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17개 주(province)의 이름과 이름에 담긴 의미

홈 > 다른나라정보 > 여행정보(나라별)
여행정보(나라별)

- 태국에 대한 각 정보는 태국게시판으로 들어가세요.
- 라오스 지도 사이트 <호보맵>

라오스 17개 주(province)의 이름과 이름에 담긴 의미

탄허 2 2059

라오스 17개 주(province)의 이름과 의미



여행자가 여기 주민처럼 라오스어를 배우기는 불가능할 것입니다. 그런데 간판을 읽고 표현해야 할 경우는 많을 것입니다. 특히 라오스에 오래 계신 분들이 지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정확하게 발음하려는 노력이 선행되어서 여행자들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제 잘 못되게 발음된 것을 여행자들이 알게 되고 그게 사용되면서 오히려 잘 발음하는 사람들이 여행자에게 맞춰줘야 하는 지경에 이르르게 되었습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단계! 

제가 100% 맞다고 할 수는 없어도 현지인들이 실제로 발음하는 것을 들어봤고, 또한 라오스인들의 외국어 표기 규칙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쓰는 겁니다. 특히 여기 오래 사신 분들, 라오스어를 아시는 분들이 먼저 생각을 해보시고 표기를 통일시켜갔으면 합니다. 

그런 분들에게 하나의 시론적 성격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합니다. 


1. 앗타쁘 주 (Attapu) : 관계, 우정 이라는 의미의 싼쓰크릿어 = 우정의 도시, 베트남, 캄보디아와 맛 닿아 있다는 의미 

앋따쁘로 읽습니다. (발침 ㄸ을 한글로 적을 수가 없어서 ㄷ으로 표기)

t는 ㄸ의 음가입니다. ㅌ은 th로 표기합니다. p는 ㅃ. ㅍ는 ph. 


2. 버깨우 주 (Bokeo) : 광산+보석 = 보석이 풍성한 도시 

보께오or볶께오

버께우냐, 보께오로 읽어야 하나? 

논쟁적일 수 있지만 영어 표기를 보고 읽을 때는 보께오로 읽어버리면 됩니다. Bokeo로 표기된 것을 일반 여행자나 라오스어를 모르는 사람이 버께우로 읽을 가능성도 없고. 마지막 모음에 쓰인 오나 우는 개인들이 발음하는 취향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k는 ㄲ. ㅋ는 kh입니다. 


3. 버리캄싸이 주 (Bolikhamxai) : 금광산 + 승리 = 금광으로 가득한 도시 

보리캄싸이

간판의 영어 표기를 보고 Bo를 버로 읽기는 어렵겠지요.  kh가 ㅋ인 것은 복습. 

x가 나오면 무조건 ㅆ으로 발음하세요. s가 나와도 무조건 ㅆ. ㅅ발음이 라오스어에 없어요. 

x는 <쏘 쌍>이라는 자음, s는 <쏘 쓰아>라고 하는 라오스어 자음. 구별은 성조로 합니다.  


4. 짬빠삭 주 (Champasak) : 짬빠(라오스의 나라꽃) + 나무 = 짬빠 나무로 가득한 도시 

짬빠싹

라오스의 국화가 짬빠에요. 꽃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꽃이라는 독을 앞에 붙여 독짬빠라고 해요.  그런데 이것을 참파, 짬파..뭐 아무런 규칙없이 쓰고 있어요. 

ch는 무조건 ㅉ 쪼 찌야라고 부르는 자음 표기. ch가 ㅊ의 음가를 갖는 경우 절대 없어요.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s는 ㅆ으로 읽어야 합니다. 


5. 후아판 주 (Houaphan) : 산골짜기+펼쳐짐 = 산이 아주 많이 펼쳐졌다는 의미, 산이 풍성한 도시 

후와판

oua로 모음이 겹치면 복모음인 우와로 읽으세요.  호우아판..이렇게 읽지 않습니다. ph는 판으로 잘 읽은 것입니다. 

6. 캄무안 주 (Khammouan) : 금+행복과 즐거움 = 금으로 인한 기쁨이 가득한 도시 

캄무완

kh를 ㅋ로 잘 읽었습니다. oua...이것도 우와. 즐긴다는 동사가 무완. 


7. 루앙남타 주 (Louang Namtha) : 도시+남타강 = 남타강이 흐르는 도시 

루왕남타

루앙... oua는 우와. 

루앙은 도시, 특히 수도같은 대도시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외워야 합니다. 


8. 루앙프라방 주 (Louang Prabang) : 도시+'프라방'이라는 라오스 수호신 부처의 이름 = 불타의 도시 

루왕파방

프라방..이거 프랑스식 표기. 파가 부처, 승을 의미합니다. 파방은 신비의 부처. 

그런데 루앙프라방은 외국인들이 그렇게 발음한다고 생각하니 많이 들 알아는 듣습니다. 


9. 우돔싸이 주 (Oudomxai) : 풍성함+승리 = 승리의 도시, 

정확하게 읽었습니다.  

베트남이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승라한 곳인 디엔비엔푸가 가까운데 프랑스로부터 승리하였다는 의미로 부쳐진 이름. 베트남과 라오스는 1,2차 인도차이나 전젱에서 프랑스와 미국을 상대로 싸울 때 피를 나눈 사이, 혈맹입니다. ou가 우로 발음되는 것 또 복습. x는 쌍시옷 복습. 아이 발음은 ai, ay로 표기. 


