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 시내버스에 대해 알아 봅시다.

홈 > 태국자료실 > 여행자료실
여행자료실

- 이곳에 있는 자료들은 인쇄하여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가능하지만 인터넷 상의 다른 게시판 등을 이용하여 배포할 수 없습니다.
- 게시판 정보는 글 쓴 날짜가 오래 되었더라도 수정을 계속하므로 현재의 상황에 적용하셔도 무리 없습니다.
다른 곳에 퍼가는 것(복사, 가공)을 금지하며 글의 주소만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방콕 시내버스에 대해 알아 봅시다.

요술왕자 0 121


방콕 시내의 여러 대중교통수단 중 아무래도 가장 어렵다고 느껴지는것은 시내버스 일 겁니다.

노선도 너무 많고 어디서 어떤걸 타야하는지 잘 모르겠잖아요.


하지만 구글지도에서 경로 탐색 후 대중교통을 선택하면 버스 번호가 나옵니다.

또한 VIA BUS앱을 이용하면 각 정류장 별 도착하는 노선번호를 알수 있고 노선번호를 누르면 해당 노선을 운행 중인 버스의 현재 위치도 볼 수 있습니다.


VIA BUS 앱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indyzalab.transitia&pcampaignid=web_share




물론 전철, 지하철, 수상교통, 택시 만으로도 충분히 방콕 시내를 이동 할 수 있지만 때로는 시내버스가 시간 면에서 더 효율적인 루트도 있으니 기회가 되면 한번 시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요.



그럼 방콕 시내버스는 어떤것들이 어떻게 운행 되는지 한번 알아봅시다.




3068381226_ya98hV41_d18db88fe578c4e3389f105835d87ddf68989d1d.JPG
 



3068381226_ei3DMUwX_e8d73da84e0da19ece46ba665d55abc23192afcc.jpg
 



방콕 시내버스는 대부분의 노선을 방콕 대중교통국(커써머꺼;BMTA)에서 운영합니다. 다만 일부 노선의 경우 민영회사 위탁 운영하기도 합니다.

3068381226_IrmuGe8Z_172485e3adfede027dc43dfd49e67cbf2711b201.png
 


가장 일반적인 에어컨 없는 버스입니다. 8밧

3068381226_IDja1P7y_3b13f1fbdc4f9e9631e9ed1f02424bcf4fcca5b0.JPG
 



3068381226_NBlzLnUx_fc373bf872486a8cfbd41d2c746f211a75be4e22.jpg
 


민영버스는 에어컨이 없는 버스인 경우 10밧을 받습니다.

같은 노선인데도 시영, 민영 둘다 운행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068381226_RdvZuG9s_cb592d4b8851d4989d9ee3f9ef7ff5fb1c0ad0a7.jpg
 


더 상태가 안좋은 버스인데도 민영버스는 10밧을 받습니다.

3068381226_U2WR69Ky_d728fa9d4e9b20a48404eab17f44fc1b8d7dabcd.jpg
 


버스 내부에요.

3068381226_elnk90FC_f8068b436ea6472005bd6d123cb571f57b27e382.JPG
 



3068381226_9y2wtca1_d0acdb18b282ca93098d014516d2df9ec51ebd40.JPG
 


구형 에어컨 버스입니다. 12~20밧

에어컨 버스는 거리에 따라 요금이 다르기 때문에 안내원이 요금을 받으러 오면 목적지를 말해야 합니다.

3068381226_JtqeQZrb_43fe3a1ab95749884102eb7a3e812d1b2daf321f.jpg
 


민영 위탁 에어컨 버스는 중간에 노란 줄이 있습니다. 거리에 따라 13~25밧

3068381226_4HlubN9q_3f421037f76014c114229cc52a5d620ff45dac54.JPG
 


신형 에어컨 버스(유로2 모델). 13~25밧

3068381226_dDHuARFK_9e0546a22dfad7c7b023762bf4233c5bd01ae926.jpg
 


에어컨 버스(유로2) 실내 앞쪽입니다.

3068381226_OgQeFwAn_10e5611a6f19272d798d4dace3ae721a1a622beb.jpg
 


뒷쪽

3068381226_IThb8wXW_0dbdfcf1ff7260f92fe77c3d66b0a5673ee37edf.JPG
 


신형 LNG 버스인데 흔치는 않아요.

3068381226_0MD8tz1F_f2e45b552906f2236de03765fc7fd83a71efb895.JPG
 


가장 최근에 나온 전기버스입니다. 거리에 따라 15, 20, 25밧

3068381226_TdWtQHr2_fbddab8b58564c487bc629a896e9632ea5867897.jpg
 



3068381226_Jtm4lGFq_818156e641416c3ac1bd7e31dbeb430ece934817.jpg
 


전기버스에는 USB충전단자도 있어요.

3068381226_FRCPHWsQ_b1792f009f8d2989a56a97f3f3bf90b4ab148326.jpg
 






버스 정류장 모습


3068381226_RwPTXVqD_d8d3740d402313695671e54dd11b33364af9aa3d.jpg
 



3068381226_HCSNUPpF_3323a65f694f496c85940507af060a13d5810879.JPG
 


벤치 없이 그냥 표지판만 서 있는 곳이 더 일반적입니다.

버스가 서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타야할 노선의 버스가 오면 손을 흔들어 적극적으로 표시를 해야 합니다.

3068381226_hd1NmFiy_5c8828a56e1b05870275d88609ca4e9449eb6898.JPG
 



3068381226_gQm9C54U_a0ac675669df180f0a19fa05c7cc4528e2099637.jpg
 



3068381226_rSuVmz4F_3b30ddf29b9342ef89723543b3d94bbcf3dfbea0.jpg
 





도로가 복잡한 경우에는 버스가 중간차선에서 내리고 태우는 경우가 있습니다.

3068381226_2UVB9j6R_5f73ff363afbb4e9553bc521ca8e8d8c3a384ed9.jpg
 





안내원이 가지고 다니는 요금통

3068381226_KozgrUbI_b1c05a05598562f5f00579cbc5f217b67ecddf3c.JPG
 


동전과 버스표가 들어 있습니다.

3068381226_XBriNKuy_9db63235f2106ab8108c4cdc92c130b2df6f00de.JPG
 


가는 노선인지, 돌아오는 노선인지, 어느 구간에서 탔는지 찢어서 표시를 합니다.

3068381226_ZimzxNJM_a36bd142122b44d8d9e3f6ecd7df29a04d5d2085.jpg
 



3068381226_RZGspwNh_b5251d1cb0e3b30b4f852021553b0109dea16a28.JPG
 


공영버스의 경우 안내원이 Contactless Card 단말기를 갖고 다니므로 우리나라 트래블카드 등 컨택리스 카드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3068381226_ZyFYinbc_c656f9d0d87bcdca9391df14d711755b807e0984.jpg
 


우리나라 처럼 탈때 태그하는 승차단말기가 있는 버스도 있으나 대부분 사용하지 못하고 꺼 놓은 상태입니다.

3068381226_DJi0hF7B_b5ad47780a5a1f54f816cce88848d37a5534ba51.jpg
 


내릴 때는 기둥이나 천장에 붙은 벨을 누르세요.

3068381226_B1eF0Vtb_46f971cd73cd37eec21f1d7fcf1fd205d704cfcc.JPG
 




외국인 여행자들에게 유용한 10개 시내버스 주요 노선입니다.

https://www.google.com/maps/d/u/0/viewer?mid=1mNwE7tBN9-ALxzC2KoXi6d6hJTQ&hl=ko&ll=13.781974640233509%2C100.54361635&z=11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