 먹고나도 가격은 100밧 조금 넘는 수준. 얼음물은 공짜이며, 카우똠은 한그릇에 3밧이다.


태국 로컬 식당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란댕'의 다소 지저분해 보이는 테이블과 의자, 오래되어 색이바랜 누런 벽지는 얼굴을 찌푸리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여유없는 일상을 반복하며 살아왔다면, 도저히 닦일 것 같지 않은 접시의 찌든 때도 새벽녁 느긋한 식사의 한 풍경으로 충분히 용서될 수 있을 것이다.


DSC_1717.jpg
<식당의 전면에는 음식이 가지런히 진열돼 있다>


DSC_1714_1.jpg
<'카우똠'은 끓인 밥과 똑같다. 입맛이 없을 때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다. 한그릇에 3밧>


DSC_1710.jpg
<태국에서는 식당에서도 물을 사먹어야 한는 것에 비해 '란댕'의 시원한 차는 공짜다>


DSC_1709.jpg
<돼지고기 튀김요리인 무텃 프릭끼누 한조각 얹어 먹으면 카우똠은 저절로 입에 따라 들어간다>


DSC_1713.jpg
<태국식 야채볶음 파퐁파이댕’>


DSC_1708.jpg
<한국의 시래기 삶은 것과 거의 유사한 '짭차이'. 재료가 비슷하기 때문인지 맛도 비슷하다>





4 Comments
냥냥 2007.06.03 17:21  
  카우똠 먹을 때요. 반찬은 그냥 먹고 싶은 거 하나만 시키나요? 아님 세가지에 얼마 이런식인가요?

사진이 너무 잘 나와서 바로 먹으면 될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
이 미나 2007.06.04 01:29  
  에공~ 훌륭한 선생님이시네[[원츄]]
태국의 술문화..제게 배울점이더군요..치앙마이에서
흉내내고 먹다가..한국에서[[취한다]][[으에]][[잔다]]

카우똠..갠적으로 죽을 선호하지 않아..아직 접해 보지
않은 음식인데..야식으로 먹는다면..위가 좋아하겠어요.
앨리즈맘 2007.06.09 05:12  
  와우 느낌이 팍오내여,,전 아침에 족을 즐겨먹엇는데,, 까우똠 아 생각나내여,,
여명 2007.06.09 10:45  
  글 잘 쓰십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