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여아 대학졸업때 까지 소요 비용 / 7-eleven 창업 비용

홈 > 묻고답하기 > 묻고답하기
묻고답하기
[다음과 같은 질문은 답변을 듣기가 힘듭니다.]
·  예의 없거나 성의 없는 질문
·  구체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이거나 뜬구름 잡는 식의 질문
·  각 정보 게시판에서 검색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질문
·  묻고답하기 게시판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질문
·  다른 사람들도 모르는 질문

[주의사항]
·  질문에도 예의가 있어야 하겠지만 예의 없는 답변 역시 눈쌀을 찌푸리게 합니다.
   답변이 하기 싫은 질문은 그냥 두십시오.
·  현지 유심 사용 중 문의는 충전잔액, 데이터잔량 조회 후 내용 첨부하여 올려주세요.
·  댓글로 호객 행위는 엄금합니다.
·  여행친구찾는 글(투어동행,택시쉐어,단톡,오픈채팅 등등)은 삭제 됩니다.
·  연애 및 성인업소 관련 질문은 금지합니다.
·  1일 2개까지 글쓰기(질문)가 가능합니다. 질문도 신중하게 정리해서 올려주세요~

태국 여아 대학졸업때 까지 소요 비용 / 7-eleven 창업 비용

돌핀59 16 2450

- 다음과 같은 질문은 금지합니다. 여행동행찾기/연애 관련/태국인출입국/성인업소 관련
- 답변을 받으면 감사의 인사를 꼭 남겨주세요.
======================
안녕하세요, 


태국에서의 육아및 교육비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좀 하겠습니다.

 

1.태국의(찬타부리 지역) 14개월된 여자아이가 태국에서 평균적이고 일반적인 생활수준 기준으로 대학교(4년제?) 까지 졸업하려면 총 비용이 얼마나 소요될까요?


2.소요비용을 지원해 준다고 가정했을때(매월 또는 분기별) 정기적으로 송금등의 방법으로 지원해 주는게 나은 방법일까요? 아님 목돈을 일시불로 지원해 주는게 나을까요?


3.일반적으로 얘기 들어보니 7-eleven 점포에 투자해서 작접 운영하면 한가족(3~4인 기준)이 풍족하진 않아도 생활은 가능하고 여자아이 대학까지는 보낼수도 있다는거 같은데 진짜 가능할까요?


혹시 방콕 변두리 지역이나 찬타부리 시내지역에서 7-Eleven 대리점 개설하는데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지 아시는분 있을까요?


4.세븐일레븐 말고 일반 태국 여성이(30대 후반) 현지에서 수천만원(5~7천만원) 정도를 투자해서 원금 손실없이 꾸준히 일(사업)을 영위해가며 안정적으로 생활비와 아이 교육비를 마련할수 있는 방안이 뭐가 있을까요?


5.일반적인 중류층 수준의 태국 가정들도 우리나라 같이 아이들 키울때 사교육비가 많이 소요되나요?


솔로몬의 지혜에 버금가는 조언을 기다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16 Comments
엘엠 2021.03.08 16:23  
저도 태국와이프와 자녀를 위해 일정 수익을 발생시킬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수익은 크지 않으나 꾸준하게 수익을 올릴 방법으로, 방콕 시내(BTS 인근)/대학가 콘도 구매후 임대 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투자 금 손실 Risk도 적고, 향후 판매시 크게 오르진 않아도 투자금 수준으로 회수 가능하니간요.  현재 주거 주택은 와이프 명의 이지만, 콘도는 제 명의로 구매 가능하여 여러모로 괸찬은 방법으로 추천 드립니다.
돌핀59 2021.03.08 17:22  
네에 감사합니다.
부동산쪽을 추천 주셨는데 한달 2~3만 바트 임대료를 받으려면 부동산 가격도 최소 수억 단위는 되어야겠지요?
엘엠 2021.03.09 12:24  
https://www.ddproperty.com/en
위 부동산 사이트 보시면 위치에 따라 가격대비, 임대료 수준을 알수 있습니다.
대략 2백만밧 수준의 BTS 라인의 콘도 월 1만밧 수익 예상합니다.
1.5백 만밧 수준의 BTS 라인의 콘도 는 월 7천밧 수익 예상합니다.

