쏨땀을 통해서 보는 한민족의 남방 루트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쏨땀을 통해서 보는 한민족의 남방 루트

16 711

쏨땀 좋아하세요?

 

저는 쏨땀 정말 좋아합니다. 세계 두 번째로 맛있는 샐러드(채소를 먹는 방법을 통칭하는 의미의 샐러드)라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는 뭐냐구요? 당연히 김치죠.

 

쏨땀의 종류를 먼저 한번 봅시다. 이싼 살 때 찍어놓은 사진들입니다.

 

 

쏨 땀 쁠라 라 - 진한 젓갈의 정통 이싼 쏭 땀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067_29.jpg



땀 라오 - 땀을 시키면 찹쌀밥과 야채가 따라 나오는 쏨 땀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151_49.jpg


땀 타이카이켐 - 맑은 젓갈의 방콕 스타일 쏨 땀, 카이켐은 게를 뜻하는 것 같은데 잊어버렸어요.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190_25.jpg


쏨 땀 무아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258_24.jpg


쏨 땀 쑤아빠 - 면이 들어간 쏨 땀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318_74.jpg


54ba35d99af2c50c733c6e638f25c57c_1589313321_07.jpg


쏨땀의 가장 큰 특징은 물론 재료인 파파야겠습니다만 저는 젓갈을 꼽고 싶습니다. 젓갈은 (어디까지나 제 생각인데) 메콩 강에서 나왔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메콩강은 유량의 변화가 아주 심하고 유량이 풍부할 때 엄청나게 많은 물고기를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량이 줄어들면 물고기도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메콩 강 유역에 사는 사람들은 풍어 시기에 잡은 생선을 보존하기 위해서 젓갈을 담았습니다. 

 

경상도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대표적인 경상도 젓갈인 멸치젓은 시커먼 색깔에 생선이 덜 삭은 상태로 먹으며 냄새가 정말 지독합니다. 메콩 강 유역의 젓갈이 바로 경상도 멸치젓과 아주 똑같습니다. 이러한 시커먼 젓갈을 쁠라 라(빠라)라고 부릅니다. 

 

라오스, 캄보디아, 이싼 지방 사람들은 젓갈이 없는 식생활을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젓갈을 즐겨 먹습니다. 한국인 중 가장 다양한 젓갈을 먹는 제주도 사람들보다 더 많은 종류의 젓갈을 거의 매일 먹다시피 합니다.

 

저는 쌀농사의 한반도 전래와 함께 이 젓갈 문화가 같이 오지 않았을까 하는 가정을 해 봅니다.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우리 한국 사람, 한민족이라고 부르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흔히 저 북쪽의 알타이 산맥에서 기원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른발 북방 민족설이지요. 알타이에서 동진, 남진을 하다 한반도로 들어왔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가설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기마 민족이면서 유목 민족이었다는 얘기가 됩니다. 고조선 시대부터 따지면 정주한 지가 오천년이 되었는데 아직도 장롱을 들고다니는 걸 보면 유목민족의 관습이 아직도 남아 있는 듯 합니다.

 

하지만 또 다른 가설도 있습니다. 남방 유래설입니다. 한반도의 주민은 남쪽에서 왔다는 것입니다. 쌀농사가 가장 유력한 근거입니다. 쌀농사를 지을 수 있는 수전은 가장 발전된 방식의 노동집약식 농사 기법입니다. 단위 면적 당 생산량이 다른 농사 기법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최첨단 농업 기술입니다.

 

이러한 수전은 남방 루트를 타고 들어온 것은 확실합니다. 메콩 델타에서 왔다고 보는 게 정확할 겁니다. 

 

저는 제 외모가 그래서인지 (동남아 어디를 가도 자국민 취급을 받는 저는) 남방 유래설을 지지하는 입장입니다. 제 조상 김 수로왕의 부인이 인도 허황후라는 점도 있구요.

