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사=낡은 항공사' 노후 비행기 수두룩

홈 > 커뮤니티 > 그냥암꺼나
그냥암꺼나
- 예의를 지켜주세요 / 여행관련 질문은 묻고답하기에 / 연애·태국인출입국관련 글 금지

- 국내외 정치사회(이슈,문제)등과 관련된 글은 정치/사회 게시판에 

그냥암꺼나2

'저비용항공사=낡은 항공사' 노후 비행기 수두룩

걸산(杰山) 15 1488

'저비용항공사=낡은 항공사' 노후 비행기 수두룩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5/12/24/0302000000AKR20151224096000051.HTML

 

대부분 중고 비행기 리스…제작된 지 20년 가까이 된 것도
최신 항공기 도입과 영세성 벗어나기 위한 자본 확충 시급

 

항공업계 관계자는 "저비용항공사들이 취항 10년 만에 상당히 성장했지만 여전히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비용절감을 위해 중고 비행기를 리스 형태로 들여오다 보니 항공기 노후 문제가 심각한 편"이라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물론 선진국에서도 항공기 나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선진국의 경우 기종별로 차이는 있지만, 평균 기령이 15∼25년 정도 되면 잦은 고장, 저연비, 높은 유지비 때문에 비행기를 퇴역시키고 있다.

=================================================================

 

정말 '싸고 좋은 물건'은 없는 건가요?

아니면 '싼 게 비지떡'이란 말은 틀리지 않는 건가요?

 

보이지 않는 데서 '안전'이 위협받는다면

비행기값좀 몇 푼 아끼려다 황천길로 직행한다면 안 되겠지유.


15 Comments
잉달이 2015.12.24 18:36  
근데 사실상 뉴스에 나오는 항공사들 보면 기내식 제공되는 네임드 항공사들이 대부분이던데...
저가항공사는 사고나는 게 너무 당연해서 사고가 나더라도 뉴스에조차 안 나오는걸까요??
걸산(杰山) 2015.12.24 19:27  
아니요, 어제인가 제주항공이 하늘에서 갑자기 낮게 날아서 손님들이 난리를 피고

어려움에 쳐했었다고 뉴스에 다 나왔는 데요 - 사고가 크게 난 것도 아닌 데 말이죠.

오히려 LCC 항공사가 사고를 내면 더 뉴스에 더 크게 나올 걸요,

모모가 문제가 많아서 생긴 거라고...!
걸산(杰山) 2015.12.24 19:46  
‘급강하 사고’ 제주항공, 24일 하루종일 지연 운항...주가도 추락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4/2015122402585.html
왕구마 2015.12.24 21:06  
요즘 보면 저가항공이 국적기 보다 비싼 경우가 수두룩
ginie 2015.12.24 22:25  
대규모 기업형 오래된 항공사 비행기들도  오래된 거 많다고
아는 스튜어디스 조카가 그러던데...
그리고 제게 대한보다는 아샤나가 뱅기 새거 많다고 귀뜸해 줬어용.^^

글구, 오래된 것은 제주도 처럼 가까운 곳으로 돌리고
저가 항공사들도 장거리 비행하는 곳은 새걸로 돌린다고 하던데요...
너바나 2015.12.25 00:31  
비행기기령, 연식보다 정비가 중요합니다

미국 항공사들도 20년 넘은 비행기 많이 씁니다

10년 20년된 비행기는 아무문제 없습니다

기사가 좀 자극적으로 무식하게 쓰여진거 같습니다
zipper 2015.12.25 03:58  
222222222222222222 그쵸.
비행기 본체인 알루미늄은 백년이 가도 끄떡없죠.
엔진은 자동차 엔진과 다른 제트라 토치램프 처럼
불덩이 나오는 것이라 앞쪽 터보팬 베어링만 갈아주면 문제 될 것이 없죠.
조정되는 연결부위 마모는 정기 점검으로 해결이 가능하고요.

그렇지만, 왠만하면 저가항공 안타고 싶네요.
걸산(杰山) 2015.12.25 12:23  
님이 단 댓글에 정답이 딱 나와 있네요 :

비행기 연식이 문제가 안 되려면 '정비'가 제때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며, 정비가 더 중요하다.

그런데 저가비행사들은 비용을 아낄려고 비행기 정비를 자기네들이 하는 게 아니라

외주를 준다네요 - 바로 그게 정비와 비행기 연식을 문제가 되게 하는 핵심이죠.

외주를 주니 주인이 하는 거만큼 하겠어요?

정비가 제대로 안 될 가능성이 많고 외주를 주니, 비행기가 오래될 수록 문제가 커지죠.

그래서 비행기 연식이 문제라는 말이 옳바른 것이고,

외국은 정비가 제대로 되니깐 문제가 안 될 수도 있다는 말도 맞으니.

같은 비행기 연식이라도 '정비'를 제대로 하면 문제가 안 되지만

경비 아끼려고 주인이 직접 정비를 꼼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싼맛에 비행기경비를 외주를 주니 - 결국은 비행기 '연식'이 저가항공사에서는 중요한 문제가 되죠~!
zipper 2015.12.25 16:42  
저가 항공의 안전 문제는 외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점검 기간이 길다는 것에 있습니다.
보통 장거리 왕복하면 점검을 하고,
일주일에 한번은 점검을 하는데
아주 잘나가는 저가항공사의 경우 한달에 한번도 점검 안하고 굴린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걸산(杰山) 2015.12.25 22:11  
외주보다 기간에 있다는 건 너무나 당연한 거죠.

제 말은 기간도 더 근본적으로 문제지만,
기간도 자주 안 하면서 그것조차 외주를 주어버린다는 말입니다.

점검이나 정비를 자주 하면 그 시간에 비행을 못 하니
저가항공이 경비를 아끼려면 별짓 다 한다는 걸 말하겠지요.
호루스 2015.12.25 19:56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대형사고는 없네요.(우리나라 저가항공)

아마 된통 큰일나면 그때가서 부실정비니 뭐니 하면서 애먼 외주업체 직원만 조질 확률이 무척 커 보입니다.
걸산(杰山) 2015.12.25 22:13  
원래 항공교통이 다른 것이 비해서 가장 사고가 적게 난다고들 하잖아요.

하지만 항공기 사고는 났다 하면 완죠니 아작이 나기 때문에 다들 더 위험하다고 착각을 하게 마련이고, 또 그래서 항공기 점검이나 정비를 더 철저하게 해야 하잖아요. 그렇게 해도 혹 가다 한 번 무슨 일 생기면 해외토픽감이 되잖아요.
세상만사 2015.12.27 00:14  
이번 제주항공 사태 후폭풍(사고 조사를 위해 그 뱅기를 며칠동안 운항금지 시킴)이 더 큰 이유는 이들이 예비 비행기를 갖고 있지 못하다는 데 있죠.

비행기 한대가 stop해 버리니, 이어지는 항공편들이 속수무책으로 취소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을 그 누구가 알까요?
걸산(杰山) 2015.12.28 20:56  
그러니 저가항공이죠. 예비 비행기 옆에다 두었다가 몬 일 생겨서야 쓰려면

비행기 사는 데 들어가는 돈도 어마어마한 걸 쓰지도 않고 그냥 두고 대비하려면

저가항공이 될 수가 없겠죠.
섬개야광 2015.12.29 00:52  
웃긴 게 제작한지 18년이상 된 비행기를 운용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에어부산 뿐인데...

마치 저가 항공사는 전부 문제있는 양 기사를 써댔네...;;;

게다가 제주항공, 티웨이는 대한항공, 아시아나보다 평균기령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말이죠..
제목