10. 퐁살리 주 (Phongsali) : 순수함.아름다움+옥수수 = 옥수수로 가득한 도시 

퐁쌀리

라오스어로 옥수수가 싸리. 연음법칙이 라오스에서도 적용이 되어서 쌀리로 많이 발음합니다. 

ph는 ㅍ이라는 것 복습. s가 일관성없이 ㅅ으로 표기 되었지만 무조건 쌍시옷으로 발음. 

 

11. 사이냐부리 주 (Sainyabuli) : 승리 + 도시 = 승리의 도시, 과거 태국땅이 라오스로 편입되면서 붙혀진 이름 

싸이냐부리. 쌴나부리

부리는 태국식 지명에 많이 붙지요. 현지인들이 발음하면 쌴냐부리로 들리기도 합니다. 연음때문에...


12. 살라완 주 (Salavan) : 숲이라는 의미의 싼스크릿어에서 옴 = 숲으로 가득한 도시 

쌀라완

경상도 분들 자꾸 고문하게 되는데...ㅅ이 아니고 쌍시옷으로 발음!!! 

v는 한국인들 입장에서 자음으로 생각하면 안됩니다. van은 완이라는 라오스어 복모음을 적을 때 이렇게 합니다. 씨양쿠왕의 주도인 폰싸완을 폰사반, 폰싸반으로 적은 것은 전부 오기입니다.  

v는 한국식으로 생각하면 자음이 아니라 위라는 모음이에요. 무조건 v는 위로 읽으세요. 예외 못보았습니다. 

그리고 라오스인들 가르쳐보면 한국 사람처럼 v발음 못해요. 오히려 더 못하기도 합니다. 


13. 사완나켓 주 (Savannakhet) : 하늘,천국+도시 = 천국의 도시 

싸완나켙

van을 완으로 잘 읽었습니다. 

받침은 라오스어가 한국어보다 잘 발달되어 있어요. 켓은 라오스어로 도 덱이라는 자음으로 끝나켇이라 써야 하는데 받침이므로 영어식으로는 t로 표기. 


14. 세콩 주 (Sekong) : 세컹강 이름을 따서 = 세컹강이 흐르는 도시 

쎄꽁입니다. 콩이 되려면 kh로 표기. 제가 이것은 라오어를 못봐서. 저렇게 간판이나 표기가 되었다면 쎄꽁으로 읽어야 정석. 


위양짠 특별시 (Vientiane Capital) : 도시 + 짠꽃(붉은 꽃) 혹은 짠(달.moon) = 짠꽃으로 가득한 도시 혹은 달의 도시  

아주 잘 표기 되었습니다. 위양짠을 프랑스 사람들이 저리 표기한 것 뿐. 그냥 위양짠으로 외우세요. 


15. 위양짠 주 (Vientiane Province) ; 도시 + 짠꽃(붉은 꽃) 혹은 짠(달.moon) = 짠꽃으로 가득한 도시 혹은 달의 도시. 

이거 역시 잘되었고...라오어로는 퀭 위양짠이라고 합니다. 주가 쿠엥인데 빨리 발음해서 퀭이라고 발음하면 무리가 없습니다. 


16. 씨엥쿠앙 주 (Xiangkhoang) : 목초지. 산등성 + 넓다 = 넓은 목초지가 있는 도시

씨양쿠왕 

XiangKhoang, Xiangkhouang, XiengKhouang..어떻게 표기되건 현지인은 씨양쿠왕입니다. 

이것은 라오스에 오래 계셨던 분들도 입에 배어 씨엥쿠왕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17. 싸이쏨분 

싸이쏨분(Xaysomboun: 완벽한 승리)으로 예전에 위양짠 주에서 떨어져 나가 독립된 주로 역할을 하다가 다시 편입되었다가 얼마 전에 다시 복권되면서 씨양쿠앙 주의 1개 군을 흡수하면서 예전보다 크기가 더 커지게 되었습니다.-무구무정님의 설명. 감사합니다. 

 


*Vieng, Xieng..이거 무조건 위양, 씨양입니다. 

ie는 라오어 이야를 표기하는 발음규칙입니다. VangVieng같은 경우 현지인들과 엄청난 발음 차이가 있습니다. 왕위양으로 현지인은 발음하고 있어요. 그런데 외국인에 그들도 맞추어 방비엥이라고 친절을 베풀어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여행할 땐 별반 문제가 없습니다. 방비엥의 주민들이나 여행 관련된 사람들은 외국인이 방비엥으로 발음한다는 것을 아니까. 그런데 일반 라오스인들이 방비엥을 잘 모르고 있을 경우 어디 이야기 하는 지 알기 어렵지요.  


* http://laos.ijesus.net/bbs/board.php?bo_table=z3_2&wr_id=7761

도시 이름의 어원을 잘 설명해 주셨고, 발음도 비교적 무난하게 표기해주신 고마운 정보입니다. 

윗 글의 원 출처인데 지금 무슨 사정인지 안뜨네요.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 


제가 <라사모>란 카페에 <라오스 간판읽기>라는 포스팅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읽어보시면 혹시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은 성조가 매우 중요해서 발음만으로 현지인들이 알아듣기는 힘듭니다. 성조는 또 다른 차원의 문제니까.... 성조와 발음이 다 안맞으면 알아들을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 

2 Comments
브로이 2014.07.05 17:18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공부가 많이 됐네요^^
탄허 2014.07.05 21:41  
약간의 차이가 명품 여행자를 만듭니다. ^*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