2-3만 밧 수익이 당장 필요하신게 아니면... 콘도 를 1-3개 씩 목돈 생길때마다 점차 늘리면서 수익을 올리시는게 어떠실지...

태국 콘도 가격이 상승이 잘 안되는 점은 구매자에겐 득일수도 있습니다. 한국 처럼 자고 일어나면 오르는 건 아니라서 투자 갭투자는 힘들지만... 소소하게 임대 수익을 내고, 향후 아이에게 물려주거나, 매달 적지만 7천-1만 밧의 수익이 적어 보이지만, 기본 공과금 충당하고 최소 생활비 충당 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아이가 대학갈때 콘도를 팔아서 목돈 마련하거나, 물려주어도 되구요.
코난 2021.03.08 16:33  
다른것은 모르겠고 3번의 세븐일레븐은 개설비랑 가맹비가 환불되는것이 아닌
계약기간이 지나면 없어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원금손실이 없는게 아닌 장사가 안되면 목돈내고 푼돈나눠서 받는거죠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아시는 분이 알려주시면 될듯 ^^
돌핀59 2021.03.08 17:24  
네에 감사합니다.
150만 바트면 세븐일레븐 오픈할수 있다길래 방콕의 장사 잘되는 편의점만 생각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가 보네요. 심사숙고 하겠습니다.
가자55 2021.03.08 16:48  
편의점 비추입니다. 
몇천이 되었던 몇억이 되었던 안정적으로 돈이 들어오는 아이템은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찬타부리면 고무나무나 두리안 나무 심어 기르는 것이 괜찮다고 보지만 어떤 아이템이 되었던 하는 사람이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준비가 안되어 있거나 마음가짐이 없으면 무엇을 하던 일년 넘기기가 힘든법이죠.  사업이나 장사를 직접 하는 사람이 직접 아이템을 천천히 찾아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글쓴분은 한국에 계시고 아이와 와이프 또는 여친분께 비지니스를 차려주시고 싶으신거죠?
돌핀59 2021.03.08 17:27  
네에,정확히 보셨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직장 다니고 있고 태국에 있는 여자 아이와 가족의 안정적인 경제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아이 외삼촌이 바나나 농장 관리자로 있다고 들었는데 그방면으로도 알아보라고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가자55 2021.03.08 16:52  
아는 이가 아주 오래전에 세븐을 했었는데 한달에 3~4만바트도 못번다고 했어요.  지금은 편의점 포화 상태이며 이익이 나는 곳은 거의 다 직영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지방의 경우 편의점이 많이 없는 곳도 많이 있지만 시골의 경우 구멍가게/동네 마트쪽이 먹고 살기에는 더 많은 수월할거에요.  인건비에 임대료에 프랜차이즈비하면 남는거 거의 없을듯합니다.  지인 여친 어머님이 지방에서 혼자 동네 마트하시는데 딸이랑 둘이 먹고 살 만큼은 버십니다.  물론 태국인 기준이고요.
돌핀59 2021.03.08 17:29  
감사합니다.
프렌차이저 편의점은 함부로 도전할게 못되는거라고 인지하겠습니다.
K. Sunny 2021.03.08 17:16  
2. 무슨 일이 있더라도 절대 목돈을 한 번에 보내지 마세요.
개인차는 있을지언정 국민성은 거의 같습니다. 3년 안에 그 돈 다 사라집니다.
돌핀59 2021.03.08 17:30  
충고 감사합니다.
제일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도 알려 주시면 더 감사하겠습니다^^
뽀뽀송 2021.03.08 22:01  
크게 노력을 담보하지 않아도 일정 수익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게 임대업 말고는 없을 듯 한데, 1.5백만은 너무 적은 금액인 듯 합니다. 태국 시골지역에서는, 좀 보수적으로 잡아서 1백만 바트에 3,000바트 정도의 수익을 상정하면 대충 맞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만, 단층이나 2층 연립 주거 형태라면 1백에 5,000바트 까지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1.5백만을 종점으로 보고 계산기 두드리면 답이 안나올 듯 하고, 1.5백만을 시작점으로 삼고 5~6년 돈 서포트 하면서 만들어갈 수 있다면, 러브모텔(러브 리조트)도 괜찮지 않을까 싶네요. 태국 젊은이들이 성생활을 굉장히 빨리 시작하는 편이라 이런 공간의 수요가 제법 됩니다.
땅값 좀 저렴한 곳에 1라이(500평 정도) 정도 사고 예쁜 개별 룸을 지어가면, 일단 대실료는 계속 들어올 거고, 돈이 모이면 어차피 같은 도면으로 룸하나씩 늘려가고, 내부를 한국식 러브모텔 개념으로 방 꾸미면 나쁘지 않지 않을까 싶은데...