 

2004년 단국대 김욱 교수는 Y염색체와 미토콘트리아의 DNA를 분석한 결과를 내놨는데요. 한민족의 유전자를 검사해보니 60%는 북방계이고 40%는 남방계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제 전공과도 좀 관련이 있어 한국어의 기원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는데요.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한국어는 알타이 어족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요즘은 조금 바뀌었습니다. 알타이족의 다른 언어(터키어, 우즈벡어, 카자흐스탄어, 몽골어, 위구르어)의 친연성에 비해서 한국어의 친연성이 너무 떨어진다는 것이 최근의 연구 흐름입니다. 한국어는 기존의 어족 중에서는 알타이어족에 가장 가깝지만 한 어족으로 묶는 것은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본어도 마찬가지구요. 

 

어떤 학자들은 한국어의 남방 루트를 이야기합니다. 인도의 타밀어와 한국어가 가장 비슷하다는 겁니다. 실제로 한국어와 타밀어는 천 개 이상의 단어가 거의 똑같습니다.

 

나, 너, 강, 풀 등은 아예 똑같고

궁디, 빨(이빨), 깐(눈깔) 등은 아주 비슷하고

남녀의 성기를 이르는 말도 같습니다.

특히 쌀농사 관련된 어휘는 아주 유사합니다.

 

이싼에서 1년을 살면서 쏨땀을 먹을 때마다 수천년 전의 조상을 느꼈다고 하면 너무 과장이겠습니다만 경상도 출신인 저는 쏨땀이 너무 좋았고 아주 가깝게 느껴졌습니다.

 

이상이 쏨땀을 떠올리면 드는 저의 잡생각이었습니다. 

16 Comments
비육지탄 2020.05.13 08:23  
저는 이런 스타일의 글이 좋습니다
철저하게 경험에 의한 가설이고, 이렇지 않을까하는 제안이잖아요
우리가 좋아라 마지않는 베르나르 베르베르(본토발음좀 누가 알려주세요ㅋ)의
글 스타일이기도 하죠
저는 이런 글이 너무너무 좋습니다
2020.05.13 15:40  
더불어 많은 오류와 억측을 갖고 있는 글 스타일이기도 합니다. 재미있게 읽으셨다니 감사합니다.
쏨땀을 먹으면서 상상력을 한번 펼쳐보았습니다. 김치와 아주 비슷하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구요.
진쌤 2020.05.13 09:26  
카이켐이 소금에 절인 계란아닌가요? 쏨땀이랑 얌에 많이 넣어주던데요
2020.05.13 15:41  
듣고 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근데 사진을 살펴봐도 계란은 안 보이네요. 누가 정확히 알고 계신 분은 좀 알려주세요.
세크메트v 2020.05.13 17:44  
카이캠 소금에 절인 계란 맞습니다.
동쪽마녀 2020.05.13 15:11  
쏨땀 엄청 좋아하는 터라 들어왔는데 와, 숨도 안 쉬고 읽었습니다.
솜땀부터 우리 민족과 언어 기원까지 어마어마합니다.
중, 고딩 때 우리말이 우랄 알타이어족이라고 배웠을 때는 그런가 보다, 했는데
세월이 괜히 흐르는 게 아니구먼요.
인도 타밀어라니 흠 . . .
게다가 남방계.^^
저와 아이도 입 다물고 있으면 동남아 어디를 가도 자연스럽게 섞이는 편이거든요. 
장보는 것 말고는 외출해 본 지 3개월이 넘었는데 쏨땀 격하게 먹고 싶습니다.
파파야 구하기도 쉽지 않지만 구한들 곰손이라.ㅠㅠ

좋은 글 고맙습니다, 명님.
시리즈로 올려주셔도 좋겠어요!
2020.05.13 15:44  
동쪽마녀님의 응원이 글쓰기 의욕을 마구 자극합니다.

이싼 이야기를 써보고 싶었어요. 제가 이싼에 1년 살면서 느낀 점들을 정리해서 쓰고 싶은데 아직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이싼은 태국의 내부 식민지처럼 여겨지면서 아주 가난한 땅이거든요. 그들의 한과 아픔을 좀 들여다 보고 싶었더랬습니다.

