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에서 캄보디아국경 20달러에 통과하기

홈 > 다른나라정보 > 여행정보(나라별)
여행정보(나라별)

- 태국에 대한 각 정보는 태국게시판으로 들어가세요.
- 라오스 지도 사이트 <호보맵>

태국에서 캄보디아국경 20달러에 통과하기

세이예 8 3624

방콕에서 씨엡림으로 갔습니다.
20달러라는 금액은, 캄보디아로 가는 외국인라면 국적불문 지불하는 비자값인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지금도 그러하기에 제 경험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캄보디아로 가기 전날 방콕의 게스트하우스에서 만난 어떤분이 말씀하시길 캄보디아 국경비자값이 서양인과
일본인은 20달러인 반면에 한국인은 1000밧이라고 하더군요.
왜 그러냐고 물으니까 그분이 얼버무리면서 제대로 된 답변을 못하시더군요
저는 <이상하군?> 이렇게 생각하며 일단 캄보디아로 향하는 버스에 올랐습니다.

국경에 도착후 어리버리 하다가 그곳 삐끼들로 부터 친절한 안내(?)를 받으며 비자발급 창구앞까지 갔습니다.
창구직원 왈 <1000밧을 내라> 하더군요.
저는 캄보디아의 비자값이 20달러 인것을 알고 있었고 (베트남을 통해 캄보디아로 들어가는 목바이 국경도 20불 임)
또 비자 창구 위에 붙여 놓은 안내문에도 20달러 라고 적혀 있기에 <무슨 소리냐? 20달러인 걸 알고 있다> 라고 하며
여권과 20달러를 창구안으로 들이 밀었습니다.
그래도 직원은 1000밧을 요구하더군요. 저도 계속 버텼습니다.
제가 호락호락 넘어가지 않을 것처럼 보이자 창구직원이 이번엔 방법을 바꾸어 입국양식(서류)를 가리키며
여기에 뭐가 빠졌네, 철자가 틀리네...하며 꼬투리를 잡기 시작하더군요.
저는 그때마다 수정을 해주었습니다. 씨엠립에서 묵을 숙소가 어디냐고 하길래 가이드북을 뒤져 어느 게스트하우스의
주소와 전화번호까지 꼼꼼히 적어주었습니다.

더이상 꼬투리 잡을게 없자, 이번엔 직원 왈<입국하려는 사람이 많아서 심사를 하려면 시간이

8 Comments
아리바리 2006.10.22 22:12  
  아 쒸~~읽으면서 열라 열받았습니다..이런 네가지 없는 녀석들이 다 있네...읽은 제가 더 화가 나네요...언제갈지 모르겠지만 제가 갔을때도 그러면 한바탕 해야 겠습니다....그나저나 우리나라 대사관에서는 뭐하시나?...저도 오늘부터 독서 많이 해야겠습니다...
스타탄생 2006.10.23 03:16  
  전 12월 성수기때 갑니다만... 한번 도전 해볼까 생각합니다 ^^;; 20불에 팁 1불주면 빠르다는 얘기도 있고.. 그냥 던지듯이 20불 주고 무슨말을 하든지 눈만 멀뚱멀뚱하면 포기하고 줬다는 얘기도 있고 해서 ㅎㅎ 님의 글 읽으니 힘이 나는군요
스타탄생 2006.10.23 03:19  
  그보다 뒤의 독서에 관한 글은 참.. 시사하는 바가 크군요. 쌍팔년도 책자라니..
세상만사 2006.10.23 11:35  
  전 9월말 씨엠립공항으로 캄보디아에 들어갔던 사람입니다(하노이 출발).

비행기에서 내려 서울에서 미리 준비해 간 양식에다 사진 한장과 비자발급수수료 $20을 내고 오른쪽에 가서 기다렸더니 몇분후 군말없이 여권에 비자를 붙여줍니다. 발급장소(오른편)에서는 단체여행객들 것으로 보이는 여권이 꽤 많이 보였는데, 저는 비교적(?) 빨리 통과한 셈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다음 단계에 있는 입국심사관이 계속 one dollar, one dollar 하면서 궁시렁댑니다. 못 들은 척하고 천장만 쳐다보고 있었더니 이제는 제 소매를 끌어다가 $1이라고 쓴 걸 보여줍니다. 계속 모른 척 하고 있었더니 할 수 없는지(?) 여권에 입국필 도장을 팍 찍습니다(약 2분 정도 소요).
bulls-i 2006.10.23 13:53  
  육로는 항공편과 달라요..
세이예님께 박수..
전 오래 못 버티고,
1불로 끝내자고 하다가 결국 2불 뺏겼는데..
허걱 2006.10.23 18:23  
  저는 오래동안 버티다가 택시 같이 타는 사람이 기다리는 관계로100bat 결국 줬습니다.
신디홍 2006.10.27 12:15  
  저는.. 버스에서 만난 한국인 동생들과 셋이서 버텼더니 그냥.. 해주더군여!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바뀌는것같습니다.
minventi 2006.12.19 14:46  
  독서에 관한 글 일리가 있습니다만 영문책과 일문책의 수와 한글로 된 책의 수를 절대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지 않나요? 영어 사용 인구와 일어 사용 인구가 한국어 사용 인구와 동일하지 않으니까요.. 또한 인구 비례 여행객 수도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