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조사한 국적기 수하물 파손 및 분실 1위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국토교통부가 조사한 국적기 수하물 파손 및 분실 1위

구리킹왕짱 8 643
국적기 수하물 파손 및 분실 건수를
국토교통부가 조사하여 발표한것이
인터넷에 올라왔네요~
파손에 대한 결과는 2012년부터 종합하여
1위는 대한항공 31000건
2위 아시아나 22000건
3위 제주항공 5000건
4위 에어부산 진에어 3000건
5위 이스타항공 1000건
으로 대한항공이 가장 많았고
이에 대한 변명이...
다른 항공사 대비 장거리노선이 많고
공유 연결선이 많다 보니 많아 보이는 것!
이랍니다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대답이었고요

이어서 분실 건수는 2011년부터 종합하여
1위 아시아나 238건
2위 대한항공 105건
3위 진에어 59건
4위 제주항공 50건
5위 이스타 39건
6위 에어부산 22건
으로 국적기 가장 큰 항공사가
번갈아가며 1,2위를 다투는 웃지못하는 일이...

수하물은 항공사에서 분실 및 파손시
변상해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수하물의 고유 결함이나 불완전 했을경우는
면책되니 유의하라고 합니다

티웨이는 자료 미제출로 순위에서 빠졌습니다
8 Comments
콩콩1 2016.09.06 08:41  
워낙 처리건수가 많으니 사건, 사고도 많을 수 밖에요.. 그렇지 않을까요? 항공기 운항횟수 대비 사고 수를 따져서 비율로 확인할 수 있다면 좀 더 신뢰도 높을거 같은데요..
필리핀 2016.09.06 16:39  
제 생각에도 이건 단순 건수로 집계하면 안 되고

운항 편수 또는 탑승객 수 / 분실 또는 파손 건수 비율로 계산해야 할 듯요~
크루즈매니아 2016.09.06 20:21  
킁.. 이번에 10월3일 날 대한항공 타고 가는대 설마 ..볼북복 이겠죠? ㅠㅠ
똥차 2016.09.07 10:32  
근데 저거는 절대 수치라서~~~
승객수와 총 화물량 등을 비교해서
비율로 계산해야 하지 않을까요? ^^

아무래도 수화물 총량이 많으면 사고도 많아질텐데~~
대한XX 를 옹호하는건 아니고 (반대로 저는 혐오합니다.)
그냥 지나다 떠올랐어요
salts 2016.09.08 19:15  
비행기값에 반 비례 하는 군요..
그래도 그렇지 건수나 비율이래도 분실 파손이 적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비싼돈 내고 타는데 그만큼의 안전른 보장해 주어야지요..
짐을 파손당하거나 잃어버린 승객들의 마음을 생각하니 어처구니가 없네요..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풍성하고 즐거운 한가위되시길 빕니다
필립입니다 2016.09.12 11:08  
그래서 여행자 보험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여행자보험들 꼭 가입하시고 여행 떠나시길 추천드립니다!! 안전여행하세요
세상만사 2016.09.17 07:33  
저 파손이란 게 슬쩍 흠집이 나거나 자크 손잡이가 떨어지는 등 사소한 것부터, 가방이 다시 못쓸 정도로 망가진 것까지 다양한 경우가 있겠네요.

그런데 이러한 파손은 대부분 비행기내에서 일어난 문제가 아니라, 지상에서 수하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나 큰 의미를 두기는 그렇지만 아무래도 이용객 입장에서는 불편하겠죠.

그리고 파손율이나 클레임률은 항상 분모(처리량)이 앞서야 하는데, 저 통계는 그런 점에서 약간의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에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수달양 2016.12.11 09:55  
아무래도 많이 활동하는 만큼 많은 사건 사고가 있겠지요.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