지금도 머릿속에서 정리만 하고 있는데 코로나 덕분에 시간도 많으니까 한번 엄두를 내볼까 합니다.
요술왕자 2020.05.13 16:04  
카이켐은 소금에 절인 달걀이에요. 저건 그냥 땀타이 인듯합니다.
소면에 무친 쏨땀은 땀쑤아 ^^

초창기 한반도로 이주해온 사람들은 어떤 특정집단이 아니고 오랜 기간동안 북쪽(퉁구스계), 서쪽(중앙아시아, 한계), 남쪽(오스트로네시아계) 등 여러갈래의 루트를 통해서 여러집단들이 들어왔다고 봅니다. 직접적인 이주가 아니더라도 이주 중간 지역에서 유전자가 섞일 가능성도 있고요...
저도 요즘 꽤 관심있게 찾아보고 있는 주제에요.
2020.05.13 16:25  
마하사라캄 살 때 쏨땀 이야기 한번 써 봐야지 하면서 찍은 사진과 메모들이었는데 엉망이네요. ㅋㅋ. 그때는 태국 글자 읽을 줄도 알 때였는데 사진과 메모간의 시간차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한민족의 시원 문제는 요즘은 거의 결론이 난 것 같아요. 미토콘트리아를 분석하면 모계 쪽은 다 알 수 있는 모양이고 그걸 보완하기 위해 Y염색체를 분석하나 봅니다. DNA분석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0년 초반부터 사이언스 같은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더 관싱이 가는 것은 언어학적인 계통. 한국어가 어디에서 왔나를 살펴보면 거의 유전자 분포랑 일치하지 않을까 싶네요. 한국어는 북방 알타이 계통과 남방 타밀 계통이 섞여서 이뤄진 것이 아닐까 합니다.
요술왕자 2020.05.13 16:36  
맞아요. 언어계통을 연구하면 이주 경로도 자연히 나올 듯합니다.
인도 남부와도 연관이 있는 자료도 있네요.
http://yayul.egloos.com/2823420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D%94%8C%EB%A1%9C%EA%B7%B8%EB%A3%B9_L_(Y-DNA)
요술왕자 2020.05.24 12:17  
찾아보니 땀무아ตำมั่ว가 있네요.
빠라 베이스에 소면 뿐만 아니라 온갖것이 들어가 있는 모양
https://bit.ly/2TxYdER
요술왕자 2020.05.13 16:38  
또 다른 남방계 이주관련 자료
https://news.unist.ac.kr/kor/newsletter/20170201-01/
동쪽마녀 2020.05.13 17:56  
올려주신 자료 읽다가 '삽 모양 앞니.'ㅋㅋ
제 앞니 모양이 삽 모양인지 거울에 비춰 보았습니다 정말.
저도 민속학이나 인류학 같은 데 관심이 꽤 가는 편이어서 재미있게 읽었어요.
고맙습니다, 요술왕자님!
요술왕자 2020.05.14 11:13  
저도 혀로 앞니를 더듬어 보게 되네요 ㅎㅎ
저녁놀에나비한마리 2020.05.14 10:55  
한반도의 고대국가들의 건국신화들을 보더라도 한반도에 이주해온 조상들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죠. 신화라는 것이 지어낸 허구가 아니라 구전된 역사에 이야기성을 가미한 것이라서 우리의 조상들이 어디서 왔는지에 대해 유추해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가 있죠.
크리앙 2020.05.17 16:37  
4월초 한국와서 2주 격리 후 친구들 만나는데도 제약이 있어 흥겹지도 안않는데 ...
언제 태국 복귀할수 있나 들여다 보니 6월말까지 입국 제한이라 ... 솔직히 3달 걸릴것으로 생각하고
7월초 태국비행편 예약했으니 다행이랄까 ... 쏨땀 푸  좋아하는 나는 태국이 그립군요 .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