그냥 뇌피셜일 뿐입니다. 웃자고 한 번 적어봅니다.

개인의 능력없이 1.5백만 바트로 3만 바트 고정 수익 내는 건 태국에서도 쉬운 일이 아닌 건 확실합니다.
돌핀59 2021.03.09 08:53  
네에 감사합니다.
부동산에 대해서는 문외한이고 여자가 러브텔을 지어서 사업한다는것도 쉬운일은 아닐꺼 같군요.
그냥 적당히 생활비와 아이 교육비를 꾸준히 보내주는게 나을것 같군요.
칼라그리스 2021.03.08 22:06  
십여전 제상황과같은경우이네요
당시저는7살딸이있었지요
저도이것저것 다생각해보고장사도 해보았는데 안돼더군요
지금은 매달현금송금하고 신용카드 한장주어서생활합니다
아이한테 생각보다 많이들어갑니다 태국시골분들적은돈으로산다고많은분들이 말씀하시는데 한국사람인 저는 제가족이 한국사람같이 살려고합니다
제생각에는 매달생활비 보내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참 저는코랏에 가족이 있습니다
돌핀59 2021.03.09 09:06  
아이 엄마가 원래 호텔 리셉션에서 일했었는데 아이 갖고부터 일할수도 없었고 아이 출산후부터는 코로나 사태로 호텔업종 자체가 인력을 줄이는 형편이라 안타까운 심정에 생활비를 지원해 주고 있습니다.
작년 1월말에 아이가 탄생을 해서 2월에 방문하려고 항공권 티켓팅까지 해놨는데 코로나 발발로 여름으로 미뤘다가 지금까지도 실제 대면 조차도 못하고 있으니 더욱 안타까울뿐이네요.
지금은 조그마하게 장사를 하고 있는거 같은데 어려운 환경일게 뻔해 보여서 월 2만바트씩 송금해주고 있는데 아이나 아이엄마의 먼 장래가 걱정이 되는 싯점입니다.
감사합니다.
aoki 2021.03.26 01:18  
아는부분만 적어봅니다
2. 무조건적으로 매월 송금 하세요.. 윗 분들이 적은 내용참고...
3.세븐일레븐을 새로 개점하는건 매우 힘들겁니다.. 저도 말씀주신곳 인근서 살고잇는데 가격도 만만찮고 유지비 꾀 들어갑니다..
개점시 가게 임대료는 적어도 100-150.
위치별로 상이합니다
대략 총 3000-4000정도면 생각하심 됩니다
3. 지금 상황에선 비추입니다 운영중인 가게 매입하는게 아닌 신규오픈은 비추합니다
4. 5천 정도면 작은 점포내서 운영하는게 젤 나을거 같긴 합니다 . 하지만 그것도 지금 상황에선 매우 힘들어요 그게 아니면 주변 운영중임곳중 매물 나온걸 사는게 젤 안전할겁니다 매출이야 고만고만하니
5.일반적인 가정이라 해도 다니는 학교별로 비용이 천차만별입니다.  어느 수준이냐에 따라 비용이 크게 차이나요.. 대략 서민들 기준 분기별 2만 정도, 그보다 나은 수준이면 4만정도 계산하심 될듯 합니다
모든 비용은 방콕 시내가 아닌 외곽지역 기준으로 적엇습니다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